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의 소설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의 소설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본문
(1)설화의 소설화에 대한 연구
(2)개별 작품을 통한 설화의 소설화
(3)설화의 구조화와 유형화
<나가기>

본문내용

리공주이야기)
에서 찾으려함.
*신동익-<심청전>
-<심청전>의 근원을 동해안의 서사무가 「심청굿」에서 찾으려함.
*사재동
-근원설화 연구의 정통적 선례를 따르되 그 영역을 확장하여 작품론으로까지 밀고 나감.
효자가 불공으로 양친을 구한다는 내용의 설화를 <목련경>등의 여러 불전에서 검출하여 그것을 「효자불공구친설화」라고 명명. 이러한 근원설화에 여러 가지 부대 설화가 결부되어 <심청전>이 이루어졌다고 보았음.
-불전의 근원설화가 「구비심청전→원본심청전→ 경판모본→ 경판계이본」으로 이행되었다는 사실과 경판본계에서 판소리가 파생되고 이것이 다시 완본계 소설로 전이되었다고 주장함. 그리고 근원설화로부터 멀어진 것일수록 원형이 많이 파괴된 좋지 못한 이본이라고 규정.
*인권환-<토끼전>
-김태준의 연구 계승, 확대, 심화
-<토끼전>은 「불전의 본생담 국문소설의 원천의 하나로 불교설화가 있는데 불교교단에서는 교리의 전파를 위해 설화를 이용하였고 경전에 근거를 둔 본래의 전승을 신도들이 흥미를 가지도록 설화의 변형인 변문을 통해 퍼뜨렸다. <석보상절>에 수록된 설화나 <석가여래십지수행기>에 수록된 석가의 본생담 등이 소설에서 이용할 만한 소재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흥미로운 사건을 더 보태고 일상생활에서의 관심사와 연결시켜서 불교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이 나타났다. -조동일, 서종문 공저, 「국문학사」한국방송대학부 출판부, 1992, 202쪽,
→ 한역경전의 설화→ 삼국사기의 구토지설」의 과정을 거쳐 17~18 세기에 들어와 정착되었다고 보았고 이행과정에서 일어난 변화에 주목함으로써 외래설화가 토착화하면서는 정치현실에 대한 풍자를 담게 되었다고 주장.
*그 밖에 근원설화가 연구된 소설
- <흥부전>, <옹고집전>, <박씨전>, <임진록>, <비배장전>, <금오신화>, <홍길동전>, <최치원전>, <숙향전>
- 소설의 소재원천을 설화에서 찾아내어 상호비교하는 등의 집중적인 작업은 장덕순, 김현룡, 성기설, 조희웅에 의하여 이루어짐.
*한계와 결함
-근원설화를 찾아 그 소설화 과정을 고증하는 경향의 연구방법은 193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설화의 소설화에 커다란 기여를 했으나 한계와 겸함 또한 존재한다.
-조동일: 소설과 유사한 설화는 그 수가 한정 될 수 없으니 어느 것을 근원설화라고 해야 할지 모호하다는 점, 근원설화를 외국 설화에서 찾으려면 설화의 전파방향이라는 난문제에 부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