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표준어와 방언의 개념
Ⅲ.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1)공용어로서의 표준어
(2)언어의 하위개념으로서의 방언
Ⅳ. 언어로서의 방언
(1) 방언의 중요성
(2) 방언의 크기
(3) 방언의 분화
(4) 방언의 음운
Ⅴ. 지역별 방언
① 경상도 사투리의 특징
② 전라도 사투리의 특징
③ 충청도 사투리의 특징
④ 제주도 사투리의 특징
⑤ 강원도 사투리의 특징
Ⅵ. 맺는말
*참고문헌
Ⅱ. 표준어와 방언의 개념
Ⅲ.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1)공용어로서의 표준어
(2)언어의 하위개념으로서의 방언
Ⅳ. 언어로서의 방언
(1) 방언의 중요성
(2) 방언의 크기
(3) 방언의 분화
(4) 방언의 음운
Ⅴ. 지역별 방언
① 경상도 사투리의 특징
② 전라도 사투리의 특징
③ 충청도 사투리의 특징
④ 제주도 사투리의 특징
⑤ 강원도 사투리의 특징
Ⅵ. 맺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름, 세대의 차이, 또는 성별의 차이 등의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 이처럼 지리적인 거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언을 사회방언이라 한다. 사회방언은 때로 계층방언이라고 부르는 수도 있는데 이는 사회방언이 여러 가지 사회적 요인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그 중에서도 사회계층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에 따라 부르게 된 것이다.
사회방언은 지역 방언과 함께 2대방언의 하나를 이룬다. 그러나 사회방언은 지역방언 만큼 일찍부터 방언학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어느 사회에나 사회방언이 없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사회방언간의 차이는 지역방언들 사이의 그것만큼 그렇게 뚜렷하지 않게 때문이었다. 가령 20대와 60대 사이에는 분명히 방언차(사회방언으로서의 차이)가 있지만, 그 차이가 전라도방언과 경상도방언 사이의 그것만큼 뚜렷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며, 남자와 여자사이의 방언 차이 역시 마찬가지다. 사회계층간의 방언차는 사회에 따라서는 상당히 현격한 차이를 보여 일찍부터 논의의 대상이 되어 오기는 하였다. 인도에서의 카스트에 의해 분화된 방언, 미국에서의 흑인영어의 특이성,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양반 계층과 일반 계층 사이의 방언차 등이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계층간의 방언분화는 역시 어느 사회에서나 발견되는 것이 아니어서 지역간의 방언분화만큼 일반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최근 사회언어학의 대두에 따라 점차 큰 관심의 대상이 될 때까지는 방언학의 중심 문제가 되지 못하였다.
(4) 방언의 음운
음운은 성별, 연령, 직업, 신분, 지역 따위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특히, 문자로 기록되지 않고, 일정한 규칙으로 제약되지 않는 방언의 음운은 더욱 그러하다.
① 음운 체계
각 방언의 음운 체계는 다르다. 자음과 반모음의 경우에는 별 차이가 없는 듯하나 모음의 경우에 특히 다르다. 방언의 모음은 장년층 이상에서는 아홉으로 \'3서 3계 4각 조직\'이나 연소층에서는 /i, w, u, o, E, e, a/의 일곱으로 \'3서 3계 3각 조직\'으로 보기도 한다. 이 차이는 연소층의 /E/가 장년층의 /e/를 수용하고, 또 \'ㅏ의 후고음(後高音)\' /·/가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연소층에서도 불안정하게나마 /·/가 쓰이는 것으로 보아 그 수를 여덟으로 보아둔다. 이 여덟 가운데 표준어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기본 모음으로 쓰였던 /·/가 강한 세력으로 쓰인다. 이는 자료적 가치로도 귀중하다. /·/의 쓰임을 위치에 따라 살펴보자.
첫째 음절 또는 어두에서 \'몰(馬)\', 골겡이(호미), 고늘다(細), 혹교(學校), 소장(社長), 초용징(借用證)\'등으로 고유어난 한자어에 두루 쓰이고 있다.
