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본문내용
6절지 켄트지에 우리 나라 문화재 그림을 그리고 바로 옆쪽에 유니픽스 블록을 놓아 측정할 수 있는 칸을 그린 후 코팅한다.
**그림14951800-0217.bmp**
■ 활동 방법
① 그림을 보며 측정 결과를 예측해 본다.
이 그림은 무엇일까? 이 블록으로 몇 개를 놓으면 높이가 같아질까?
② 유니픽스 블록을 이용하여 실제로 놓아 본다.
집단 활동
이야기나누기
전쟁과 평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사회 생활 : 사회 현상과 환경에 대한 관심 - 다른 나라에 대해 관심 가지기
언어 생활 : 듣기 - 이야기 듣기 이해하기
■ 목표
전쟁을 하는 나라가 있음을 안다.
세계 여러 나라가 평화롭게 살아야 함을 안다.
■ 자료
전쟁을 하는 나라들에 대한 화보나 VTR 자료
■ 활동 방법
① 준비된 자료들을 보면서 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쟁’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니?
전쟁이란 무엇일까? (싸우는 거요. 총을 쏴요. 사람들이 죽어요. 나라와 나라 또는 같은 나라가 나뉘어서 싸움을 하는 것)
우리 나라도 전쟁을 한 적이 있을까? (조선 시대-임진 왜란, 1950년-625 전쟁 등)
전쟁을 하는 곳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 (사람들이 울어요. 죽어요. 집이 타버려요. 유치원에 못 다녀요. 밥도 못 먹어요 등)
② 전쟁을 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렇게 슬프고 어려운 일들이 생기는데 왜 전쟁을 할까?
(화나게 하니까. 먼저 전쟁을 일으키니까. 괴롭히니까 등 서로의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전쟁을 하게 된다고 이야기해 준다. - 종교 분쟁, 영토 분쟁 등)
우리 나라는 왜 전쟁을 했을까? (임진왜란 - 일본이 쳐들어왔다, 625 전쟁 - 남한과 북한의 생각이 서로 달랐다.)
전쟁을 하지 않고도 그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은 없을까? (싸우지 않고 말로해요. 화해하고 사이좋게 지내요. 싸우지 말자고 말해요. 등)
싸우는 나라가 있을 때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서로 전쟁하지 말고 사이좋게 지내라고 이야기해 줘요. 전쟁하는 것을 말려요. 등)
③ 어떻게 하면 여러 나라가 모두 평화롭게 지낼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④ 온 세계가 전쟁을 하지 않고 평화롭게 살아가야 함을 이야기한다.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어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사회 생활 : 집단 생활 - 협동하여 문제 해결하기
언어 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 목표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진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는 일에 직접 참여한다.
■ 자료
생명의 양식 또는 사랑의 빵 저금통과 포스터,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화보
■ 활동 방법
① 생명의 양식 도는 사랑의 빵 저금통을 보며 이야기한다.
이 저금통을 본 적이 있니? 어떻게 생겼니? (생명의 양식 - 밥이 담긴 그릇 모양, 사랑의 빵 - 식빵 모양)
왜 이런 모양으로 저금통을 만들었을까?
이 저금통의 이름은 무엇일까?
여기에 저금한 돈은 어디에 사용할까? (에티오피아라는 나라의 굶어죽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조금씩 돈을 모아 보내 준다. 800원으로 30명의 아기들을 실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고단위 비타민 A를 공급한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굶주려 죽어 가는 한 명의 어린이를 10,000원으로 한 달 간 살릴 수 있다.
② 저금할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저금통을 교실에 놓고, 우리 모두 저금을 해서 굶는 사람들을 도와 주면 어떨까?
우리가 어떻게 하면 저금할 돈을 구할 수 있을까? (용돈을 절약해서, 심부름을 하고 나서 받은 돈으로, 아빠 구두를 닦고 나서 받은 돈으로)
③ 의논한 방법대로 저금을 한다.
■ 참고 사항
저금통이 다 채워지면 어떻게 할지 의논한다. (은행에 가서 내면 자동적으로 세계 여러 나라를 돕는 국제 기구로 전달되고 새 저금통을 받는다는 것을 알려 준다.)
