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악장 문학의 정의
2. 형성 및 전개
3. 종류와 작자층
4. 형식
5. 가치
6. 수록문헌
7.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 원문과 현대어 풀이, 2) 전체 짜임
3) 용비어천가의 특징, 4) 작품 구성
5) 각 장의 주제와 특징, 6) 창작 동기
7) 용비어천가의 창작상황, 8) 표기법의 연구
9) 국문학상 의의
10) 용비어천가의 2행 대구 형식의 의도
11) 형상화 방법, 12) 영웅신화적 요소
13) '용비어천가'에서 주나라를 비교 대상으로 한 이유
8.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 원문과 현대어 풀이 2) 해석
3) 감상 4) 핵심정리
9. 신도가(新都歌)
1) 작품해제, 2) 원문과 현대어 풀이
3) 감상
10. 유림가
11. 감군은
12. 상대별곡
13. 결론
2. 형성 및 전개
3. 종류와 작자층
4. 형식
5. 가치
6. 수록문헌
7.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 원문과 현대어 풀이, 2) 전체 짜임
3) 용비어천가의 특징, 4) 작품 구성
5) 각 장의 주제와 특징, 6) 창작 동기
7) 용비어천가의 창작상황, 8) 표기법의 연구
9) 국문학상 의의
10) 용비어천가의 2행 대구 형식의 의도
11) 형상화 방법, 12) 영웅신화적 요소
13) '용비어천가'에서 주나라를 비교 대상으로 한 이유
8.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 원문과 현대어 풀이 2) 해석
3) 감상 4) 핵심정리
9. 신도가(新都歌)
1) 작품해제, 2) 원문과 현대어 풀이
3) 감상
10. 유림가
11. 감군은
12. 상대별곡
13. 결론
본문내용
러진 민심을 조선 왕조에 돌아오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중국 사적과의 일치점을 강조하여 중국을 모범으로 따르는 사대부들의 충성을 촉구하는 의도도 지니고 있다.
② 후왕(後王)에 대한 권계 - 경천 근민
조선 왕조의 창업 과정에서 선조들이 겪은 어려움을 밝혀, 후대 왕들에게 왕통 확립의 책임을 부여함과 동시에 경천 근민(敬天勤民)의 새로운 통치 철학을 제시하여 왕권 계승의 자세를 깨우치기 위한 것이다.
③ 훈민정음의 실용성 시험 - 권위 부여
새로운 국자(國字)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점검하는 동시에, 국가의 문자로서의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왕가의 존엄한 이야기를 기록한 것이다.
7) \'용비어천가\'의 창작 상황
① 대내적 상황 - 고려 왕족의 사살과 고려 유신의 은둔 생활 등 정치적 안정이 확보되지 못한 상황
② 대외적 상황 - 명(明)이 일어나고 북원(北元)이 멸망하는 등 중국이 통일되지 못한, 혼란한 상황
⇒ 고려 왕조의 몰락과 조선 왕조의 건국의 소용돌이가 점차 안정되어 가던 세종 조에 역사적 사실과 전설적 일화들을 소재로 하여 왕조 창업의 내력을 영가(詠歌)할 필요가 있었다.
용비어천가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세종 조에 악장 정비 사업의 하나인 악장 제정 과정에서 제작된, 악장 가운데 최고의 대표작이다. 세종 시대(世宗時代)는 조선 왕조 창업 이후의 안정기로서, 그 문화는 찬란히 꽃 피었고 자주 의지도 배양되어 가던 때였다.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최초의 시가로서, 유교를 표방하던 조선이 예악 사업의 일환인 악장 제작의 하나로서 창제한 것이었다. 용비어천가 제작의 주변 상황은 용비어천가로 하여금 근본적으로 어학적인 중요성을 갖게 하였고, 시가의 형식에 있어서도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게 하였으며, 또한 내용적으로는 새로이 창업된 왕조에 대한 칭송 찬양을 견지하게 하였다.
용비어천가는 여말 선초의 격동기를 무대로, 역사적 사실과 전설적 일화들을 소재로 하여 왕조 창업의 내력을 영가(詠歌)한 서사시이며, 세종 29년 2월에 완성된 세종 어찬(御纂)의 전 10권 125장에 달하는 장편 시가이다.
