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학적 관리론
2. 관료제이론
3. 동기이론
4. 인간관계이론
2. 관료제이론
3. 동기이론
4. 인간관계이론
본문내용
성선설
관리전략
강제, 명령, 통제, 금전에 의한 유인, 위협, 벌칙 등을 사용해야 한다(과학적 관리론, 권위주의적 Leadership이론과 일치함).
· 명령, 통제를 줄이고 개개인이 자발적 근무의욕과 동기가 발생하도록 유인해야 한다.
· 사회심리적 욕구의 충족을 중시(인간관계론과 민주적 Leadership이론과 일치함).
(6) Argyris의 미숙 · 성숙이론
미성숙단계
성숙단계
· 수동적 행위
· 의타심
· 단순하고 한정된 행동
· 단기적 관점
· 종속적 지위
· 자아의지 결여
→ 능동적(증대적) 행위
→ 독립심(자율적 존재)
→ 복잡하고 다양한 행동
→ 장기적 전망
→ 대등한 또는 우월한 지위
→ 자아의지와 자기통제
① 허즈버그(F. Herzberg)의 동기 · 위생이론이 개인의 직무수행태도에 관점을 둔 연구를 한 반면에, 아지리스(Chris Argyris)의 미숙 · 성숙이론은 조직풍토의 측면에서 발전된 이론이다.
② 미숙 · 성숙이론은 조직 내의 구성원들에게 책임의 폭을 넓혀 주고 믿음으로 대해 주며, 직장에서 성장 · 성숙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게 되면 구성원의 자아실현욕구를 충족시켜 줌과 동시에 조직의 욕구도 충족되며 조직의 목표가 쉽게 달성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③ 아지리스는 개인의 미숙과 성숙을 하나의 연속적인 발전과정으로 파악하고 개인이 미숙에서 성숙에로 변화되는 것은 개인 자신은 물론 조직목적 달성에도 유익하다고 하였다.
④ 모든 인간 유기체는 미숙과 성숙의 연속선상에 존재하며, 또한 모든 인간 유기체는 성숙에로의 기본적 욕구를 지닌다. 따라서 직장생활과 과업수행 자체를 통하여 성숙의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
4. 인간관계이론
(1) 인간관계론의 등장
① 기업에서 지나친 능률향상을 목표로 하여 인간을 기계적인 도구처럼 보는데 대한 발발 로 인하여 나타났다.
② 메이요(E.D. Mayo)가 미국의 시카고 서부 교외의 전기회사 호손(Hawthorne)공장에서 행한 호손 실험연구를 통해 성립되었다(1924~1932). 이 실험결과 인간관계의 중요성 이 입증되었다(인간관계론을 확린시킨 연구).
(2) Hawthorne의 실험의 의의
① 생산량의 증대는 기술의 조직보다 인간관계의 조직에 의존함이 크다.
② 직원의 근무는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만 자극을 받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대인관계), 심리적(감정, 비합리성)인 요인에 의하여도 크게 자극을 받으므로, 비경제적인 보상도 인간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③ 대인관계와 비공식적인 자생집단을 통한 소외감의 배제가 중요하다.
④ 개인의 사회 · 심리적 욕구충족을 통한 안정감과 만족감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왜냐하면 사기는 작업집단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3) 인간관계론의 영향
① 자생집단(비공식집단)의 중요성을 인식
② 사기의 중요성을 강조
③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정
④ 사회적 능률관의 성립
(4) 교육행정에의 적용(Moelhman, Koopman, Yauch)
① 교육제도, 방법, 이념, 과정, 평가의 민주화
② 교육에서 인간관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관리전략
강제, 명령, 통제, 금전에 의한 유인, 위협, 벌칙 등을 사용해야 한다(과학적 관리론, 권위주의적 Leadership이론과 일치함).
· 명령, 통제를 줄이고 개개인이 자발적 근무의욕과 동기가 발생하도록 유인해야 한다.
