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텍스터에서 남성이 여성을 유혹하는 언어적 기술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텍스터에서 남성이 여성을 유혹하는 언어적 기술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문

2. 본문
2.1 영화 ‘스캔들’에서의 작업
2.1.1 화용음운론적 분석
2.1.2 화용형태론적 분석
2.1.3 화용통사론적 분석
2.1.4 화용담화적 분석

2.2. 영화 ‘연애의 목적’에서의 작업
2.2.1 화용음운론적 분석
2.2.2 화용형태론적 분석
2.2.3 화용통사론적 분석
2.2.4 화용담화적 분석

3. 결론

본문내용

제시하지만 조원의 마음은 이미 딴 곳에 가있다. 9년간 수절하며 열녀문까지 하사받은 정절녀 숙부인이 바로 그 상대. 나름대로 신념을 갖고 선택적 삶(천주교도)을 살아가는 학처럼 고고한 성품의 소유자 숙부인을 유혹하려는 조원은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조선시대 최고의 바람둥이에게도 천하의 정절녀를 정복하기란 그리 녹녹치 않지만, 조원은 결국 그녀를 손에 넣게 된다. 하지만 그는 그녀에게 빠지게 되고, 이런 조원을 조씨부인은 비웃는다. 결국 자신의 자존심을 위해서 숙부인을 버린 조원. 그러나 조원은 숙부인을 사모하던 무관에게 칼을 맞게 되고, 결국 죽게 된다. 그 사실을 안 숙부인은 본인도 물에 빠져죽는다. 이런 그들의 이야기는 됴씨추문록이라는 책으로 엮여 나오게 되어, 그들의 이야기는 후세로 전해지게 된다.
지금부터 이 영화들을 통해서 남성들의 ‘작업의 기술’에 대하여 화용론적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2.1 영화 ‘스캔들’에서의 작업
영화 스캔들에서는 조원이 숙부인에게 접근하려는 장면과 그녀와 가까워지기 위하여 노력하는 장면, 그 두가지를 분석해보기로 하겠다.
S1)조원이 숙부인에게 접근하는 장면
조원: 부인, 이걸 두고 가셨소이다.
숙부인: 은실아, 호의는 잘 알겠사오니 받은바 진부하겠다고 여쭈어라
은실이: 나으리, 호의는 잘 알겠사오니 받은바 진부….
조원: 아니, 사람이 면전에 있는데 어찌 처다도 안보고 말씀을 전한단 말이시오
숙부인: 남녀가 유별한데 발도 치지 않고 어찌 대면할 수 있겠냐고 전하여라
은실이: 남녀가 유별한데 어찌….
조원: 부인.
(3초간의 휴지)
조원: 밤마다 집회에선 숫한 남정네들 앞에서 그토록 온화하고 부드러운 웃음을 보이시면서, 어찌 백주대낮에 호의를 뵈려 하는 제겐, 어찌 몸종을 두고 멀리하려고 하십니까.
숙부인: 점잖으신 분이 어쩜 남의 처자의 행적을 캐고 다니시는지 심히 불편하다고 여쭈어라.
은실이: 점잖으신 분이 어찌..
조원: 어허, 시끄럽구나. 너는 저만치 가있거라.
흠...
(몸종 물러간다)
조원: 평소 부인의 후덕함과 고귀한 성품을 존화한 나머지 예가 아닌 줄 아오나 이를 무릅쓰고 나섰소이다. 그러니 잠시만 대면할 기회를 주시지요.
숙부인: 이 광경, 남들 보기 좋은 모습이 아닐 듯 하옵니다.
조원: 남들 이목이 무슨 상관이란 말이오. 부인은 관습과 평판에 얽매이지 않고 옳은 일에 앞장서는, 소위 깨이신 분이 아니시던가요.
숙부인: 저에 대해 잘 아실 리도 없겠지만, 관습을 깨뜨리는 것은 제 바램이 아닙니다. 봉사를 실천하는 것과 이런 장소에서 외간남자를 마주하는 것은 거리가 있는 일이지요. 혹여, 제게 모욕을 주려 이러시는 건지요.
조원: 모욕이라니요, 당치도 않소이다.
