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한류의 성공 사례 소개
본론
2. 한류의 아시아 점유율
3. 한류의 진행과정
4. 한류의 성공이유
결론
5. 한류의 향후 전망
1. 한류의 성공 사례 소개
본론
2. 한류의 아시아 점유율
3. 한류의 진행과정
4. 한류의 성공이유
결론
5. 한류의 향후 전망
본문내용
을 할 수 있다. 즉 다른 나라의 문화를 접하게 되어 부족함을 알게 되고 후에 그에 걸 맞는 문화에 대한 향상 점을 찾게 되어 주류를 이을 만한 문화를 형성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성숙함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국 내에선 볼 수 없는 한국만의 특성에 포인트를 맞출 필요가 있다. 그것이 인물이든 문화든 생활수준이든 간에 한국의 특성이 ane어나 있거나 동경할 수 있을 만한 매력이 있어야 한다. 이런 성공비결에 의한 최초 시작부터 한류의 성공사례를 알아보도록 하자.
[표-1] 한류의 분야별 성공사례
시기
분야및 연예인
성과내용
1997년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중국 CCTV(중앙TV) 채널1 방영. 4.2%의 높은 시청률 기록.
1998년 5월
MBC드라마 ‘의가형제’
베트남 호치민TV 황금시간대 방영. 7월에 재방영되는 등 인기 누려
99년 3월
2인조 그룹 ‘클론’
한국과 대만에서 동시 앨범 발매.
99년 4월
영화 ‘쉬리’
당시로선 한국영화 사상 최고가인 ‘최저보장수익 130만달러’에 일본 수출. 120만명 관람
99년 중반
중국 언론에서 ‘한류(韓流)’ 본격적 언급
다른 문화가 매섭게 파고든다는 뜻의 ‘寒流’의 동음이의어로 통용
2000년 2월
그룹 ‘HOT’
베이징공연 성공
2001년 2월
KBS 드라마 ‘가을동화’
대만 방송 시청률 1위 기록
2002년 1월
가수 보아
오리콘 싱글차트 3위로 일본 가요계 데뷔
그 후 오리콘 차트 1위와 여섯 차례의 일본 콘서트 완전매진 기록.
2002년 6월
가수 ‘보아\'
프랑스 르몽드지에 ‘일본에서 성공을 거둔 젊은 아티스트’로 소개.
2002년 10월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 ‘이브의 모든 것’ 방영
멕시코 공영방송 ‘메히켄세’,안재욱 팬클럽 등 한국동호회 4개 결성. 회원 1200명 넘어
2003년 5월
SBS드라마 ‘명랑소녀 성공기’
한국 최초로 필리핀 지상파 TV GMA와 드라마 공급 계약 체결. 같은 해 5월 3일부터 한국 드라마 최초로 홍콩의 지상파로 방송.
2004년 4월
‘겨울연가’
지상파방송인 NHK 2TV를 통해 방송
2004년 7월
배우 최지우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 배우 최지우 면담. 한국 드라마에 관심 표명.
[표-1]을 살펴보면 97년 시작한 드라마를 시작으로 영화 음반 드라마 등으로 한국에서 수많은 인기를 누렸던 프로그램들이 해외에서 인기를 누리게 되었고 이것이 끝이 아닌 아직도 가수 ‘보아’라든가 배우 ‘배용준, 최지우’ 등은 일본 현지에서 ‘욘사마’, ‘지우히메’라는 호칭이 있을 정도의 인기를 지금도 실감을 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마케팅 전략이나 문화적으로 성공한 케이스 이고 그로 인해 많은 수익을 남겼기에 아시아에서 문화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막대한 파급효과를 본 사례들이다.
2. 한류의 아시아 점유율
독도 분쟁과 교과서 왜곡 문제가 한일 관계를 급속하게 냉각시키고 서로의 의견이 맞대응 하는 결과를 낳는 등 않 좋은 결과들이 계속 쏟아지고 있었지만 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인 남이섬은 여전히 일본 관광객들로 북적
[표-1] 한류의 분야별 성공사례
시기
분야및 연예인
성과내용
1997년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중국 CCTV(중앙TV) 채널1 방영. 4.2%의 높은 시청률 기록.