둘째 음절에서는 \'돗돗호다, 곰곰호다, 돈돈호다, 중혹생(中學生) 농소(農事) 등으로 고유어에서는 첩음(疊音)일 때와, 한자어에서는 첩음이 아니더라도 잘 쓰인다.
그러나 고유어에서 첩음이 아닐때는 \'모음(心), 고늘다(細), 고믐(旱)\' 등으로 \'ㅗ\"가 주로\"ㅡ\"로 바뀌어 쓰인다.
고유어나 한자어에서 원래 /·/가 아닌 음이 이 세력에 이끌리어 /·/로 쓰이는 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 가라지고라지, 적다(記)족다(기록하다), 적시다 족지다
잠좀(寢), 한숨혼숨 등이 그렇다.
② 음운 변이
음운의 변이 현상은 전반적으로 한국어로서 나타나는 것은 다룰 필요가 없고, 그 방언에서만 나타난 특수한 현상만을 찾아내어야 할 것이다. 음운변이 현상에서는 또한 역사적인 음의 변천도 일수 있다. 현대어의 ‘가위’를 방언에서 조사하여 “割子蓋→ 갇자개, 갈자개→가새, 가우→가위” 같은 공식을 얻었다. 경상도방언에서의 이른바 ‘ㅂ 변칙용언’ 인 ‘추버, 더버’ 등에서 ‘ ㅂ→ㅸ→오/우’와 같은 변천도 알아낼 수 있다.
Ⅴ. 지역별 방언
① 경상도 사투리의 특징
경상도의 말은 성조어 (음의 높고 낮은 것에 의해 단어의 뜻이 구별된다) 이다.
예) 밤; 장음: 먹는 밤 밤; 높은음: 저녁
단음: 저녁 낮은음: 먹는 밤
거센 억양 ; 성조와 관계가 있다.
음장 ; 대체로 보이지 않는다.
‘ㅐ’와 ‘ㅔ’의 대립과 ‘ㅓ’와 ‘ㅡ’의 대립을 찾아보기 어렵다.
모음의 수가 전국적으로 가장 적다.
자음 중 ‘ㅆ’을 된소리로 발음하지 못하고 ‘ㅅ’으로 발음한다.
받침 ‘ㄹ\'을 다음 음절의 초두음으로 발음하지 않고, 앞 음절의 받침으로 발음한 다.
어미에 특징적인 것이 많다.
1) ‘다’를 ‘더’로 발음한다. 예) 합니다, 합시다 → 합니더, 합시더
2) ‘까’를 ‘꺼’로 발음한다. 예) 합니까 → 합니꺼
3) 그 외 예) ‘머 잡십니껴?’ , 이기 우리 집이제’ , ‘보이소’ , ‘이리오시이소’ 4) 의문법어미가 ‘-나’와 ‘-노’, ‘-가’와 ‘-고’로 교체된다.
예) ‘예, 아니요’를 요구하는 단순한 물음일 경우 → ‘비오나?’ ‘이거 니꺼가?’
예) ‘누구, 무엇, 어디, 언제, 왜’ 등의 의문사에서 ‘ㅗ\'계 어미를 취한다.
→ ‘어데가노?’ ‘이거 누구 책이고?’
‘-고 하-’를 ‘카’로 줄여서 발음한다.
예) ‘뭐라고 하느냐, 너라고 하는 사람’ → ‘머라카노, 니라카는 사람’
‘-려고 하-’가 ‘락카’로 발음한다. 예) ‘가려고 한다’ → ‘갈락칸다’
주로 단형의 부정법을 취한다. 예) ‘좋지 않다, 걱정스럽지 않다’ →‘안좋다, 안걱 정스럽다’
타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어휘가 있는데, 경상도 안에서도 얼마간씩 갈린다.
예) 할배(할아버지), 정구지(부추), 시껍했다(놀랐다), 머라칸다(꾸짖는다), 하모(물 론)
② 전라도 사투리의 특징
중세국어 ‘,ㅸ\'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각각 ‘ㅅ’과 ‘ㅇ’으로 살아남았다.
