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물의 제시(시청각자료 포함) 및 이야기 나누기의 기회가 유아그림의 심미성 및 그림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이야기 나누기의 기회를 갖지 않는 유아는 90% 정도가 전형적인 나무형태를 그렸고, 사진이나 그림을 보면서 이야기를 나눈 뒤 그림을 그린 유아는 다양하고도 사실적인 나무형태를 그렸다고 보고 하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이야기를 나눔으로서 사물에 대해 시각적 변별력을 높이고 상상의 기회를 가지므로 미술활동이 보다 창의적으로 된다는 것이다.
(2) 아동의 능력과 잠재력을 주의깊게 파악하고 깨우쳐 주는 눈을 가져야 한다.
신정숙(1989)은 시각을 발달시켜 유아의 관찰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찰형 질문을 받은 유아의 그리기 표현이 자유방임으로 그리게 했던 집단의 유아보다 그리기 표현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의 지각력 인식력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유아의 행동, 호기심의 대상, 인식의 정도, 이해의 정도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적절하게 말을 건네줌으로서 사물에 대한 유아의 지각적 인식수준 및 표현력을 길러준다.
(3) 어린이들이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예) 상상력을 자극하는 대화를 나눈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대화는 유아의 창의력을 신장시킨다. 상상을 하는 동안 어린이들은 일상생활에서 보게 되는 사물을 보다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상을 하므로서 어린이들은 시각적 상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묶어 볼 수 있고, 관계를 맺어보고, 확대해 보며 변화 적용도 해 볼 수 있다. 이때 어른 들이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질문들을 하면 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볼 수 있다.
① 얼룩말이 어떻게 생겼는지 아니? 얼룩새가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까?
② 이 세상에는 에베레스트산이 제일 높단다. 이 산보다도 더 높은 코를 가진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 코를 기어올라간다고 상상해 볼 수 있겠니?
③ 사람들이 걷는 길거리가 모두 바나나 껍질로 되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니?
④ 우리동네 보도블럭 색깔은 예쁜 색깔이 아니지? 우리 동네 블록등을 조각 이불처럼 색색으로 하면 어떻게 될까?
(4) 유아가 자유롭게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5) 미술을 다양한 표현 방법, 재료 등을 알고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유아들의 미술활동을 돕기 위해 미술가들이 사용하던 많은 표현 기법들을 적용한다. 이러한 기법은 유아들의 표현을 더 풍성하게 하고, 미술활동을 더욱 재미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예) ① 드립페인팅 - 붓, 나이프 등 유화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유화물감을 캔버스에 붓거나 뿌리는 기법으로 그리는 행위를 강조 - 추상표현주의의 잭슨 폴록이 개발한 기법
② 프로타주 - 올록 볼록한 것 위에 종이를 대고 연필 등으로 문지르면 피사물의 무늬과 베껴진다. 그때의 효과를 조형상에 응용한 기법으로 우연이나 무의식을 존중하는 초현실주의에 의해 다루어 졌다.
③ 포토몽타주 - 사진과 그림, 문자 또는 사진의 기하학적인 형, 선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초현실주의 화가들이 즐겨쓰던 표현이다.
- 13 -
(6) 개방적인 사고와 태도로 수업에 임해야 한다.
(7) 어린이의 발달에 맞는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는 미술활동이 유아의 흥미와 발달적 능력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제공된 자료들이 적절한 수준에 있는지, 다음에는 무엇을 준비해 주어야 하는지, 유아가 발달적으로 어느단계에 있는지, 유아의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해 어떤 도움을 주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관찰을 해야 한다.
유아들의 연령이 어리면 어릴수록 사물의 구체적 특징을 관찰하게 하는 질문을 하기 보다 유아들이 자유롭게 탐색하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질문이라도 적절한 시기에 하지 않으면 간섭이 되고 성인위주의 교수 방법이 될 수 있다.
