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의정의및기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가의정의및기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요가의정의
2.판차코사에대해 서술
3.세가지구나에대해 서술
4.아쉬탕가요가에 대해 서술
5.무드라 반다에 대해 서술
6.쿤달리니 차크라 및 나디에대해 서술
7.요가의종류

본문내용

절이 가능하여 집중하기에 적합한 도구가 되도록 한다.
5단계: 프라티아하라Prathyahara - 감각억제 : 감각기관에 의해 외부대상이 받아들여져 내부에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을 다스리기 위해 오감을 억제하고 조절하는 감각과 욕구 제어 수련법이다. 감각을 내면으로 되돌려 참된 자기에게 되비추어 봄으로서 참된 자아와 만남으로서 지혜를 얻기 위한 능력을 얻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접근방식이다.
6단계: 다라나Dharana - 집중: 수많은 사고의 흐름을 차단하여 하나의 대상에 정신을 고정시키는 구심적 정신 집중법으로 마음을 한곳에 매는 것이다.
7단계: 디야나Dhyana - 선정: 의식작용이 한결같이 한곳에 집중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상을 초월하여 무념, 무상, 무심의 상태로 들어가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는 사고의 원심적 수련이다.
8단계: 사마디Samadhi - 삼매(三昧) : 삼매는 정려의 대상만 마음속에 빛나고 그 자신은 없어진 것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 객체만 있고 주체는 사라진 상태인데 이것은 자기마음에 대상이 주는 사실성만 가득 차 있다는 뜻으로 나와 자연이 하나로 합일되는 신아일치경으로 해탈과 깨달음의 상태로 완전한 자유와 만족의 경지이다.
5.무드라와 반다에 대해 서술하시오
산스크리트어로 무드라는 몸짓 또는 태도라고 번역된다. 무드라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몸의 자세나, 특정한 손 모양을 말한다. 무드라는 심리적 정서적, 신앙적, 심미적 몸짓과 태도라고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에너지 흐름의 태도로서 경험하였고, 개인적 에너지와 우주적 에너지를 연결하려 하였다. 무드라의 어떠한 자세는 각각에 특별한 상징과 의미를 가진 상태로 수행자의 의식을 분명하게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마음의 평온을 의미하는 어떠한 무드라를 지속적으로 취했을 때 그 행위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적 요소가 수행자의 뇌와 마음과 영혼을 자극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무드라는 ‘상징적인 언어’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로 표현하거나 묘사하지 못하는 내면의 소리나 우주의 본질적인 것들, 시공을 초월한 진리에 대한 의사표시에 대해 무드라는 언어를 초월하는 동작을 행하였던 것 이다.
반다(Bandha)는 영어 (Band)의 뜻과 마찬가지로 신체의 어떤 기관과 부위를 묶는다. 곧 근육과 기관등을 조이는 방법을 통해 기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것이다. 호흡을 할때 몸에 가득 채운 에너지를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이를 몸에 보존하고 확장시키기 위해 반다를 하는 것이다. 반다의 종류로는 \"목반다(jalamdhara,잘란드라하)\",\" 복부반다(uddiyana,우디야냐)\", \"항문반다(mula,뮬라)\"의 세 반다가 있다.
ⅰ. 잘란다라 반다 - 목과 목구멍은 수축되고 턱은 흉골 맨위의 쇄골 사이에 있는 V자 모양의 가슴에 놓여지게 된다. 심장, 경선, 뇌를 포함한 머리로 흐르는 혈액과 프라나를 조절한다. 잘란다라 반다 없이 프라나야마를 행한다면 즉시 심장, 안구, 귓속에 압박이 느껴지고 머리는 현기증을 느끼게 된다.
ⅱ.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