예) 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무수(무우), 부석(부엌), 나숭개(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저으니), 낫았다(나았다)
새비(새우), 누베(누에), 추비(추위), 더버서(더워서), 달버요(달라요), 고바서(고 와서)
중세국어 ‘ ’가 ‘ㅗ’로 변한 특이한 단어들이 있다.
예) 포리(←리), 폿/포치(←), 폴(←), 모실(←), 몰(←), 놈(←), 노 물(←),
사회방언은 지역 방언과 함께 2대방언의 하나를 이룬다. 그러나 사회방언은 지역방언 만큼 일찍부터 방언학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어느 사회에나 사회방언이 없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사회방언간의 차이는 지역방언들 사이의 그것만큼 그렇게 뚜렷하지 않게 때문이었다. 가령 20대와 60대 사이에는 분명히 방언차(사회방언으로서의 차이)가 있지만, 그 차이가 전라도방언과 경상도방언 사이의 그것만큼 뚜렷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며, 남자와 여자사이의 방언 차이 역시 마찬가지다. 사회계층간의 방언차는 사회에 따라서는 상당히 현격한 차이를 보여 일찍부터 논의의 대상이 되어 오기는 하였다. 인도에서의 카스트에 의해 분화된 방언, 미국에서의 흑인영어의 특이성,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양반 계층과 일반 계층 사이의 방언차 등이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계층간의 방언분화는 역시 어느 사회에서나 발견되는 것이 아니어서 지역간의 방언분화만큼 일반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최근 사회언어학의 대두에 따라 점차 큰 관심의 대상이 될 때까지는 방언학의 중심 문제가 되지 못하였다.
(4) 방언의 음운
음운은 성별, 연령, 직업, 신분, 지역 따위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특히, 문자로 기록되지 않고, 일정한 규칙으로 제약되지 않는 방언의 음운은 더욱 그러하다.
① 음운 체계
각 방언의 음운 체계는 다르다. 자음과 반모음의 경우에는 별 차이가 없는 듯하나 모음의 경우에 특히 다르다. 방언의 모음은 장년층 이상에서는 아홉으로 \'3서 3계 4각 조직\'이나 연소층에서는 /i, w, u, o, E, e, a/의 일곱으로 \'3서 3계 3각 조직\'으로 보기도 한다. 이 차이는 연소층의 /E/가 장년층의 /e/를 수용하고, 또 \'ㅏ의 후고음(後高音)\' /·/가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연소층에서도 불안정하게나마 /·/가 쓰이는 것으로 보아 그 수를 여덟으로 보아둔다. 이 여덟 가운데 표준어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기본 모음으로 쓰였던 /·/가 강한 세력으로 쓰인다. 이는 자료적 가치로도 귀중하다. /·/의 쓰임을 위치에 따라 살펴보자.
첫째 음절 또는 어두에서 \'몰(馬)\', 골겡이(호미), 고늘다(細), 혹교(學校), 소장(社長), 초용징(借用證)\'등으로 고유어난 한자어에 두루 쓰이고 있다.
둘째 음절에서는 \'돗돗호다, 곰곰호다, 돈돈호다, 중혹생(中學生) 농소(農事) 등으로 고유어에서는 첩음(疊音)일 때와, 한자어에서는 첩음이 아니더라도 잘 쓰인다.
그러나 고유어에서 첩음이 아닐때는 \'모음(心), 고늘다(細), 고믐(旱)\' 등으로 \'ㅗ\"가 주로\"ㅡ\"로 바뀌어 쓰인다.
고유어나 한자어에서 원래 /·/가 아닌 음이 이 세력에 이끌리어 /·/로 쓰이는 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 가라지고라지, 적다(記)족다(기록하다), 적시다 족지다
잠좀(寢), 한숨혼숨 등이 그렇다.
② 음운 변이
음운의 변이 현상은 전반적으로 한국어로서 나타나는 것은 다룰 필요가 없고, 그 방언에서만 나타난 특수한 현상만을 찾아내어야 할 것이다. 음운변이 현상에서는 또한 역사적인 음의 변천도 일수 있다. 현대어의 ‘가위’를 방언에서 조사하여 “割子蓋→ 갇자개, 갈자개→가새, 가우→가위” 같은 공식을 얻었다. 경상도방언에서의 이른바 ‘ㅂ 변칙용언’ 인 ‘추버, 더버’ 등에서 ‘ ㅂ→ㅸ→오/우’와 같은 변천도 알아낼 수 있다.
