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남북한 언어의 종류
2. 북한언어의 특징
1) 발음, 2) 문법, 3) 어휘, 4) 문체
3. 남북한 어휘의 차이점
1) 발음은 같고 표기가 다른 말
2) 표기는 같고 발음이 다른 말
3) 표기와 발음이 모두 다른 말
4) 북한의 문화어
4. 통일이 되었을 경우 언어순화의 문제점
5. 남북한 언어의 장, 단점
6. 위의 사항에 대한 해결 방안
2. 북한언어의 특징
1) 발음, 2) 문법, 3) 어휘, 4) 문체
3. 남북한 어휘의 차이점
1) 발음은 같고 표기가 다른 말
2) 표기는 같고 발음이 다른 말
3) 표기와 발음이 모두 다른 말
4) 북한의 문화어
4. 통일이 되었을 경우 언어순화의 문제점
5. 남북한 언어의 장, 단점
6. 위의 사항에 대한 해결 방안
본문내용
남북한의 언어
언어와 인간
목차
1. 남북한 언어의 종류
2. 북한언어의 특징
1) 발음, 2) 문법, 3) 어휘, 4) 문체
3. 남북한 어휘의 차이점
1) 발음은 같고 표기가 다른 말
2) 표기는 같고 발음이 다른 말
3) 표기와 발음이 모두 다른 말
4) 북한의 문화어
4. 통일이 되었을 경우 언어순화의 문제점
5. 남북한 언어의 장, 단점
6. 위의 사항에 대한 해결 방안
1. 남북한 언어의 종류
주먹가위-가위바위보 얼음보숭이-아이스크림
사람그림-인물화 조선옷-한복
원주필-만년필 손기척-노크
고모사촌 -고종사촌 구구법-구구단
밥가마치-누룽지 딱친구_단짝친구
갑작바람-돌풍 인민소비품-생활필수품
손짓언어 -수화 가시어머니-장모
바른사각형-정사각형 남비탕-찌개
동약-한약 동의학-한의학
직매점-상점 EM개제품 -니트제품
목수건-목도리 로동장갑-착업용 장갑
봉사시간-영업시간 가두녀성-가정주부
soatoTHdladir-훈증제 인민학교-초등학교
발가락사이막-물갈퀴 나뉜옷-투피스
채눈종이-노눈종이 세기마루-악센트
바람압력-풍압 나비헤엄-접영(수영영법종류)
짝배기-배영 조마-뜀틀
전기여닫개_스위치 기재_장비
정형-현황 수뇌회담-정상회담
팍스-팩스 다리걸기-태클
무뢰한동작-반칙 문지기-골키퍼
머리받기-헤딩 11메타승부차넣기-패널티 킥
독풀이약-해독제 가슴쓰리기-위통
얼죽음-반죽음 가라앉힘약-진정제
들어온말-외래어 오목샘-보조개
이딱이약-치약
2. 북한언어의 특징
1) 발음
모음 \'ㅓ, ㅡ\'의 원순화.
\'어\' → (ㅗ)에 가깝게 발음. \'걱정없다\' (곡쫑옵따)
모음 \'ㅚ\'의 발음 - 이중모음 (ㅚ)를 단모음 (we)으로 발음.
※ 남북한 모두 \'ㅚ\'를 단모음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남한에서는 방언적 차이에 따라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이를 인정하는 반면에 북한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 l \' 모음 역행 동화, 전설 모음화가 광범위하게 적용됨.