8) 표기법의 연구
① \'終聲不用初聲\'의 규정에 따른 받침 사용
② 사잇소리 \'ㄱ,ㄷ,ㅂ,ㅿ,ㅅ,ㆆ\'을 사용
③ ㅸ,ㅱ,ㆅ, ㅿ,ㆁ\' 등을 사용
④ 동국정음식 한자음
⑤ 이어쓰기(連綴) 위주의 표기
⑥ 모음조화 철저
⑦ 방점(傍點) 사용
9) 국문학상 의의
①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
②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장편 영웅 서사시
③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④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⑤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가 됨
10) 용비어천가의 2행 대구 형식의 의도
3~109장에 이르기까지의 두 줄의 노랫말은 용비어천가의 전형적인 형식으로, 앞에는 중국 쪽의 사적을 앞세우고 뒤에는 육조의 사적을 말하고 있으며 이는 내용상, 표현상 대응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중국 쪽 사적을 근거로 육조의 사적을 정당화함으로써 조선의 건국이 하늘의 뜻이었고, 필연적이었음을 믿게 하는 효과를 지닌다.
11) 형상화 방법
용비어천가는 주로 암시적인 표현이나 상징, 비유, 비교 등의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상화를 꾀하고 있다.
1장에서는 하늘[天]을 제시하여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암시하고, 중국의 역대 성황의 경우와 대비시킴으로써 조선 건국에 대한 자부심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2장에서는 고도의 상징과 대구의 표현을 구사하고 있다. 국가의 기반이나 연원을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에, 온갖 내우외환(內憂外患)을 \'바람\'과 \'가뭄\'에, 또한 문화의 창달과 국가의 영원한 발전을 \'꽃 좋고 열매가 많아 열리는 것\'과 넓은 바다에 이르는 것\'에 비유하였다.
125장을 비롯한 나머지 장에서는 중국의 고사를 이용하여 강조와 대비의 효과를 얻고 있다 특히 125장에서는 \'건국 업적과 천명성(天命性) 회상 + 정치의 원리 제시 + 후대 왕글에 대한 권계\'로 시간적 삼단 구성을 취하여 조선 왕조의 순리적 발전과 연계시키고 있다.
12) 영웅 신화적 요소
\'고귀한 혈통, 출생에 따른 시련, 탁월한 능력, 투쟁에서의 승리\'라는 전기적 구조유형으로 되어 있다. 6조종(六祖宗)은 \'떠남-시련-귀환\'이라는 통과제의적 단일 신화 구조를 취하여 성화(聖化)되며, 특히 목조를 비롯한 4조(四祖)는 주인공 이태조의 \'고귀한 혈통\'으로 역할하고 있다.
교과서 내에 있는 48장은 수차에 걸친 왜적과의 싸움에서 언제나 남이 이루지 못하는 공을 이태조는 이루었다. 48장은 그의 무용(武勇)에 대한 대표적인 찬사 중의 하나다. 남들은 몇 번을 뛰어 봐도 못 오를 만큼 높은 석벽(石壁)에 올라가 도적을 잡았으니 그의 무용은 전쟁에 겪을수록 입신(入神)의 경지에 들어갔던 모양이다. 그의 시련은 거의가 무사적이고 군사적이었다.
