만성 신부전(CRF)케이스 및 당뇨와 고혈압 관계 간호진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 신부전(CRF)케이스 및 당뇨와 고혈압 관계 간호진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병태 생리

3.lab

4.medication

5.간호과정 및 진단

본문내용

)
- 아침 : 죽 반그릇
점심, 저녁 : 반 그릇 정도
⑤ 입원당시 영양상태가 좋지 않으심.
#2. 식욕부진, 변비와 관련된 영양부족
<장기목표>
대상자는 최적의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식욕이 증진된다.
2. 대상자는 변비가 사라진다.(간호진단#4번에 제시)
2.Total protein과 알부민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1. 매일 대상자의 몸무게를 측정한다.
2. 식욕증진을 위해 구강위생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격려한다.
- 식사 전 양치질 또는 가글로 입안을 헹구어 내도록 한다.
3. 대상자의 기호식이를 고려하여 식이제한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식이섭취를 격려한다.
- 대상자가 평소 집에서 즐겨 먹던 음식을 가져오도록 한다.
4. 식사 시 편안한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 식사 전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킨다.
- 식사 시 보호자와 함께 먹도록 한다.
5. 검사 및 처치는 식사시간을 피하도록 한다.
- 식사도중에는 식사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V/S을 측정한다.
- 식사가 마치고 난 뒤 검사실로 간다.
6. 변비완화를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 선생님께 대상가 19일부터 24일까지 변을 보지 못한 것을 말씀드려 처방된 약물인 MgO 250㎎/T를 투여한다.
1. 대상자의 거부와 처방이 없어 몸무게는 측정하지 못했다.
- 투석으로 인해 정확한 몸무게 측정이 어렵다.
2. 보호지에게 구강위생에 대해 설명하였다.
3. 보호자가 평소 대상자가 집에서 즐겨먹던 잡채를 해왔다.
4. 식사 전 환기를 시키고 보호자와 함께 식사를 하도록 하였다.
5. 식사시간에는 V/S을 기다려
T다가 측정하였다.
6. 처방된 약물인 MgO 250㎎/T를 투여하였다.
1. 대상자의 식욕이 호전되어 식사량이 늘었다(5/25)
- 아침 : 죽반그릇
점심 : 밥⅔그릇
저녁 : 한그릇
2. 대상자는 여전히 변비가 남아있다.
- 완화제 투여시 변을 보긴 하나 지속적으로 보지는 못함.
3. 5/24
- Total protein :
5.9
- 알부민 : 3.0
으로 약간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정상범위를 유지하지는 못했다.
#3. 고혈당, 저혈당과 관련된 지식부족
날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결과 및 평가
5/17
~
5/25
<주관적 사정>
혈당이 55나 361이 나와도 “혈당 괜찮네.”라고 하심.
<객관적 사정>
혈당이 55로 측정되어도 낮다는 인식을 하지 못함.
혈당이 361로 측정 되어도 높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당이 많이 든 음식(사탕, 요구르트 등)을 먹음.
과자류(사탕, 초콜렛 등)와 음료수(쥬스, 요구르트 등)를 먹는 것이 자주 관찰됨.
-1일 6외 정도
#3. 고혈당, 저혈당과 관련된 지식부족
<장기목표>
대상자는 고혈당과 저혈당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수행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고혈당, 저혈당에 대해 설명한다.
2. 대상자는 혈당의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1. 혈당에 대한 대상자의 현재 지식수준을 사정한다.
-혈당의 정상범위와 고혈당, 저혈당에 대해 물어본다.
2. 대상자에게 정상 혈당수치에 대해 교육한다.
- 정상 혈당범위가 70~110임을 설명하고 대상자가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3. 대상자에게 고혈당과 저혈당에 대해 교육한다.
-70이하가 되면 저혈당을 의미하며, 120이상은 고혈당을 의미함을 알려주고 250이상이 되면 인슐린 주사가 필요함을 교육한다.
4. 저혈당의 증세에 대해 설명한다.
- 저혈당의 초기증상:공복감, 떨림, 식은땀, 가슴이 두근거림, 불안함, 어지러움, 창백함, 손끝 저려옴
- 저혈당의 진행증상:심한 피로감, 시력이상, 두통, 졸음, 불명료한 언어, 일에 집중하기 어려움
- 저혈당의 위험한 증상:경련, 의식상실, 혼수
5. 저혈당이 되었을 때 해야 할 조치를 설명한다.
- 혈당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님을 설명한다.
- 혈당이 70mg/dL 이하이면 활동을 금지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게 한다.
- 갑작스럽게 저혈당에 빠질 경우 쥬스 1/2잔 = 요구르트 1개 = 사탕 3~4개 = 콜라 1/2잔 등 당이 있는 음식을 먹도록 한다.
6. 대상자가 평소에 당이 많이 든 음식을 계속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 요구르트, 쥬스, 사탕, 초콜렛, 아이스크림 등
1. 대상자는 혈당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였다.
2. 대상자와 보호자는 혈당의 정상범위를 알고 이를 말할 수 있다.
3. 대상자에게 저혈당과 고혈당에 대해 설명하였다.
4. 대상자가 이해하지 못해 보호자와 가족들에게 설명하였다.
5. 저혈당의 조치에 대해 교육하였다.
6. 대상자가 자제력이 부족하여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자제시키도록 하였다.
1. 대상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혈당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대상자는 이해수준이 저하되어 있더 보호자만 이해하였다.
2. 대상자와 보호자 모두 혈당의 정상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3. 당이 만힝 함유되 음식을 먹는 횟수가 낳이 감소 되었다.
-1일 3회 정도
#4. 식욕부진 및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날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결과 및 평가
5/17
~
5/25
<주관적 자료>
“배가 빵빵해 죽겠다.”라고 하심.
보호자가 이 사람 변이 안나온단다“라고 호소함.
<객관적 자료>
① 대상자는 519일부터 5/24일까지 변을 보지 못함.
② weakness로 인해 침상에 있는 시간이 많음.
③ 5/24일 보호자가 와서 변을 계속 못 봤다고 약을 달라고 함.
#4.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장기목표>
대상자는 활동상태가 좋아져 정상적인 배변습관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2. 대상자는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회복한다.
3. 하제을 사용하지 않고 하루에 한번 배변을 한다.
1. 대상자의 배변횟수 및 형태, 색깔, 습관을 사정하고 원인에 대해 파악한다.
2. 대상자는 변비의 원인을 알고 스스로 잘못된 습관에 대해 이야기한다.
3. 대상자는 식욕이 증진되어 하루에 제공되는 병원 식이를 규칙적으로 모두 섭취한다.
- 간호진단#3번에 제시
4. 대상자는 변비에 좋은 식이를 알고 섭취한다.
- 섬유질이 많은 음식(야채, 과일, 유산균요구르트, 미에로화이바 등)을 섭취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7.12.03
  • 저작시기200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