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미술과 환경미술의 뜻과 교육학적 전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치미술과 환경미술의 뜻과 교육학적 전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설치미술의 이해
1. 설치미술의 발생요인
2. 설치미술의 개념
3. 설치미술의 주요소
4. 설치미술의 미술사적 전개
5. 설치미술의 유형 구분
6. 설치미술의 특징
7. 설치미술 작가 소개

본문내용


1924
초현실주의
1940
추상표현주의
1956
팝아트
1960
누보레알리즘,옵아트
1962
미니멀리즘
1963
백남준 비디오전
1967
개념미술,대지미술
1) 설치미술의 뿌리(오브제의 도입)
큐비즘
- 파피에콜레, 콜라주(최초의 오브제)
대상을 해체하고 기하학적 형태로 재구성하는 큐비즘의 화풍으로 인해 사물의 실재가 상실되었다.
이를 극복하기위하여 브라크와 피카소가 파피에콜레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재료를 첨가하여 콜라주 작품을 만들면서, 혼합재료를 통해 표현의 영역을 폭넓게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배연준(2006). 공간과 오브제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국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논문.
◎ 오브제의 특징 : 오브제 이용의 시작, 실제 오브제를 사용했다.
3조각의 벽지를 붙임으로써 오브제가 화면에 등장하게 된 파피에콜레의 시초가 되는 작품
2) 오브제 예술의 시작
다다이즘 (오브제의 개념 정의 + 장소의 조작)
다다이즘의 삶과 예술의 구분을 초월하려는 근본정신으로 인해 예술창작의 범위가 확대되고 마르셀 뒤샹에 의해 오브제라는 단어가 미술사에서 하나의 장르로 발전하게 되었다.
◎ 오브제의 특징 : 다양한 오브제를 본격적인 사용하기 시작했다.
1917년 <샘>으로 레디메이드(Ready-made) 오브제가 시작되었다.
◎ 앗상블라주(여러재료를 3차원으로 표현)
앗상블라주는 프랑스어로 집합, 집적이란 뜻이며 밧줄, 신문지 조각과 같은 비예술적인 물건을 조립, 혼합하여 구성하는 기법을 뜻한다. 큐비즘의 콜라주에서 비롯되었지만 콜라주가 평면적인데 대하여 아상블라주는 3차원적이다.
오늘날 ‘복합매체’의 경향은 바로 앗상블라주에 대한 실험의 결과로 등장했으며 최근의 설치미술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 국제 초현실주의 전시회(설치미술의 구체화)
미술에 있어서 외부적 공간 확산의 본격적 시작.
전시장 전체를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발견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개물들을 설치, 빛과 냄새 등을 실제상황과 같이 조성하여 ‘3차원의 꼴라주’공간을 연출했다. 김영환(2006). 설치미술의 전개와 오브제의 역할. 창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3) 공간의 연출
워홀, <브릴로 상자> 1964.
팝아트
- 팝아트는 미술속에 대중문화를 수용하기 위해 전시공간을 연출하
며 설치를 활용함
평범한 레디메이드 오브제를 사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었고 오 브제들의 일상성을 회화의 소재로 끌어들여 회화의 영역을 확장시 켰다.
슈퍼마켓에서와 같이 전시장 한가운데에 쌓아놓은 상품상자들은 대량생산된 소비 물로 가득 찬 획일화된 인공 환경을 재현한다.
3) 설치미술의 출현(4차원적 환경의 조성)
미니멀리즘
- 미술작품을 현존성 있는 ‘물체’로 제시하기 위해 전시환경 조성
미니멀 아티스트들은 전시장의 벽면, 천장, 바닥을 어떻게 변경하느냐에 따라 공간에 관한 감상자의 인식도 바뀔 수 있다고 믿었다. 미니멀리즘은 환경적 공간을 활용하며 관객까지도 공간에 포함하여 장소성, 공간배치를 중시하는 설치미술의 직접적 출현 전기를 마련했다.
◎ 오브제의 특징 : 오브제는 외부에 존재하는 것
4) 설치미술의 영향 -(1)1970년대
개념미술 : 개념을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치의 방법 이용
대지미술 : 미술관을 벗어나 자연이나 도시의 환경 속에서 조성하는 설치미술. 예술의 재료, 재질로서의 자연을 재인식하고 자연환경의 창조적 응용 등을 강조한다.
환경미술 : 환경보존과 자연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환경과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 및 활동 등을 포괄한다.
4) 설치미술의 영향 -(2) 198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이 일반화 되면서 설치미술은 주류 전시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설치가 예술과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5.2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5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