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는 뜻.
轉禍爲福(전화위복) : 나쁜 일을 당했을 때 그것을 잘 극복해서 더 좋은 일이 되게 하는 것.
切齒腐心(절치부심) : 이를 갈며 속을 썩임
頂門一鍼(정문일침) : 다른 사람의 급서를 찔러 충고한다는 뜻.
糟糠之妻(조강지처) : 가난을 참아내며 험한 고생을 같이한 아내란 뜻.
朝令暮改(조령모개) : 변덕이 매우 심하여 도저히 종잡을 수 없음.
朝三暮四(조삼모사) : 속임수를 써서 다른 사람을 농락함.
坐不安席(좌불안석) :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走馬加鞭(주마가편) : 달리는 말에 채찍질. 잘하는 사람에게 더 잘하도록 격려 하는 것.
走馬看山(주마간산) : 바빠서 대충보고 지나친다는 뜻.
酒池肉林(주지육림) : 아주 사치스럽고 호화로운 생활.
竹馬故友(죽마고우) : 어린 시절 함께 놀던 친한 친구를 말함.
衆口難防(중구난방) : 여러 사람의 말을 막기는 어렵다는 뜻.
至誠感天(지성감천) :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을 한다는 뜻.
進退維谷(진퇴유곡) :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상황.
天高馬肥(천고마비) :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을 말할 때 쓰임.
千慮一失(천려일실) : 많이 생각하여 신중하게 행한 일에도 한 가지의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뜻.
天生配匹(천생배필) : 하늘에서 맺어 준 배필.
泉石膏(천석고황) : 병적일 정도로 산수풍경을 좋아하는 것을 말함.
天佑神助 (천우신조) : 하늘이 돕고 신이 도움
千載一遇 (천재일우) : 천년에 한번 만날까 말까 하는 최고의 기회
天眞爛漫 (천진난만) : 천진함이 넘치다. 조금도 꾸밈없이 아주 순진하단 의미
天下泰平 (천하태평) : 온 세상이 아무런 근심걱정 없이 태평하다는 뜻
徹天之怨 (철천지원) :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원한
聽而不聞 (청이불문) : 들어도 들리지 아니한다.
草露人生 (초로인생) : 덧없는 인생을 의미함
春秋筆法 (춘추필법) :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서 세우는 사필의 논법
出嫁外人 (출가외인) : 출가한 딸은 남이라는 뜻
醉生夢死 (취생몽사) : 아무 뜻도 없이 한 평생을 흐리멍덩하게 보내다.
置之度外 (치지도외) : 내버려두어 문제 삼지 않는다는 뜻
七顚八倒 (칠전팔도) : 어려운 고비를 많이 겪었다는 의미
七縱七擒 (칠종칠금) : 무슨 일이든지 제 마음대로 함
針小棒大 (침소봉대) : 바늘을 가리켜 몽둥이라고 말하다. 과장해서 말하는 것
他山之石 (타산지석) : 바르지 못한 사람도 바른 사람의 수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
泰然自若 (태연자약) : 충동을 받아도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 것
破竹之勢 (파죽지세) :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 세력이 너무 강하여 도무지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 모양을 비유한 말
破天荒 (파천황) : 선인이 못 한 일을 이루다.
敗家亡身 (패가망신) : 가산을 모조리 낭비해 버린 후 몸까지 망침.
表裏不同 (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음흉함
風前燈火 (풍전등화) : 바람 앞의 등불, 현재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가리키는 말.
鶴首苦待 (학수고대) : 몹시 기다림
限鄲之夢 (한단지몽) : 사람의 일생이란 한바탕의 꿈과 같이 허무하단 의미
咸興差使 (함흥차사) : 한번 나간 사람이 도무지 돌아오지를 않음
糊口之策 (호구지책) : 먹고 살아갈 방법
好事多魔 (호사다마) : 좋은 일에는 방해가 되는 일이 많다는 뜻
虎視眈眈 (호시탐탐) : 기회를 노리며 상황을 살피다.
