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lase
44
30 ~ 110
Lipase
119
23 ~ 300
검 사 명
결 과
참 고 치
color
STRAW
Straw
SG
1.015
1.005-1.03
PH
6.0
5-8
Protein
-
negative
Glucose
-
negative
lieton
-
negative
O.Blood
-neg
negative
Urobinogen
-
negative
Bilirubin
-
negative
Nitrite
-
negative
WBC
-neg
negative
U.Micro
negative
RBC
0-2
0-5
WBC
0-2
0-5
E.Pcell
0-2
3. 간호과정
(1) 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① 질병과 관련 된 자긍심 저하 : 알코올 중독
② 불특정한 미래와 관련 된 불안
③ 고립 된 병원 생활 과 관련 된 무력감
(2) 간호과정 적용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Subjective data
- “ 부모님께 너무 죄송스럽고 걱정이 되요.”
- “ 누나도 걱정이 되요.”
- “ 요새 들어 자책을 많이 하게 되요”
- “ 병원에 들어 와서 이런 생활을 할 줄 알았다면 그렇게 술 을 마시지 않았을 텐데........”
- “술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끊어야겠다는 생각은 안 해 봤어요”
Objective data
- 집에 부모님과 전화통화 후 계속적으로 병동을 배회하거나 누 워서 생각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심.
- 자신을 자책한다는 등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하심.
- 술을 드신 것에 대해 후회한다는 말씀을 하심.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related outcomes)
질병 과 관련 된 자긍심 저하 : 알코올 중독
간호 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1.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하는 빈도가 감소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자신의 강점에 대해 3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3.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금주를 결심하고,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오는 영향에 대해 5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1-1. 대상자와 주 2회 면담을 실시한다.
- 대상자와 9월 13일, 9월 17일에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정서 상태 와 자신에 대한 생각을 사정하였다.
1-2. 대상자에게 주 1회 개인 정서지지 요 법을 실시한다.
- 대상자에게 9월 13일에 개인 정서지지 요법을 실시하였다.
1-3. 대상자에게 주 1회 자서전쓰기를 실 시한다.
- 대상자에게 9월 14일에 자서전쓰기를 실시하여 과거의 자신의 삶에 대해 쓰고 앞으로 자신의 인생에 대한 꿈 을 적어 보도록 하였다.
1-4. 대상자의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대상자의 말을 경청 해 주었다.
2-1. 대상자에게 하루 1번씩 칭찬의 말을 해준다.
- 대상자에게 매일 저녁 투약시간에 칭 찬을 말을 해 드렸다.
2-2. 대상자에게 병동 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한다.
- 대상자에게 병동 내 반장의 역할과 다 른 환자 분들에게 탁구를 가르쳐 주는 일을 맡기었다.
3-1. 대상자에게 주 1회 금주교육을 실시 한다.
- 대상자에게 9월 17일에 금주교육을 실 시하여 알코올 중독의 정의, 약물요 법, 알코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등 에 관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3-2. 대상자는 주 1회 알코올 중독 환자 자조 모임에 참여한다.
- 대상자는 9월 17일 병동 내 알코올 환 자 자조집단 모임에 참여하여 환자들 끼리 자신의 음주습관과 금주 방법에 대해 토론하였다.
3-3. 주 1회 대상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가 족 상담을 실시한다.
- 9월 15일에 대상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질병과 가족들의 대처에 대 해 가족 상담을 실시하였다.
1-1. 잦은 면담으로 대상자의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의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1-2. 개인 정서지지 요법을 시행함으로써 약해진 대상자의 정서를 강화 시켜 주며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1-3. 자서전쓰기를 함으로써 자신의 인생 을 돌아보도록 하고, 앞으로의 인생 에 대해 생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여 부정적인 자신에 대한 생각 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
1-4. 대상자의 말을 경청 해 줌으로써 존 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2-1. 대상자에게 칭찬을 함으로써 대상자 가 자신에게 강점이 있다는 것을 느 낄 수 있다.
2-2. 대상자에게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대 상자 자신이 해낼 수 있는 것에 대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자신의 강점 을 탐색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
3-1. 금주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질 병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고, 금주를 결심 하도록 돕는다.
3-2. 알코올 중독 환자 자조 모임은 서로 경험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음 으로써 스스로의 회복을 돕는 기능을 한다.
3-3. 대상자의 질병으로 인해 흔들리는 대 상자의 가족을 지지해주고 가족이 대 상자에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평가(evaluation)
1. 대상자는 자신에 대해 자책한다, 죄책감이 든다는 표현을 사 용하시지 않으신다.
2. 대상자는 자신의 강점에 대해 아직 모르겠다고 하시며 자신 이 잘하는 게 없는 것 같다고 말씀하신다.
3. 대상자는 이제는 술을 정말 끊고 싶으시다고 말씀하시며 알 코올 중독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5가지 말씀하신다.
재계획 => 대상자는 더 이상 자신의 대한 부정적인 표현을 하시지 않으시나 자신의 강점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다고 하신다. 금주는 결심하셨다. 대상자의 정서지지를 계속 하면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활동을 더 강화시켜야 할 것 같다. 그리고 금주를 결심한 마음이 변하지 않도록 금주 교육도 계속 하여야겠다.
참고문헌
정신건강간호학 (제9판). 서울: 수문사.