(8) 표현뿐만 아니라 이해와 감상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도의 예 - ‘해바라기 그림감상’
교수 지도자료 : 고흐의 ‘해바라기’/클림트의 ‘해바라기가 있는 정원’/고갱의 ‘해바라기 정물화’
① 해바라기 그림을 차례로 보여주고, 무엇을 그렸는지 이야기 나눈후 (화가들이 무엇을 그린 것일까?/왜 그렇게 생각하니?/이 그림들은 느낌이 어떻니?), 다시 해바라기 그림을 한 장씩 다시 보면서 각 그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림 속의 사람은 누굴까? 왜 해바라기를 함께 그렸을까? 해바라기는 어디에 있니?-의자위에, 화병에, 꽃밭에 등)
② 해바라기 그림의 서로 다른점 (어떤 그림의 꽃이 가장 활짝 피었나?/그림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
어떻게 알 수 있니?)
③ 실제 해바라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후, 해바라기의 다양한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현상하여 벽면에 게시후, 그려보는 활동을 제안
(9) 유아가 미술시간을 즐겁게 생각할 수 있도록 자유롭고 혀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10) 교사는 어린이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교사는 활동에서 중요한 것이 활동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과정에서 적절한 반응과 강화를 한다.
(11) 미술수업의 평가는 매우 어려우며 그 평가에 따라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므로 직접적인 평가는 되도록 피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도록 하며, 학생들끼리 평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① 개인평가
아동중심교육을 펴고 있다고 믿는 교사들은 유아들의 미술 작품에 대해 논평하는 것을 꺼린다. 유아의 미술 작품을 비판하게 되고 이 행위로 인해 어린이들의 자아존중감이 손상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은 어린이들이 미술작품을 가져오면 “참 잘했다” “좋은데”등 일반적이고 보편적 인 언어를 사용하여 뭉뚱그려 칭찬하곤 한다. 이러한 개괄적 논평은 미술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혼돈에 빠뜨린다.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정해 주거나 지지해 주지 않는다면 어린이 들은 미술활동을 해보려는 마음을 잃게 될 것이므로 교사들은 어린이들의 미술작품에 대해 보다 구체적 으로 이야기 나눌 필요가 있다. “색깔을 여러 종류
(2) 아동의 능력과 잠재력을 주의깊게 파악하고 깨우쳐 주는 눈을 가져야 한다.
신정숙(1989)은 시각을 발달시켜 유아의 관찰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찰형 질문을 받은 유아의 그리기 표현이 자유방임으로 그리게 했던 집단의 유아보다 그리기 표현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의 지각력 인식력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유아의 행동, 호기심의 대상, 인식의 정도, 이해의 정도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적절하게 말을 건네줌으로서 사물에 대한 유아의 지각적 인식수준 및 표현력을 길러준다.
(3) 어린이들이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예) 상상력을 자극하는 대화를 나눈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대화는 유아의 창의력을 신장시킨다. 상상을 하는 동안 어린이들은 일상생활에서 보게 되는 사물을 보다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상을 하므로서 어린이들은 시각적 상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묶어 볼 수 있고, 관계를 맺어보고, 확대해 보며 변화 적용도 해 볼 수 있다. 이때 어른 들이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질문들을 하면 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볼 수 있다.
① 얼룩말이 어떻게 생겼는지 아니? 얼룩새가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까?
② 이 세상에는 에베레스트산이 제일 높단다. 이 산보다도 더 높은 코를 가진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 코를 기어올라간다고 상상해 볼 수 있겠니?
③ 사람들이 걷는 길거리가 모두 바나나 껍질로 되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니?
④ 우리동네 보도블럭 색깔은 예쁜 색깔이 아니지? 우리 동네 블록등을 조각 이불처럼 색색으로 하면 어떻게 될까?