유니세프에서 제작한 “에티오피아의 어린이” VTR 자료를 보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생명의 양식’ 저금통 : 서울시 중앙 우체국 사서함 1930. 주한 유니세프 대표부
‘사랑의 빵’ 저금통 : 서울 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4-2 사회 복지 법인 한국 선명회 (02)783-5161
자랑거리가 많아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언어 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탐구 생활 : 창의적 사고 - 다양하게 사고하기
■ 목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우리 나라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다.
■ 자료
1950년대 우리 나라 도시 사진, 현재의 서울 모습 사진
1950년대 어린이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 현재 어린이들의 모습 사진
■ 활동 방법
① 1950년대 우리 나라 도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며 이야기한다.
이 사진에 어떤 것들이 있니? 이 곳은 어디일까?
그래, 이 사진은 너희들의 엄마, 아빠가 아기였을 때 우리 나라 모습이야. 어떤 생각이 드니? 지금의 우리 나라와 비슷하니?
② 현재 우리 나라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며 이야기한다.
이 사진을 보자. 이 곳은 어디일까?
그래, 이 사진은 지금 우리 나라의 모습이야. 옛날의 모습과 무엇이 달라졌니?
③ 1950년대 어린이들의 사진을 보며 이야기한다.
도시의 모습만 달라졌을까? 사람들의 모습은 어떨까?
지금 우리들의 모습과 무엇이 다르니?
우리 나라는 점점 어떻게 달라지고 있을까?
④ 우리 나라의 자랑거리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우리 나라는 점점 부자가 되어 가는데, 그것 말고도 자랑거리가 있을까?
만약, 다른 나라 사람에게 우리 나라를 자랑한다면 무엇이라고 이야기할까?
내가 할 수 있는 나라 사랑이 있어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탐구 생활 : 창의적 사고 - 독특하게 사고하기
언어 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 목표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른다.
내가 할 수 있는 나라 사랑의 방법을 이야기한다.
■ 자료
8절 켄트지 1장, 유성 매직
■ 활동 방법
① ‘나는 될터이다’ 노래를 부르며 유아들의 장래 희망을 들어 본다.
‘너는 왜 ○○’가 되고 싶니?‘
② 내가 만약 대통령이라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이야기 나눈다.
만약 대
**그림14951800-0217.bmp**
■ 활동 방법
① 그림을 보며 측정 결과를 예측해 본다.
이 그림은 무엇일까? 이 블록으로 몇 개를 놓으면 높이가 같아질까?
② 유니픽스 블록을 이용하여 실제로 놓아 본다.
집단 활동
이야기나누기
전쟁과 평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사회 생활 : 사회 현상과 환경에 대한 관심 - 다른 나라에 대해 관심 가지기
언어 생활 : 듣기 - 이야기 듣기 이해하기
■ 목표
전쟁을 하는 나라가 있음을 안다.
세계 여러 나라가 평화롭게 살아야 함을 안다.
■ 자료
전쟁을 하는 나라들에 대한 화보나 VTR 자료
■ 활동 방법
① 준비된 자료들을 보면서 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쟁’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니?
전쟁이란 무엇일까? (싸우는 거요. 총을 쏴요. 사람들이 죽어요. 나라와 나라 또는 같은 나라가 나뉘어서 싸움을 하는 것)
우리 나라도 전쟁을 한 적이 있을까? (조선 시대-임진 왜란, 1950년-625 전쟁 등)
전쟁을 하는 곳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 (사람들이 울어요. 죽어요. 집이 타버려요. 유치원에 못 다녀요. 밥도 못 먹어요 등)
② 전쟁을 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렇게 슬프고 어려운 일들이 생기는데 왜 전쟁을 할까?
(화나게 하니까. 먼저 전쟁을 일으키니까. 괴롭히니까 등 서로의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전쟁을 하게 된다고 이야기해 준다. - 종교 분쟁, 영토 분쟁 등)
우리 나라는 왜 전쟁을 했을까? (임진왜란 - 일본이 쳐들어왔다, 625 전쟁 - 남한과 북한의 생각이 서로 달랐다.)
