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hypnea (빈호흡) R/O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사례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achypnea (빈호흡) R/O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간호과정

4. 간호

5. 결론 및 제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에 과민반응 기왕력자, 임부 및 수유부
-신중투여: 인 또는 부모 형제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에 의한 난청자 또는 그 외 다른 난청자인 경우, 신장애, 간장애, 신생아/미숙아, 경구섭취 불량, 비경구영양, 고령자, 전신상태불량, 근육장애
-
진단명
#1. 폐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의미 있는 자료
S> 끙끙거리는 소리내며 호흡 힘들어함.
O> tachypnea Dx. (respiration 84회/min)
SPO2: 94~96%
PCo2: 44.4(↑), PO2: 49.2 (↓)
간호목표
단기목표- 간호수행 후 2일 이내로 피부가 분홍빛을 띠며, 호흡곤란 증상이 없다.
장기목표- 동맥혈 가스분압이 정상치로 나타난다.
간호계획
① 체위 변경을 해준다.
② 호흡양상과 피부색을 자주 확인한다.
③ apnea monitoring한다.
④ EKG monitoring한다.
⑤ 산소를 공급한다.
⑥ 필요시 처방된 표면활성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① 15° head up position 해줌.
② 4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주었다.
③ 2시간마다 호흡수와 피부색을 체크 하였다.
④ apnea monitoring을 관찰하였고 벨소리가 들리 면 즉시 확인하였다.
⑤ EKG monitoring을 관찰하였고 이때 SP02 변화를 유심히 관찰하였다.
⑥ O2 1L inhalation (Room)
평가
상태가 악화되지 않아 표면활성제는 투여하지 않았고, 약물의 투여 없이도SP02는 98~100%를 유지하였으며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진단명
#2. 자녀의 격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의미 있는 자료
S> “아기한테 내가 해줄 수 있는 게 없어서 너무 마음아파요..”
O> 신생아는 태어나자마자 NICU에 입원함.
면회 시간이 하루에 두 번으로 정해져 있음.
부모님은 아이가 인큐베이터 안에 있어 아기를 만져볼 수 없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부모로서 최대한으로 환아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 고 시행한다.
장기목표- 부모는 환아의 부모로서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간호계획
①가능한 부모와 신생아의 접촉을 격려한다.
②면회 시 신생아에게 부모의 음성을 들려주어 모아 애착을 증진 시킨다.
③대상자의 상태나 치료, 간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④부모에게 퇴원 후 올바른 자녀 양육을 위하여 자녀 양육법 및 양육 시 주의 할 점을 교육 자료를 통하여 교육한다.
⑤부모에게 자조그룹을 소개한다.
간호수행
① 부모에게 무균적손씻기 방법을 교육하고 면회 시 청결하게 손을 씻을 후 간호사의 감독 하에 인큐베이터에 손을 넣어 잠시나마 아기를 만져보게 한다.
② 부모에게 신생아의 감각 중 청각이 상당부분 발달하여 음성을 통해서 애착 형성이 가능함을 설명하고, 신생아의 이름을 부르며 이야기 하도록 격려한다.
③ 환아의 체중, 먹는 정도(양), 배변배뇨 양상 등 현재 상태에 대해 말해주고 앞으로의 간호계획에 대해 설명해준다.
④ 부모에게 교육 자료를 이용하여 5분간 퇴원 후 자녀 양육법 및 양육 시 주의 점에 대하여 교육한다.
⑤ 같은 질병을 가진 환아의 부모들을 소개시켜주어 서로 의견을 나누도록 돕는다.
평가
부모는 잠시나마 아기와 접촉할 수 있어서 매우 행복함을 표현하였고, 면회시간을 멍하니 바라만 보고 있는것이 아닌 아기와의 애착형성 시간으로 아기와 이야기도 나누며 즐거워 하였다.
환아의 상태에대해 정확히 알고, 앞으로 자신이 아기에게 해주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있었다.
다른 부모들과 서로 의견을 나누다보니 훨씬 마음도 편해졌다고 하였다.
4. 간호진단명
#3. 대소변의 지속적 접촉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의미 있는 자료
S> 기저귀가 젖으면 찢어지는듯한 울음소리로 불편함을 호소한다.
O> 환아는 매일 귀저기를 차고 있으며 1일 배설량이 250~300정도로, 아직 diaper rash는 나타나지 않으나 생식기, 엉덩이 주변이 습윤하다.
간호목표
단기목표- 기저귀가 젖으면 즉시 교체해주어 환아가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는다.
장기목표- 생식기 주위, 엉덩이의 청결, 건조를 유지하여 피부손상을 입지 않는다.
간호계획
①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 생식기 주변을 청결하게 닦아준다.
③ 기저귀를 대소변 후에 바로 교체한다.
④ 대상자가 덥지 않도록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간호수행
① 기저귀를 갈아줄 때 생식기주변과 엉덩이의 전반적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② 배변이 묻었을 때 물티슈를 사용하여 피부에 분비물이 남지 않도록 구석구석 닦아주고, 청결하게 닦이지 않을 시엔 깨끗한 물로 씻어준다.
③ 아기가 배변의 증상을 보인 즉시 기저귀를 확인하고 교체해준다.
④ 대상자의 체온을 4시간마다 체크하여 인큐베이터내의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설정하여 유지한다.
평가
배변 시 즉시 기저귀를 교체하고, 청결한 물티슈로 피부에 배변이 묻지 않도록하여 환아가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았고, 36.7℃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고 피부에 발진이나 손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5. 결론 및 제언
태아는 폐 속에 폐액으로 차 있는데, 출생 후 이 폐액을 자연히 흡수되고 호흡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물이 조금 남아 있는 경우에 호흡이 정상적이지 못하고 호흡곤란이 생겨 호흡이 빨라지는 경우가 있지요. 이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증이라고 합니다. 갓 태어난 신생아에게 이런 증상이 있다면 부모들은 아주 많이 걱정하게 되는데요. 다행스럽게 신생아 일관성 빈호흡은 신생아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호흡기 질환이고 큰 합병증 없이 회복이 잘 되는 질환입니다.
① 만삭아에 주로 생김
② 치료경과가 비교적 좋음
③ 1-2일에 회복 됨
④ 호흡곤란 증후군 달리 대부분의 경우 인공 환기요법이나 인공 폐 표면활성제 보충요법과 같은 치료까지는 필요 없음
6. 참고문헌
소아과학(완전개정7판). 홍창의. 2001. 대한교과서(주)
아동건간간호학 Ⅰ. 김희순외. 2007. 수문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최정신. 1996. 현문사
www.kimsonline.co.kr
http://cafe.naver.com/abbarang.cafe
www.naver.com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02.19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