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수
2. 자모의 순서
3. 자모의 명칭
Ⅲ. 결론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수
2. 자모의 순서
3. 자모의 명칭
Ⅲ. 결론
본문내용
한글 자모의 순서와 이름의 변천
*목 차*
Ⅰ. 서론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수
2. 자모의 순서
3. 자모의 명칭
Ⅲ. 결론
Ⅰ. 서론
자모(字母) 자모(字母)는 1) 철음(綴音)의 근본이 되는 글자 2) 36 자모설 3) (인쇄) 모자(母子), 모형(母型)등이 있으나 여기서는 1)을 뜻함.
는 한 개의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분석하여 적을 수 있는 글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표음 문자 중에서도 음소 문자에 국한된 것이다. 사람의 말 중에는 모음만으로 혹은 자음만으로 한 개의 음절을 이루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로 자음과 모음이 합해져야 한 개의 음절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는 한글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에 대한 변천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 수
한글 자모의 수가 몇 개이냐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과거부터 여러 가지 논의가 있었고 또한 우리말이 여러 세대가 변하면서 그 표기법도 바뀌고 해서 그러하다. 그럼 처음에 어떻게 불리어지고 구성되어 변천되는지를 확인해보자.
처음 문자로서‘훈민정음’이 제정되었던 당시에는 28자가 제시되었다. 즉 자음이 17자이고 모음이 11자 였던 것이다. 이는 세종 28년 병인(丙寅, 1446년) 9월에 반포된 해례본 <훈민정음(訓民正音)>에 자세히 기록 설명된다. 이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자음으로서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과, 모음으로서 “ㆍ ㅡ ㅣ ㅗ ㅜ ㅏ ㅓ ㅛ ㅑ ㅠ ㅕ”등이다. 이는 다음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세시하는 27자와 비교할 때 1자의 차이가 있다.
(1) 훈몽자회(訓蒙字會) 법례
가.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나.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 :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다. 중성독용십일자(中聲獨用十一字)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1572년(중종 22년)에 최세진이 지은 책 <훈몽자회(訓蒙字會)> 첫머리에 있는 범례 중 ‘언문 자모(言文字母)’의 수는 (1)에서 처럼 글자 수를 모두 27자로 보고 있다. 여기서 여린 히
*목 차*
Ⅰ. 서론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수
2. 자모의 순서
3. 자모의 명칭
Ⅲ. 결론
Ⅰ. 서론
자모(字母) 자모(字母)는 1) 철음(綴音)의 근본이 되는 글자 2) 36 자모설 3) (인쇄) 모자(母子), 모형(母型)등이 있으나 여기서는 1)을 뜻함.
는 한 개의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분석하여 적을 수 있는 글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표음 문자 중에서도 음소 문자에 국한된 것이다. 사람의 말 중에는 모음만으로 혹은 자음만으로 한 개의 음절을 이루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로 자음과 모음이 합해져야 한 개의 음절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는 한글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에 대한 변천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 수
한글 자모의 수가 몇 개이냐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과거부터 여러 가지 논의가 있었고 또한 우리말이 여러 세대가 변하면서 그 표기법도 바뀌고 해서 그러하다. 그럼 처음에 어떻게 불리어지고 구성되어 변천되는지를 확인해보자.
처음 문자로서‘훈민정음’이 제정되었던 당시에는 28자가 제시되었다. 즉 자음이 17자이고 모음이 11자 였던 것이다. 이는 세종 28년 병인(丙寅, 1446년) 9월에 반포된 해례본 <훈민정음(訓民正音)>에 자세히 기록 설명된다. 이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자음으로서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과, 모음으로서 “ㆍ ㅡ ㅣ ㅗ ㅜ ㅏ ㅓ ㅛ ㅑ ㅠ ㅕ”등이다. 이는 다음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세시하는 27자와 비교할 때 1자의 차이가 있다.
(1) 훈몽자회(訓蒙字會) 법례
가.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나.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 :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다. 중성독용십일자(中聲獨用十一字)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1572년(중종 22년)에 최세진이 지은 책 <훈몽자회(訓蒙字會)> 첫머리에 있는 범례 중 ‘언문 자모(言文字母)’의 수는 (1)에서 처럼 글자 수를 모두 27자로 보고 있다. 여기서 여린 히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문법] 표준어와 표준발음 & 한글맞춤법 총정리 서브노트
<워드프로세서 ‘한글2005’의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규정 오류> -졸업 논문
[맞춤법][표준어][띄어쓰기][국어문법][문법]사례를 통해 본 맞춤법과 표준어 및 띄어쓰기(작...
[한글 맞춤법][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과 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 역사와 다른 언어와의 비...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방송법]방송과 통신의 융합, 방송통신위원회의 위상, 방송통신...
[국어작문/미디어글쓰기A+]방송언어 및 한글맞춤법 오용사례와 개선방안
[한글맞춤법][한글][맞춤법][표준어]한글맞춤법의 원리, 한글맞춤법의 역사, 한글맞춤법의 총...
법제와 민영방송법제, 방송통신관계법제, 개인정보보호법제, 건설관련법제, 내부자거래규제법...
방송발전기금(방송통신발전기금) 용도, 방송발전기금(방송통신발전기금)과 방송3사 입장, 방...
[방송발전기금]방송통신발전기금(방송발전기금)의 징수원칙, 공익성, 방송통신발전기금(방송...
[방송통신융합][방송정책][방송법]방송통신융합과 방송정책, 방송통신융합과 방송법, 방송통...
방송통신발전기금(방송발전기금)의 조성, 징수, 방송통신발전기금(방송발전기금)의 여유자금,...
[국어맞춤법과 표준어] 현행 한글 맞춤법에 대한 고민
사회복지법제-관심 있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복지법 하나를 선택하여 법 내용과 본인의 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