(4) 유아가 자유롭게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5) 미술을 다양한 표현 방법, 재료 등을 알고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유아들의 미술활동을 돕기 위해 미술가들이 사용하던 많은 표현 기법들을 적용한다. 이러한 기법은 유아들의 표현을 더 풍성하게 하고, 미술활동을 더욱 재미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예) ① 드립페인팅 - 붓, 나이프 등 유화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유화물감을 캔버스에 붓거나 뿌리는 기법으로 그리는 행위를 강조 - 추상표현주의의 잭슨 폴록이 개발한 기법
② 프로타주 - 올록 볼록한 것 위에 종이를 대고 연필 등으로 문지르면 피사물의 무늬과 베껴진다. 그때의 효과를 조형상에 응용한 기법으로 우연이나 무의식을 존중하는 초현실주의에 의해 다루어 졌다.
③ 포토몽타주 - 사진과 그림, 문자 또는 사진의 기하학적인 형, 선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초현실주의 화가들이 즐겨쓰던 표현이다.
- 13 -
(6) 개방적인 사고와 태도로 수업에 임해야 한다.
(7) 어린이의 발달에 맞는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는 미술활동이 유아의 흥미와 발달적 능력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제공된 자료들이 적절한 수준에 있는지, 다음에는 무엇을 준비해 주어야 하는지, 유아가 발달적으로 어느단계에 있는지, 유아의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해 어떤 도움을 주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관찰을 해야 한다.
유아들의 연령이 어리면 어릴수록 사물의 구체적 특징을 관찰하게 하는 질문을 하기 보다 유아들이 자유롭게 탐색하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질문이라도 적절한 시기에 하지 않으면 간섭이 되고 성인위주의 교수 방법이 될 수 있다.
(8) 표현뿐만 아니라 이해와 감상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도의 예 - ‘해바라기 그림감상’
교수 지도자료 : 고흐의 ‘해바라기’/클림트의 ‘해바라기가 있는 정원’/고갱의 ‘해바라기 정물화’
① 해바라기 그림을 차례로 보여주고, 무엇을 그렸는지 이야기 나눈후 (화가들이 무엇을 그린 것일까?/왜 그렇게 생각하니?/이 그림들은 느낌이 어떻니?), 다시 해바라기 그림을 한 장씩 다시 보면서 각 그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림 속의 사람은 누굴까? 왜 해바라기를 함께 그렸을까? 해바라기는 어디에 있니?-의자위에, 화병에, 꽃밭에 등)
② 해바라기 그림의 서로 다른점 (어떤 그림의 꽃이 가장 활짝 피었나?/그림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
어떻게 알 수 있니?)
③ 실제 해바라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후, 해바라기의 다양한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현상하여 벽면에 게시후, 그려보는 활동을 제안
(9) 유아가 미술시간을 즐겁게 생각할 수 있도록 자유롭고 혀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10) 교사는 어린이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교사는 활동에서 중요한 것이 활동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과정에서 적절한 반응과 강화를 한다.
(11) 미술수업의 평가는 매우 어려우며 그 평가에 따라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므로 직접적인 평가는 되도록 피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도록 하며, 학생들끼리 평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① 개인평가
아동중심교육을 펴고 있다고 믿는 교사들은 유아들의 미술 작품에 대해 논평하는 것을 꺼린다. 유아의 미술 작품을 비판하게 되고 이 행위로 인해 어린이들의 자아존중감이 손상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은 어린이들이 미술작품을 가져오면 “참 잘했다” “좋은데”등 일반적이고 보편적 인 언어를 사용하여 뭉뚱그려 칭찬하곤 한다. 이러한 개괄적 논평은 미술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혼돈에 빠뜨린다.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정해 주거나 지지해 주지 않는다면 어린이 들은 미술활동을 해보려는 마음을 잃게 될 것이므로 교사들은 어린이들의 미술작품에 대해 보다 구체적 으로 이야기 나눌 필요가 있다. “색깔을 여러 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