· 사회심리적 욕구의 충족을 중시(인간관계론과 민주적 Leadership이론과 일치함).
(6) Argyris의 미숙 · 성숙이론
미성숙단계
성숙단계
· 수동적 행위
· 의타심
· 단순하고 한정된 행동
· 단기적 관점
· 종속적 지위
· 자아의지 결여
→ 능동적(증대적) 행위
→ 독립심(자율적 존재)
→ 복잡하고 다양한 행동
→ 장기적 전망
→ 대등한 또는 우월한 지위
→ 자아의지와 자기통제
① 허즈버그(F. Herzberg)의 동기 · 위생이론이 개인의 직무수행태도에 관점을 둔 연구를 한 반면에, 아지리스(Chris Argyris)의 미숙 · 성숙이론은 조직풍토의 측면에서 발전된 이론이다.
② 미숙 · 성숙이론은 조직 내의 구성원들에게 책임의 폭을 넓혀 주고 믿음으로 대해 주며, 직장에서 성장 · 성숙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게 되면 구성원의 자아실현욕구를 충족시켜 줌과 동시에 조직의 욕구도 충족되며 조직의 목표가 쉽게 달성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③ 아지리스는 개인의 미숙과 성숙을 하나의 연속적인 발전과정으로 파악하고 개인이 미숙에서 성숙에로 변화되는 것은 개인 자신은 물론 조직목적 달성에도 유익하다고 하였다.
④ 모든 인간 유기체는 미숙과 성숙의 연속선상에 존재하며, 또한 모든 인간 유기체는 성숙에로의 기본적 욕구를 지닌다. 따라서 직장생활과 과업수행 자체를 통하여 성숙의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
4. 인간관계이론
(1) 인간관계론의 등장
① 기업에서 지나친 능률향상을 목표로 하여 인간을 기계적인 도구처럼 보는데 대한 발발 로 인하여 나타났다.
② 메이요(E.D. Mayo)가 미국의 시카고 서부 교외의 전기회사 호손(Hawthorne)공장에서 행한 호손 실험연구를 통해 성립되었다(1924~1932). 이 실험결과 인간관계의 중요성 이 입증되었다(인간관계론을 확린시킨 연구).
(2) Hawthorne의 실험의 의의
① 생산량의 증대는 기술의 조직보다 인간관계의 조직에 의존함이 크다.
② 직원의 근무는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만 자극을 받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대인관계), 심리적(감정, 비합리성)인 요인에 의하여도 크게 자극을 받으므로, 비경제적인 보상도 인간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③ 대인관계와 비공식적인 자생집단을 통한 소외감의 배제가 중요하다.
④ 개인의 사회 · 심리적 욕구충족을 통한 안정감과 만족감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왜냐하면 사기는 작업집단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3) 인간관계론의 영향
① 자생집단(비공식집단)의 중요성을 인식
② 사기의 중요성을 강조
③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정
④ 사회적 능률관의 성립
(4) 교육행정에의 적용(Moelhman, Koopman, Yauch)
① 교육제도, 방법, 이념, 과정, 평가의 민주화
② 교육에서 인간관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추천자료
학교 경영모델
학교 경영 기법
모의사례를 통한 학교 경영에 관한 보고서
초등학교 학급경영
학교도서관의 경영환경과 자원
단위학교 자율경영제
학교 경영에 대한 이해
사회변화와 단위학교 자율 책임 경영 확립방안
단위학교 자율경영제
[정신자세(마음가짐), 공인]공인, 외식업경영자의 정신자세(마음가짐), 보상서비스맨, 벤처기...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여러학자의 행정과정 참작 교육행정과정 공통요소 ①의사결정, ②기획, ③...
[교육행정및경영4공통]교육행정과정에 대한 설명 &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각 과정의 실...
[2017 2학기 교육행정및경영] 대표적인 교육행정학인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
(방통대 교육학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