NANDA 제 3판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차영남 외 13명.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2017). 수문사. 한금선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 수정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44
30 ~ 110
Lipase
119
23 ~ 300
검 사 명
결 과
참 고 치
color
STRAW
Straw
SG
1.015
1.005-1.03
PH
6.0
5-8
Protein
-
negative
Glucose
-
negative
lieton
-
negative
O.Blood
-neg
negative
Urobinogen
-
negative
Bilirubin
-
negative
Nitrite
-
negative
WBC
-neg
negative
U.Micro
negative
RBC
0-2
0-5
WBC
0-2
0-5
E.Pcell
0-2
3. 간호과정
(1) 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① 질병과 관련 된 자긍심 저하 : 알코올 중독
② 불특정한 미래와 관련 된 불안
③ 고립 된 병원 생활 과 관련 된 무력감
(2) 간호과정 적용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Subjective data
- “ 부모님께 너무 죄송스럽고 걱정이 되요.”
- “ 누나도 걱정이 되요.”
- “ 요새 들어 자책을 많이 하게 되요”
- “ 병원에 들어 와서 이런 생활을 할 줄 알았다면 그렇게 술 을 마시지 않았을 텐데........”
- “술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끊어야겠다는 생각은 안 해 봤어요”
Objective data
- 집에 부모님과 전화통화 후 계속적으로 병동을 배회하거나 누 워서 생각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심.
- 자신을 자책한다는 등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하심.
- 술을 드신 것에 대해 후회한다는 말씀을 하심.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related outcomes)
질병 과 관련 된 자긍심 저하 : 알코올 중독
간호 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1.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하는 빈도가 감소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자신의 강점에 대해 3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3.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금주를 결심하고,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오는 영향에 대해 5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1-1. 대상자와 주 2회 면담을 실시한다.
- 대상자와 9월 13일, 9월 17일에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정서 상태 와 자신에 대한 생각을 사정하였다.
1-2. 대상자에게 주 1회 개인 정서지지 요 법을 실시한다.
- 대상자에게 9월 13일에 개인 정서지지 요법을 실시하였다.
1-3. 대상자에게 주 1회 자서전쓰기를 실 시한다.
- 대상자에게 9월 14일에 자서전쓰기를 실시하여 과거의 자신의 삶에 대해 쓰고 앞으로 자신의 인생에 대한 꿈 을 적어 보도록 하였다.
1-4. 대상자의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대상자의 말을 경청 해 주었다.
2-1. 대상자에게 하루 1번씩 칭찬의 말을 해준다.
- 대상자에게 매일 저녁 투약시간에 칭 찬을 말을 해 드렸다.
2-2. 대상자에게 병동 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한다.
- 대상자에게 병동 내 반장의 역할과 다 른 환자 분들에게 탁구를 가르쳐 주는 일을 맡기었다.
3-1. 대상자에게 주 1회 금주교육을 실시 한다.
- 대상자에게 9월 17일에 금주교육을 실 시하여 알코올 중독의 정의, 약물요 법, 알코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등 에 관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3-2. 대상자는 주 1회 알코올 중독 환자 자조 모임에 참여한다.
- 대상자는 9월 17일 병동 내 알코올 환 자 자조집단 모임에 참여하여 환자들 끼리 자신의 음주습관과 금주 방법에 대해 토론하였다.
3-3. 주 1회 대상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가 족 상담을 실시한다.
- 9월 15일에 대상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질병과 가족들의 대처에 대 해 가족 상담을 실시하였다.
1-1. 잦은 면담으로 대상자의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의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1-2. 개인 정서지지 요법을 시행함으로써 약해진 대상자의 정서를 강화 시켜 주며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1-3. 자서전쓰기를 함으로써 자신의 인생 을 돌아보도록 하고, 앞으로의 인생 에 대해 생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여 부정적인 자신에 대한 생각 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
1-4. 대상자의 말을 경청 해 줌으로써 존 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2-1. 대상자에게 칭찬을 함으로써 대상자 가 자신에게 강점이 있다는 것을 느 낄 수 있다.
2-2. 대상자에게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대 상자 자신이 해낼 수 있는 것에 대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자신의 강점 을 탐색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
3-1. 금주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질 병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고, 금주를 결심 하도록 돕는다.
3-2. 알코올 중독 환자 자조 모임은 서로 경험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음 으로써 스스로의 회복을 돕는 기능을 한다.
3-3. 대상자의 질병으로 인해 흔들리는 대 상자의 가족을 지지해주고 가족이 대 상자에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평가(evaluation)
1. 대상자는 자신에 대해 자책한다, 죄책감이 든다는 표현을 사 용하시지 않으신다.
2. 대상자는 자신의 강점에 대해 아직 모르겠다고 하시며 자신 이 잘하는 게 없는 것 같다고 말씀하신다.
3. 대상자는 이제는 술을 정말 끊고 싶으시다고 말씀하시며 알 코올 중독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5가지 말씀하신다.
재계획 => 대상자는 더 이상 자신의 대한 부정적인 표현을 하시지 않으시나 자신의 강점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다고 하신다. 금주는 결심하셨다. 대상자의 정서지지를 계속 하면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활동을 더 강화시켜야 할 것 같다. 그리고 금주를 결심한 마음이 변하지 않도록 금주 교육도 계속 하여야겠다.
참고문헌
정신건강간호학 (제9판). 서울: 수문사.
NANDA 제 3판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차영남 외 13명.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2017). 수문사. 한금선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 수정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추천자료
알코올중독 케이스
〔A+〕(정신간호)알콜리즘 케이스 스터디
케이스스터디-알코올의존증(정신과), 알콜리즘, 알코올중독
Alcholism 알콜중독에 관한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알코올중독(Alcholism) 케이스 스터디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정신간호학][Alcholism][알코올중독]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CASE STUDY] 정신간호학 알콜중독 케이스 스터디 - 알콜중독 대상자에 관련된 사례연구보고서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Alcohol Dependence 알코올 의존증, 알코올 중독 ...
정신간호학 실습 알코올 중독 (alcoholism)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