Ⅴ. 지역별 방언
① 경상도 사투리의 특징
경상도의 말은 성조어 (음의 높고 낮은 것에 의해 단어의 뜻이 구별된다) 이다.
예) 밤; 장음: 먹는 밤 밤; 높은음: 저녁
단음: 저녁 낮은음: 먹는 밤
거센 억양 ; 성조와 관계가 있다.
음장 ; 대체로 보이지 않는다.
‘ㅐ’와 ‘ㅔ’의 대립과 ‘ㅓ’와 ‘ㅡ’의 대립을 찾아보기 어렵다.
모음의 수가 전국적으로 가장 적다.
자음 중 ‘ㅆ’을 된소리로 발음하지 못하고 ‘ㅅ’으로 발음한다.
받침 ‘ㄹ\'을 다음 음절의 초두음으로 발음하지 않고, 앞 음절의 받침으로 발음한 다.
어미에 특징적인 것이 많다.
1) ‘다’를 ‘더’로 발음한다. 예) 합니다, 합시다 → 합니더, 합시더
2) ‘까’를 ‘꺼’로 발음한다. 예) 합니까 → 합니꺼
3) 그 외 예) ‘머 잡십니껴?’ , 이기 우리 집이제’ , ‘보이소’ , ‘이리오시이소’ 4) 의문법어미가 ‘-나’와 ‘-노’, ‘-가’와 ‘-고’로 교체된다.
예) ‘예, 아니요’를 요구하는 단순한 물음일 경우 → ‘비오나?’ ‘이거 니꺼가?’
예) ‘누구, 무엇, 어디, 언제, 왜’ 등의 의문사에서 ‘ㅗ\'계 어미를 취한다.
→ ‘어데가노?’ ‘이거 누구 책이고?’
‘-고 하-’를 ‘카’로 줄여서 발음한다.
예) ‘뭐라고 하느냐, 너라고 하는 사람’ → ‘머라카노, 니라카는 사람’
‘-려고 하-’가 ‘락카’로 발음한다. 예) ‘가려고 한다’ → ‘갈락칸다’
주로 단형의 부정법을 취한다. 예) ‘좋지 않다, 걱정스럽지 않다’ →‘안좋다, 안걱 정스럽다’
타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어휘가 있는데, 경상도 안에서도 얼마간씩 갈린다.
예) 할배(할아버지), 정구지(부추), 시껍했다(놀랐다), 머라칸다(꾸짖는다), 하모(물 론)
② 전라도 사투리의 특징
중세국어 ‘,ㅸ\'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각각 ‘ㅅ’과 ‘ㅇ’으로 살아남았다.
예) 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무수(무우), 부석(부엌), 나숭개(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저으니), 낫았다(나았다)
새비(새우), 누베(누에), 추비(추위), 더버서(더워서), 달버요(달라요), 고바서(고 와서)
중세국어 ‘ ’가 ‘ㅗ’로 변한 특이한 단어들이 있다.
예) 포리(←리), 폿/포치(←), 폴(←), 모실(←), 몰(←), 놈(←), 노 물(←),
키워드
추천자료
방송언어
표준어국어문법론
성별 언어 연구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
[사회과학] 정신건강과 정신장애의 개념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방송언어][방송언어오용][방송][언어][언어파괴][방송용어]방송언어의 개념, 방송언어의 특...
7차고등학교 국어 문법 교과서 요약
[언어지식]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기본방향, 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필요성, ...
국어의 역사(김무림) 요약, 정리
일본어(일어)의 의미, 일본어(일어)의 특징, 일본어(일어)의 기초어휘, 일본어(일어)의 지시...
최낙복 국어사 과제
모음상승
국어지식탐구 4,5장 요약 - 의미와 의미 분석 & 의미의 관계 & 어휘
사회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살펴 보고 사회 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알아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