1998년 5월
MBC드라마 ‘의가형제’
베트남 호치민TV 황금시간대 방영. 7월에 재방영되는 등 인기 누려
99년 3월
2인조 그룹 ‘클론’
한국과 대만에서 동시 앨범 발매.
99년 4월
영화 ‘쉬리’
당시로선 한국영화 사상 최고가인 ‘최저보장수익 130만달러’에 일본 수출. 120만명 관람
99년 중반
중국 언론에서 ‘한류(韓流)’ 본격적 언급
다른 문화가 매섭게 파고든다는 뜻의 ‘寒流’의 동음이의어로 통용
2000년 2월
그룹 ‘HOT’
베이징공연 성공
2001년 2월
KBS 드라마 ‘가을동화’
대만 방송 시청률 1위 기록
2002년 1월
가수 보아
오리콘 싱글차트 3위로 일본 가요계 데뷔
그 후 오리콘 차트 1위와 여섯 차례의 일본 콘서트 완전매진 기록.
2002년 6월
가수 ‘보아\'
프랑스 르몽드지에 ‘일본에서 성공을 거둔 젊은 아티스트’로 소개.
2002년 10월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 ‘이브의 모든 것’ 방영
멕시코 공영방송 ‘메히켄세’,안재욱 팬클럽 등 한국동호회 4개 결성. 회원 1200명 넘어
2003년 5월
SBS드라마 ‘명랑소녀 성공기’
한국 최초로 필리핀 지상파 TV GMA와 드라마 공급 계약 체결. 같은 해 5월 3일부터 한국 드라마 최초로 홍콩의 지상파로 방송.
2004년 4월
‘겨울연가’
지상파방송인 NHK 2TV를 통해 방송
2004년 7월
배우 최지우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 배우 최지우 면담. 한국 드라마에 관심 표명.
[표-1]을 살펴보면 97년 시작한 드라마를 시작으로 영화 음반 드라마 등으로 한국에서 수많은 인기를 누렸던 프로그램들이 해외에서 인기를 누리게 되었고 이것이 끝이 아닌 아직도 가수 ‘보아’라든가 배우 ‘배용준, 최지우’ 등은 일본 현지에서 ‘욘사마’, ‘지우히메’라는 호칭이 있을 정도의 인기를 지금도 실감을 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마케팅 전략이나 문화적으로 성공한 케이스 이고 그로 인해 많은 수익을 남겼기에 아시아에서 문화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막대한 파급효과를 본 사례들이다.
2. 한류의 아시아 점유율
독도 분쟁과 교과서 왜곡 문제가 한일 관계를 급속하게 냉각시키고 서로의 의견이 맞대응 하는 결과를 낳는 등 않 좋은 결과들이 계속 쏟아지고 있었지만 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인 남이섬은 여전히 일본 관광객들로 북적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야구르트의 마케팅 전략 (마케팅사례,마케팅성공사례)
기업의 문화 마케팅 허와 실-성공사례와 실패사례
자라 (ZARA) SCM 성공사례분석 보고서 - zara 기업 소개, 성공요인
㈜레인콤(아이리버/iriver)의 성공사례 (기업소개, CEO, 조직구성, 사업영역, 환경분석, SWOT...
다각화된 기업의 관리 - 사업포트폴리오,BCG매트릭스,기업의다각화성공사례,기업다각화실패사...
리더쉽의법칙,리더,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현대카드의 마케팅 - 현대카드 성공사례,신용카드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SK텔레콤 국제마케팅,SK텔레콤마케팅실패사례,SK텔레콤 미국시장진출전략,SK마케팅성공사례
락앤락(LOCK&LOCK) - 락앤락경영전략, 락앤락마케팅성공사례, Five Force model, SWOT, ...
스무디킹의 소개 -역사, 성장배경, 경쟁력, 전략, 사업 item,현지화전략성공사례,브랜드마케...
혼다(Honda)의 미국 및 중국 진출 성공사례와 인도 진출 실패사례
[경제발전론] 협동조합을 통한 호남지역 경제발전 도모 (협동조합의 이해,협동조합의 특징,협...
레진코믹스 (Lezhin Comics) 성공사례분석과 웹툰시장 현황분석 및 온라인 컨텐츠 마케팅사례...
Apple소비자의‘기억’속을 걷다 애플의 기업소개,애플경영사례,애플 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