13) \'용비어천가\'에서 주나라를 비교 대상으로 한 이유
주국 창업(周國創業)을 의도적으로 조선 건국의 원형(原型)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용비어천가 서사부 상부(敍事部 上部)-의 건국의 서사시 부분에서는 각 장의 노래가 周國(儒家的 理想鄕의 建國)의 그것에 작위적(作爲的)인 동부(同符)를 의도하였음을 보았다. 주국창업가의 그와 같은 동부는 조선의 역성혁명의 당위성을 유교적 천명사상에서 찾고, 유교적 이상 정치를 실현한 왕조의 하나로 숭앙되던 주국의 혁명으로써 그 실증을 제시하였던 것이다.-역사적, 객관적 사실에 역점을 둠
♡ 핵심 정리
연대 : 세종 27년(1445)
작자 : 정인지, 권제, 안지
형식 : 악장, 2절 4구
(전절은 주욱 제왕의 사적을, 후절은 조선 왕조의 사적을 찬양)
성격 : 서사시, 송축가
구성 : 10권 5책 125장
서가 : 제1장 - 제2장(개국송)
본가 : 제3장 - 제109장(사적찬)
결가 : 제110장 - 제125장(계왕훈)
주제 : 조선 창업의 정당성
♡ 더 읽을 거리
악장의 형식과 관련하여 읽을 작품 : 「신도가」「월인천강지곡」
전 시대 문학 형식과 관련하여 읽을 작품 : 건근「상대별곡」변계량「화산별곡」
8.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 원문과 현대어 풀이
[월인1기]
외巍외巍 셕釋가迦
② 후왕(後王)에 대한 권계 - 경천 근민
조선 왕조의 창업 과정에서 선조들이 겪은 어려움을 밝혀, 후대 왕들에게 왕통 확립의 책임을 부여함과 동시에 경천 근민(敬天勤民)의 새로운 통치 철학을 제시하여 왕권 계승의 자세를 깨우치기 위한 것이다.
③ 훈민정음의 실용성 시험 - 권위 부여
새로운 국자(國字)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점검하는 동시에, 국가의 문자로서의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왕가의 존엄한 이야기를 기록한 것이다.
7) \'용비어천가\'의 창작 상황
① 대내적 상황 - 고려 왕족의 사살과 고려 유신의 은둔 생활 등 정치적 안정이 확보되지 못한 상황
② 대외적 상황 - 명(明)이 일어나고 북원(北元)이 멸망하는 등 중국이 통일되지 못한, 혼란한 상황
⇒ 고려 왕조의 몰락과 조선 왕조의 건국의 소용돌이가 점차 안정되어 가던 세종 조에 역사적 사실과 전설적 일화들을 소재로 하여 왕조 창업의 내력을 영가(詠歌)할 필요가 있었다.
용비어천가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세종 조에 악장 정비 사업의 하나인 악장 제정 과정에서 제작된, 악장 가운데 최고의 대표작이다. 세종 시대(世宗時代)는 조선 왕조 창업 이후의 안정기로서, 그 문화는 찬란히 꽃 피었고 자주 의지도 배양되어 가던 때였다.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에 의해서 만들어진 최초의 시가로서, 유교를 표방하던 조선이 예악 사업의 일환인 악장 제작의 하나로서 창제한 것이었다. 용비어천가 제작의 주변 상황은 용비어천가로 하여금 근본적으로 어학적인 중요성을 갖게 하였고, 시가의 형식에 있어서도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게 하였으며, 또한 내용적으로는 새로이 창업된 왕조에 대한 칭송 찬양을 견지하게 하였다.
용비어천가는 여말 선초의 격동기를 무대로, 역사적 사실과 전설적 일화들을 소재로 하여 왕조 창업의 내력을 영가(詠歌)한 서사시이며, 세종 29년 2월에 완성된 세종 어찬(御纂)의 전 10권 125장에 달하는 장편 시가이다.
8) 표기법의 연구
① \'終聲不用初聲\'의 규정에 따른 받침 사용
② 사잇소리 \'ㄱ,ㄷ,ㅂ,ㅿ,ㅅ,ㆆ\'을 사용
③ ㅸ,ㅱ,ㆅ, ㅿ,ㆁ\' 등을 사용
④ 동국정음식 한자음
⑤ 이어쓰기(連綴) 위주의 표기
⑥ 모음조화 철저
⑦ 방점(傍點) 사용
9) 국문학상 의의
①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
②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장편 영웅 서사시
③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④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⑤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가 됨
10) 용비어천가의 2행 대구 형식의 의도
3~109장에 이르기까지의 두 줄의 노랫말은 용비어천가의 전형적인 형식으로, 앞에는 중국 쪽의 사적을 앞세우고 뒤에는 육조의 사적을 말하고 있으며 이는 내용상, 표현상 대응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중국 쪽 사적을 근거로 육조의 사적을 정당화함으로써 조선의 건국이 하늘의 뜻이었고, 필연적이었음을 믿게 하는 효과를 지닌다.
11) 형상화 방법
용비어천가는 주로 암시적인 표현이나 상징, 비유, 비교 등의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상화를 꾀하고 있다.