皓齒丹脣 (호치단순) : 여자의 아름다운 얼굴
畵龍點睛 (화룡점정) : 가장 중요한 곳에 손을 대어 작품을 완성함
畵蛇添足 (화사첨족) : 필요 없는 것을 공연히 덧붙이는 일
畵中之餠 (화중지병) : 보기만 했지 실제로 얻을 수 없음을 뜻함
換骨奪胎 (환골탈태) : 이전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해졌다는 의미
膾炙人口 (회자인구) :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입에 오르내리고 칭송을 받는다는 의미
會者定離 (회자정리) : 만나면 반드시 헤어지게 된다는 뜻
橫說竪說 (횡설수설) : 말을 조리 없이 막 떠들어 댄다는 의미
後來三盃 (후래삼배) : 술자리에서 늦게 온 손님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後生可畏 (후생가외) : 아랫사람은 장차 더 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소중히 대해야 한다는 의미
後悔莫及 (후회막급) : 일이 잘못된 뒤에 아무리 뉘우쳐도 어찌할 수 없다는 뜻
興盡悲來 (흥진비래) : 기쁜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온다는 의미
轉禍爲福(전화위복) : 나쁜 일을 당했을 때 그것을 잘 극복해서 더 좋은 일이 되게 하는 것.
切齒腐心(절치부심) : 이를 갈며 속을 썩임
頂門一鍼(정문일침) : 다른 사람의 급서를 찔러 충고한다는 뜻.
糟糠之妻(조강지처) : 가난을 참아내며 험한 고생을 같이한 아내란 뜻.
朝令暮改(조령모개) : 변덕이 매우 심하여 도저히 종잡을 수 없음.
朝三暮四(조삼모사) : 속임수를 써서 다른 사람을 농락함.
坐不安席(좌불안석) :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走馬加鞭(주마가편) : 달리는 말에 채찍질. 잘하는 사람에게 더 잘하도록 격려 하는 것.
走馬看山(주마간산) : 바빠서 대충보고 지나친다는 뜻.
酒池肉林(주지육림) : 아주 사치스럽고 호화로운 생활.
竹馬故友(죽마고우) : 어린 시절 함께 놀던 친한 친구를 말함.
衆口難防(중구난방) : 여러 사람의 말을 막기는 어렵다는 뜻.
至誠感天(지성감천) :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을 한다는 뜻.
進退維谷(진퇴유곡) :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상황.
天高馬肥(천고마비) :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을 말할 때 쓰임.
千慮一失(천려일실) : 많이 생각하여 신중하게 행한 일에도 한 가지의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뜻.
天生配匹(천생배필) : 하늘에서 맺어 준 배필.
泉石膏(천석고황) : 병적일 정도로 산수풍경을 좋아하는 것을 말함.
天佑神助 (천우신조) : 하늘이 돕고 신이 도움
千載一遇 (천재일우) : 천년에 한번 만날까 말까 하는 최고의 기회
天眞爛漫 (천진난만) : 천진함이 넘치다. 조금도 꾸밈없이 아주 순진하단 의미
天下泰平 (천하태평) : 온 세상이 아무런 근심걱정 없이 태평하다는 뜻
徹天之怨 (철천지원) :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원한
聽而不聞 (청이불문) : 들어도 들리지 아니한다.
草露人生 (초로인생) : 덧없는 인생을 의미함
春秋筆法 (춘추필법) :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서 세우는 사필의 논법
出嫁外人 (출가외인) : 출가한 딸은 남이라는 뜻
醉生夢死 (취생몽사) : 아무 뜻도 없이 한 평생을 흐리멍덩하게 보내다.