전쟁을 하지 않고도 그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은 없을까? (싸우지 않고 말로해요. 화해하고 사이좋게 지내요. 싸우지 말자고 말해요. 등)
싸우는 나라가 있을 때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서로 전쟁하지 말고 사이좋게 지내라고 이야기해 줘요. 전쟁하는 것을 말려요. 등)
③ 어떻게 하면 여러 나라가 모두 평화롭게 지낼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④ 온 세계가 전쟁을 하지 않고 평화롭게 살아가야 함을 이야기한다.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어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사회 생활 : 집단 생활 - 협동하여 문제 해결하기
언어 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 목표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진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는 일에 직접 참여한다.
■ 자료
생명의 양식 또는 사랑의 빵 저금통과 포스터,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화보
■ 활동 방법
① 생명의 양식 도는 사랑의 빵 저금통을 보며 이야기한다.
이 저금통을 본 적이 있니? 어떻게 생겼니? (생명의 양식 - 밥이 담긴 그릇 모양, 사랑의 빵 - 식빵 모양)
왜 이런 모양으로 저금통을 만들었을까?
이 저금통의 이름은 무엇일까?
여기에 저금한 돈은 어디에 사용할까? (에티오피아라는 나라의 굶어죽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조금씩 돈을 모아 보내 준다. 800원으로 30명의 아기들을 실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고단위 비타민 A를 공급한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굶주려 죽어 가는 한 명의 어린이를 10,000원으로 한 달 간 살릴 수 있다.
② 저금할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저금통을 교실에 놓고, 우리 모두 저금을 해서 굶는 사람들을 도와 주면 어떨까?
우리가 어떻게 하면 저금할 돈을 구할 수 있을까? (용돈을 절약해서, 심부름을 하고 나서 받은 돈으로, 아빠 구두를 닦고 나서 받은 돈으로)
③ 의논한 방법대로 저금을 한다.
■ 참고 사항
저금통이 다 채워지면 어떻게 할지 의논한다. (은행에 가서 내면 자동적으로 세계 여러 나라를 돕는 국제 기구로 전달되고 새 저금통을 받는다는 것을 알려 준다.)
유니세프에서 제작한 “에티오피아의 어린이” VTR 자료를 보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생명의 양식’ 저금통 : 서울시 중앙 우체국 사서함 1930. 주한 유니세프 대표부
‘사랑의 빵’ 저금통 : 서울 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4-2 사회 복지 법인 한국 선명회 (02)783-5161
자랑거리가 많아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언어 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탐구 생활 : 창의적 사고 - 다양하게 사고하기
■ 목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우리 나라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다.
■ 자료
1950년대 우리 나라 도시 사진, 현재의 서울 모습 사진
1950년대 어린이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 현재 어린이들의 모습 사진
■ 활동 방법
① 1950년대 우리 나라 도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며 이야기한다.
이 사진에 어떤 것들이 있니? 이 곳은 어디일까?
그래, 이 사진은 너희들의 엄마, 아빠가 아기였을 때 우리 나라 모습이야. 어떤 생각이 드니? 지금의 우리 나라와 비슷하니?
② 현재 우리 나라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며 이야기한다.
이 사진을 보자. 이 곳은 어디일까?
그래, 이 사진은 지금 우리 나라의 모습이야. 옛날의 모습과 무엇이 달라졌니?
③ 1950년대 어린이들의 사진을 보며 이야기한다.
도시의 모습만 달라졌을까? 사람들의 모습은 어떨까?
지금 우리들의 모습과 무엇이 다르니?
우리 나라는 점점 어떻게 달라지고 있을까?
④ 우리 나라의 자랑거리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우리 나라는 점점 부자가 되어 가는데, 그것 말고도 자랑거리가 있을까?
만약, 다른 나라 사람에게 우리 나라를 자랑한다면 무엇이라고 이야기할까?
내가 할 수 있는 나라 사랑이 있어요 (Ⅱ)
◇ 교육 과정 관련 요소 ◇
탐구 생활 : 창의적 사고 - 독특하게 사고하기
언어 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 목표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른다.
내가 할 수 있는 나라 사랑의 방법을 이야기한다.
■ 자료
8절 켄트지 1장, 유성 매직
■ 활동 방법
① ‘나는 될터이다’ 노래를 부르며 유아들의 장래 희망을 들어 본다.
‘너는 왜 ○○’가 되고 싶니?‘
② 내가 만약 대통령이라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이야기 나눈다.
만약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