\' l \'모음 역행 동화건데기(건더기). 구뎅이(구덩이), 지팽이(지팡이), 곰팽이(곰팡이), 실오래기(실오라기), 꼬랭이(꼬랑이), 엉뎅이(엉덩이) 등
전설 모음화수집다(수줍다), 부시다(부수다), 기지떡(기주떡), 마무리다(마무르다), 부스스(부시시), 비슬거리다(비실거리다), 두루뭉실하다(두리뭉실하다)
두음법칙 부정 - 1954년 이후 본음대로 표기하고 발음함을 원칙으로 함.로동 신문(노동 신문), 로인(노인), 녀자(여자), 념원(염원), 리해(이해), 량심(양심), 료금(요금), 류학(유학), 례의(예의), 롱담(농담), 락원(낙원), 루각(누각), 래일(내일), 유대(유대), 녕변(영변), 뇨도(요도) 등
된소리가 많이 사용된다 - 현실음에 가깝게 발음하고 적으려는 목적.원쑤(원수), 뚝(둑), 복쑤(복수), 논뚜렁(논두렁), 손까락(손가락), 손
언어와 인간
목차
1. 남북한 언어의 종류
2. 북한언어의 특징
1) 발음, 2) 문법, 3) 어휘, 4) 문체
3. 남북한 어휘의 차이점
1) 발음은 같고 표기가 다른 말
2) 표기는 같고 발음이 다른 말
3) 표기와 발음이 모두 다른 말
4) 북한의 문화어
4. 통일이 되었을 경우 언어순화의 문제점
5. 남북한 언어의 장, 단점
6. 위의 사항에 대한 해결 방안
1. 남북한 언어의 종류
주먹가위-가위바위보 얼음보숭이-아이스크림
사람그림-인물화 조선옷-한복
원주필-만년필 손기척-노크
고모사촌 -고종사촌 구구법-구구단
밥가마치-누룽지 딱친구_단짝친구
갑작바람-돌풍 인민소비품-생활필수품
손짓언어 -수화 가시어머니-장모
바른사각형-정사각형 남비탕-찌개
동약-한약 동의학-한의학
직매점-상점 EM개제품 -니트제품
목수건-목도리 로동장갑-착업용 장갑
봉사시간-영업시간 가두녀성-가정주부
soatoTHdladir-훈증제 인민학교-초등학교
발가락사이막-물갈퀴 나뉜옷-투피스
채눈종이-노눈종이 세기마루-악센트
바람압력-풍압 나비헤엄-접영(수영영법종류)
짝배기-배영 조마-뜀틀
전기여닫개_스위치 기재_장비
정형-현황 수뇌회담-정상회담
팍스-팩스 다리걸기-태클
무뢰한동작-반칙 문지기-골키퍼
머리받기-헤딩 11메타승부차넣기-패널티 킥
독풀이약-해독제 가슴쓰리기-위통
얼죽음-반죽음 가라앉힘약-진정제
들어온말-외래어 오목샘-보조개
이딱이약-치약
2. 북한언어의 특징
1) 발음
모음 \'ㅓ, ㅡ\'의 원순화.
\'어\' → (ㅗ)에 가깝게 발음. \'걱정없다\' (곡쫑옵따)
모음 \'ㅚ\'의 발음 - 이중모음 (ㅚ)를 단모음 (we)으로 발음.
※ 남북한 모두 \'ㅚ\'를 단모음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남한에서는 방언적 차이에 따라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이를 인정하는 반면에 북한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 l \' 모음 역행 동화, 전설 모음화가 광범위하게 적용됨.
\' l \'모음 역행 동화건데기(건더기). 구뎅이(구덩이), 지팽이(지팡이), 곰팽이(곰팡이), 실오래기(실오라기), 꼬랭이(꼬랑이), 엉뎅이(엉덩이) 등
전설 모음화수집다(수줍다), 부시다(부수다), 기지떡(기주떡), 마무리다(마무르다), 부스스(부시시), 비슬거리다(비실거리다), 두루뭉실하다(두리뭉실하다)
두음법칙 부정 - 1954년 이후 본음대로 표기하고 발음함을 원칙으로 함.로동 신문(노동 신문), 로인(노인), 녀자(여자), 념원(염원), 리해(이해), 량심(양심), 료금(요금), 류학(유학), 례의(예의), 롱담(농담), 락원(낙원), 루각(누각), 래일(내일), 유대(유대), 녕변(영변), 뇨도(요도) 등
된소리가 많이 사용된다 - 현실음에 가깝게 발음하고 적으려는 목적.원쑤(원수), 뚝(둑), 복쑤(복수), 논뚜렁(논두렁), 손까락(손가락), 손
키워드
추천자료
[사범/법학] 표준어와 방언
[인문과학] 표준어와 방언
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
메신저 대화를 통해 알아본 인터넷 언어의 특징
[프랑스어와문화]프랑스어의 기원과 라틴어, 프랑스의 언어정책
표준어 규정
[한글맞춤법][한글][맞춤법][표준어]한글맞춤법의 원리, 한글맞춤법의 역사, 한글맞춤법의 총...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중요성과 역사,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대상과 내용, 국어순화(우리...
표준어 규정과 오용 사례, 방송, 맞춤법 오류
표준어규정 오용사례(방송, 아동도서, 교과서, 실생활에서) 및 실태, 해결책
표준어
표준어와 방언 [한글 맞춤법 규정 띄어쓰기 규정]
[동화구연] 동화구연의 효용가치에서 언어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