置之度外 (치지도외) : 내버려두어 문제 삼지 않는다는 뜻
七顚八倒 (칠전팔도) : 어려운 고비를 많이 겪었다는 의미
七縱七擒 (칠종칠금) : 무슨 일이든지 제 마음대로 함
針小棒大 (침소봉대) : 바늘을 가리켜 몽둥이라고 말하다. 과장해서 말하는 것
他山之石 (타산지석) : 바르지 못한 사람도 바른 사람의 수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
泰然自若 (태연자약) : 충동을 받아도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 것
破竹之勢 (파죽지세) :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 세력이 너무 강하여 도무지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 모양을 비유한 말
破天荒 (파천황) : 선인이 못 한 일을 이루다.
敗家亡身 (패가망신) : 가산을 모조리 낭비해 버린 후 몸까지 망침.
表裏不同 (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음흉함
風前燈火 (풍전등화) : 바람 앞의 등불, 현재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가리키는 말.
鶴首苦待 (학수고대) : 몹시 기다림
限鄲之夢 (한단지몽) : 사람의 일생이란 한바탕의 꿈과 같이 허무하단 의미
咸興差使 (함흥차사) : 한번 나간 사람이 도무지 돌아오지를 않음
糊口之策 (호구지책) : 먹고 살아갈 방법
好事多魔 (호사다마) : 좋은 일에는 방해가 되는 일이 많다는 뜻
虎視眈眈 (호시탐탐) : 기회를 노리며 상황을 살피다.
皓齒丹脣 (호치단순) : 여자의 아름다운 얼굴
畵龍點睛 (화룡점정) : 가장 중요한 곳에 손을 대어 작품을 완성함
畵蛇添足 (화사첨족) : 필요 없는 것을 공연히 덧붙이는 일
畵中之餠 (화중지병) : 보기만 했지 실제로 얻을 수 없음을 뜻함
換骨奪胎 (환골탈태) : 이전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해졌다는 의미
膾炙人口 (회자인구) :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입에 오르내리고 칭송을 받는다는 의미
會者定離 (회자정리) : 만나면 반드시 헤어지게 된다는 뜻
橫說竪說 (횡설수설) : 말을 조리 없이 막 떠들어 댄다는 의미
後來三盃 (후래삼배) : 술자리에서 늦게 온 손님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後生可畏 (후생가외) : 아랫사람은 장차 더 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소중히 대해야 한다는 의미
後悔莫及 (후회막급) : 일이 잘못된 뒤에 아무리 뉘우쳐도 어찌할 수 없다는 뜻
興盡悲來 (흥진비래) : 기쁜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온다는 의미
추천자료
시의 서정성 교육 연구
초등학교 3학년 도덕과(도덕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3학년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체...
토의학습(토의수업, 토론학습)의 분류와 목적, 토의학습(토의수업, 토론학습)의 장단점, 토의...
말하기듣기지도(말하기듣기교육) 개념과 원리, 말하기듣기지도(말하기듣기교육) 단계, 말하기...
설명문쓰기(설명문 쓰는 방법, 글쓰기), 생활문쓰기(생활문 쓰는 방법, 글쓰기), 논설문쓰기(...
인성교육(교수학습)지도, 읽기교육(교수학습)지도, 글쓰기교육(교수학습)지도, 독서교육(교수...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의 개념과 배경,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의 중요성...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교육]수행평가의 유형, 수행평가의 일반적 특성, 수행평가...
[고등학생 대학입시 학종 논문] 중간값 정리 ․평균값 정리를 적용한 과속 단속의 ...
토의학습의 유형과 수업모형, 토의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 및 유의점
소설 성격, 소설 근원, 소설 구조, 조선후기 고전소설 현씨양웅쌍린기(현씨양웅전) 현실성, ...
[원고용지][원고지]원고용지(원고지)의 글쓰기, 원고용지(원고지)의 문장부호, 원고용지(원고...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단어분리, 현황, 중국어번역(한중번역)과 중국영화번역, 중국어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