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Part I. 序論
Chp 1. 정책학의 의의
1. 정책학의 정의
2. 정책학의 성격
3. 정책학의 이론체계
4. 정책학의 학습목적
Chp 2. 정책학의 발달과정
1. 정책에 대한 관심
(1) 일반적(사회적, 통념적) 관심
(2) 학문적 관심
1) 1940년대 초기 행태주의자들의 관심
2) 1950년대 정치학자들의 관심
3) 1960년대 발전론자들의 관심
4) Y. Dror의 관심
5) H. Simon, Y. Dror 이후 학자들의 관심
6) 1980년대 이후의 관심
2. 정책학의 발달 - 관심의 이론적 체계화
(1) 행정학 발전과 정책연구
(2) 의사결정론과 정책연구
1) 의사결정이론이란?
- 개요(outline, overview)
- 발전과정
- 이론의 기본구조
- 원리
- 성립요건
- 의사결정의 유사개념
- Policy-making
- Problem-solving
2) 의사결정과 정책연구와의 관계
(3) 정책학의 성립과 발전
Part II. 政策論
Chp 1. 정책의 의의 : 개념과 성격
1. 정책의 개념
(1) 체제이론가들의 정책에 대한 견해(시각)
(2) 집단이론가(Group theory)들의 견해
(3) 의사결정 이론가들의 견해
(4) Power elite 들의 견해
cf) elite?
2. 특성
(1) 가치 지향적 혹은 규범 지향적
(2) 미래 지향적(future oriented)
(3) 변화 지향적
(4) 행동 지향적
(5) 일반 가치와의 유관성
(6) 고도의 정치성
(7) 가변성
(8) 경제적 합리성
(9) 불완전하다
(10) 동태적이다(dynamic)
(11) 비정규적이다(non-programmed)
Chp 2. 정책의 구조와 기능
1. 구조
(1) 구비요건
(2) 내용요소
2. 기능
(1) 기술적 기능
(2) 규범적 / 처방적 기능
(3) 전략적 기능
(4) 변화, 추진적 기능
(5) 연결적 기능
(6) 정치적 기능
Chp 3. 정책의 유형
1. 실체적 정책(substantive) - 절차적 정책(procedural)
2. 배분정책 - 규제정책 (실체적 정책 중에서) --잘못나눠주거나 균형x 경우
3. 실질적 정책 - 상징적 정책
Part III. 政策결정론
Chp 1. 정책결정의 의의
1. 개념
2. 특성
Chp 2. 정책결정 과정
1. 광범위의 정책결정 과정
2. 중범위의 정책결정 과정
3. 소범위의 정책결정 과정
Chp 3. 의제형성
1. 개념
2. 과정
(1) 발의단계 (initiation step)
(2) 구체화 단계 (specification step)
(3) 확산 단계 (enlargement step)
(4) 진입 단계 (entrance step)
3. 형태(유형) -
(1) 외부 주도 모형(outside initiative model)
(2) 동원 모형(mobilization model)
(3) 내부 접근형 모형(inside access model)
(4) 각 모형의 비교
Chp 4.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I. 합리모형(rational model)
- 특성
II. 점증모형(Incremental Model)
- 특성
1. 적정모형(최적모형)_ optimal model
(1) 의의
(2) 특성
*(3) 정책결정 과정-4개 stage, 18개 step
2.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특성
3. 혼합모형 Mixed (scanning) model - 혼합 (주사) 모형 -
Chp 1. 정책학의 의의
1. 정책학의 정의
2. 정책학의 성격
3. 정책학의 이론체계
4. 정책학의 학습목적
Chp 2. 정책학의 발달과정
1. 정책에 대한 관심
(1) 일반적(사회적, 통념적) 관심
(2) 학문적 관심
1) 1940년대 초기 행태주의자들의 관심
2) 1950년대 정치학자들의 관심
3) 1960년대 발전론자들의 관심
4) Y. Dror의 관심
5) H. Simon, Y. Dror 이후 학자들의 관심
6) 1980년대 이후의 관심
2. 정책학의 발달 - 관심의 이론적 체계화
(1) 행정학 발전과 정책연구
(2) 의사결정론과 정책연구
1) 의사결정이론이란?
- 개요(outline, overview)
- 발전과정
- 이론의 기본구조
- 원리
- 성립요건
- 의사결정의 유사개념
- Policy-making
- Problem-solving
2) 의사결정과 정책연구와의 관계
(3) 정책학의 성립과 발전
Part II. 政策論
Chp 1. 정책의 의의 : 개념과 성격
1. 정책의 개념
(1) 체제이론가들의 정책에 대한 견해(시각)
(2) 집단이론가(Group theory)들의 견해
(3) 의사결정 이론가들의 견해
(4) Power elite 들의 견해
cf) elite?
2. 특성
(1) 가치 지향적 혹은 규범 지향적
(2) 미래 지향적(future oriented)
(3) 변화 지향적
(4) 행동 지향적
(5) 일반 가치와의 유관성
(6) 고도의 정치성
(7) 가변성
(8) 경제적 합리성
(9) 불완전하다
(10) 동태적이다(dynamic)
(11) 비정규적이다(non-programmed)
Chp 2. 정책의 구조와 기능
1. 구조
(1) 구비요건
(2) 내용요소
2. 기능
(1) 기술적 기능
(2) 규범적 / 처방적 기능
(3) 전략적 기능
(4) 변화, 추진적 기능
(5) 연결적 기능
(6) 정치적 기능
Chp 3. 정책의 유형
1. 실체적 정책(substantive) - 절차적 정책(procedural)
2. 배분정책 - 규제정책 (실체적 정책 중에서) --잘못나눠주거나 균형x 경우
3. 실질적 정책 - 상징적 정책
Part III. 政策결정론
Chp 1. 정책결정의 의의
1. 개념
2. 특성
Chp 2. 정책결정 과정
1. 광범위의 정책결정 과정
2. 중범위의 정책결정 과정
3. 소범위의 정책결정 과정
Chp 3. 의제형성
1. 개념
2. 과정
(1) 발의단계 (initiation step)
(2) 구체화 단계 (specification step)
(3) 확산 단계 (enlargement step)
(4) 진입 단계 (entrance step)
3. 형태(유형) -
(1) 외부 주도 모형(outside initiative model)
(2) 동원 모형(mobilization model)
(3) 내부 접근형 모형(inside access model)
(4) 각 모형의 비교
Chp 4.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I. 합리모형(rational model)
- 특성
II. 점증모형(Incremental Model)
- 특성
1. 적정모형(최적모형)_ optimal model
(1) 의의
(2) 특성
*(3) 정책결정 과정-4개 stage, 18개 step
2.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특성
3. 혼합모형 Mixed (scanning) model - 혼합 (주사) 모형 -
추천자료
정책결정의 참여자
[정책학원론] 정책의제설정이론
정책학의 의의와 성격
정책학의 특성
정책학의 기초개념(개념,특성,속성)
정책결정이론모형 - 합리, 만족, 점증, 혼합주사, 최적, 집단의사결정모형, 앨리슨, 회사모형...
정책의 성패판단에 관하여 : 4개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한 검토
정치학과 관련하여 본 정부혁신과 정책학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정책결정의 의미와 특징 및 사회복지정책결정의 이론모형
정책학 과제
정책학개론_보고서
[정책학원론] 전두환 정부의 출범 배경과 행정체제의 특징
[이상적인 국가관] 국가관國家觀의 분류, 라스웰 민주주의 정책학, 국가관과 국가혁신의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