숙부인: 부호군 나으리, 지금 같은 행동이 저 같은 아녀자들에겐, 충분히 모욕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시옵니까.
(3초간 휴지)
숙부인: 은실아 어서 가자.
조원: (차통을 건네며)아씨께 전해드려라.
S2) 조원이 그녀와 가까워지기 위하여 노력하는 장면
불량배1: 오~
숙부인: 헉!
불량배 1: 거 귀하신 몸 같은데, 어찌 혼자 돌아다니시나~
(뒤로 돌아서니 불량배 둘이 다가온다)
불량배2, 3: 거 아주 우아하신 부인일세 그려.
숙부인: 비켜서시오!
불량배 1: 비키면, 가실 것 아니오?
(반대편으로 돌아서나 또 다른 불량배가 막아선다)
불량배 3: (장옷을 벗기며)쓰읍…그래야 같이 즐길 수 있지!
(칼을 꺼내든다)
숙부인: 소리를 지를테오!
불량배 3: 아이고 무서워라~이러시면 안되지~ 우리가 그동안 즐기지 못했거든요?
불량배 1: 같이 즐겨야겠네~
조원: (갑자기 나타나면서)대체 무슨 짓거리냐!
(한차례의 격투 후)
조원: 이놈들이 아직 정신을 못차리는구나!
(또 한차례의 격투후, 불량배들이 도망간다)
조원: 괜찮으시오 부인.
숙부인: 고맙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조원: 마침 내가 이리로 지나가고 있었으니 망정이지 큰일 날 뻔 하셨소. 귀하신 몸, 조심하셔야지요.
숙부인: 고맙습니다.
조원: 그럼 전 이만.
숙부인: 저 나으리, 저, 제가, 잠시 길을 잃어서 그런데….
조원: 저런, 그러시지요. 허락하신다면 제가 댁까지 모셔다 드리지요.
(아무 말 없이 데려다 준다)
(길가에 있는 정자를 보면서)
조원: 참으로 아름답지 않소?
숙부인: 하아..
조원: 이제 놀란 맘이 좀 진정이 되셨소?
숙부인: 예, 나으리도..
조원: 세상은 험한 곳이고, 또 인간은 얼마나 금수같은 존재인지.. 스스로 돌아보건데, 내 인생은 칭찬받을 것도, 비난 받을 것도 없는 나약한 것이었소. 난 내 자신이 불행하게 되리란 것을 잘 알면서, 어쩔 수 없이 그렇게 살아왔소이다.
숙부인: 인간의 본성이란..원래 완전치 못한 것이 아닐런지요. 선한 자에게도 약점이 있듯이, 악한 자에게도 위덕은 있는 법이지요.
조원: 나라는 인간은 욕정에 많이 끌려서 살아왔기에, 아직 사랑의 고통을 모르고 있었던 듯 하오. 허어…. 아, 서사에선 본의 아니게 당황케 하여 미안하오. 허나, 부디 모욕이란 말은 거둬주실 수 없겠소? 난 다만, 부인에게 견줄 수 있는 인간이 되려고 노력했을 뿐인데….
숙부인: (앞으로 나서며)제가 행하는 작은 베풂이란, 존경심을 얻기 위함이 아닌 저 자신의 평온을 이루기 위함이니, 저 역시 이기적인 인간에 불과합니다.
2.1.1 화용음운론적 분석
위의 자료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운규칙을 보인다.
비음동화
하십니까→[하심니까] 하옵니다→[하옴니다]
아니옵니다→[아니옴니다] 모르십니까→[모르심니까]
고맙습니다→[고맙슴니다] 불과합니다→[불과함니다]
마찰음 ‘ㅎ’탈락
않고→[안꼬] 옳은→[오른]
괜찮으시오→[괜차느시오]
2.1.2 화용형태론적 분석
위의 자료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론적 현상을 보인다.
(1) 보조용언
멀리하려고 하십니까, 진부하겠다고 여쭈어라, 있겠냐고 전하여라, 가있거라 등
(2) 접사
(받은)바, (발)도 등
2.1.3 화용통사론적 분석
(1) 격식체 ‘~습니다.’, ‘~었소’, ‘~지요’,의 압도적인 사용
(2) 한자어 ‘위덕’, ‘존화’, ‘진부’, ‘행적’ 등의 사용
2.1.4 화용담화적 분석
담화표지
주인공들이 사옹한 담화표지를 모두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