1장에서는 하늘[天]을 제시하여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암시하고, 중국의 역대 성황의 경우와 대비시킴으로써 조선 건국에 대한 자부심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2장에서는 고도의 상징과 대구의 표현을 구사하고 있다. 국가의 기반이나 연원을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에, 온갖 내우외환(內憂外患)을 \'바람\'과 \'가뭄\'에, 또한 문화의 창달과 국가의 영원한 발전을 \'꽃 좋고 열매가 많아 열리는 것\'과 넓은 바다에 이르는 것\'에 비유하였다.
125장을 비롯한 나머지 장에서는 중국의 고사를 이용하여 강조와 대비의 효과를 얻고 있다 특히 125장에서는 \'건국 업적과 천명성(天命性) 회상 + 정치의 원리 제시 + 후대 왕글에 대한 권계\'로 시간적 삼단 구성을 취하여 조선 왕조의 순리적 발전과 연계시키고 있다.
12) 영웅 신화적 요소
\'고귀한 혈통, 출생에 따른 시련, 탁월한 능력, 투쟁에서의 승리\'라는 전기적 구조유형으로 되어 있다. 6조종(六祖宗)은 \'떠남-시련-귀환\'이라는 통과제의적 단일 신화 구조를 취하여 성화(聖化)되며, 특히 목조를 비롯한 4조(四祖)는 주인공 이태조의 \'고귀한 혈통\'으로 역할하고 있다.
교과서 내에 있는 48장은 수차에 걸친 왜적과의 싸움에서 언제나 남이 이루지 못하는 공을 이태조는 이루었다. 48장은 그의 무용(武勇)에 대한 대표적인 찬사 중의 하나다. 남들은 몇 번을 뛰어 봐도 못 오를 만큼 높은 석벽(石壁)에 올라가 도적을 잡았으니 그의 무용은 전쟁에 겪을수록 입신(入神)의 경지에 들어갔던 모양이다. 그의 시련은 거의가 무사적이고 군사적이었다.
13) \'용비어천가\'에서 주나라를 비교 대상으로 한 이유
주국 창업(周國創業)을 의도적으로 조선 건국의 원형(原型)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용비어천가 서사부 상부(敍事部 上部)-의 건국의 서사시 부분에서는 각 장의 노래가 周國(儒家的 理想鄕의 建國)의 그것에 작위적(作爲的)인 동부(同符)를 의도하였음을 보았다. 주국창업가의 그와 같은 동부는 조선의 역성혁명의 당위성을 유교적 천명사상에서 찾고, 유교적 이상 정치를 실현한 왕조의 하나로 숭앙되던 주국의 혁명으로써 그 실증을 제시하였던 것이다.-역사적, 객관적 사실에 역점을 둠
♡ 핵심 정리
연대 : 세종 27년(1445)
작자 : 정인지, 권제, 안지
형식 : 악장, 2절 4구
(전절은 주욱 제왕의 사적을, 후절은 조선 왕조의 사적을 찬양)
성격 : 서사시, 송축가
구성 : 10권 5책 125장
서가 : 제1장 - 제2장(개국송)
본가 : 제3장 - 제109장(사적찬)
결가 : 제110장 - 제125장(계왕훈)
주제 : 조선 창업의 정당성
♡ 더 읽을 거리
악장의 형식과 관련하여 읽을 작품 : 「신도가」「월인천강지곡」
전 시대 문학 형식과 관련하여 읽을 작품 : 건근「상대별곡」변계량「화산별곡」
8.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 원문과 현대어 풀이
[월인1기]
외巍외巍 셕釋가迦
추천자료
남북한고려가요
[인문과학] 고려가요
[인문과학]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려가요의 궁중가요화와 여음의 특성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유래와 배경설화,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원문, 고려가요...
[고려속요][고려가요][처용가]고려속요(고려가요) 처용가의 배경설화, 고려속요(고려가요) 처...
[향가계 고려가요][정과정][향가][고려가요][정과정 해석]향가계 고려가요 정과정의 원문과 ...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작품해제,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원문과 해독, 향가계 고...
처용가(고려가요, 고려속요)의 성격, 처용가(고려가요, 고려속요)의 형성과정과 처용가(고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