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세시대와 농업 혁명
I. 암흑시대는 얼마나 암흑인가? (500-1500)
II. 로마의 유산
III. 중량쟁기
IV. 말의 등장과 사용
IV. 삼포제 (three field system)
V. 농업혁명의 결과들
2. 상징적/이상적 (symbolic/idealistic) 기술
I. 들어가면서
II. 상징적 기술: 대성당과 기계식시계
3. 기계식 시계의 발명과 확산
I. 시간, 시계, 그리고 근대성
II. 기술적인 문제로서의 기계식 시계
III. 왜 기계식 시계인가?
I. 암흑시대는 얼마나 암흑인가? (500-1500)
II. 로마의 유산
III. 중량쟁기
IV. 말의 등장과 사용
IV. 삼포제 (three field system)
V. 농업혁명의 결과들
2. 상징적/이상적 (symbolic/idealistic) 기술
I. 들어가면서
II. 상징적 기술: 대성당과 기계식시계
3. 기계식 시계의 발명과 확산
I. 시간, 시계, 그리고 근대성
II. 기술적인 문제로서의 기계식 시계
III. 왜 기계식 시계인가?
본문내용
harnessing)의 개선은 운송과 농업에서 말의 물리적인 힘을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구로 인해 말의 끄는 능력을 3-4배나 늘리는 것을 가능하게 했던 셈이다. 또한 새로운 마구로 인해서 가능해진 견인효율은 말을 무거운 쟁기에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말은 느린 소보다도 훨씬 빨리 농업노동력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말의 사용은 오늘날의 트렉트처럼 모든 곳에서 동시에 채택된 것은 아니었다. 말에 대한 편견이 있었다. 중세시대의 말이란 오늘날 20세기의 트렉트처럼 일종의 투자를 의미했다. 그리고 그 유지비도 만만치 않았다. 소보다도 유지비가 더 들었다. 농민들은 말을 유지하는데 특별한 관심이 필요했다. 그래서 말은 진보적 성향을 지닌 농민들에 의해서만 가능했다. 말과 소는 거의 비슷한 힘을 발휘했지만 말이 50% 정도 빠르며, 참을성도 있고 2시간 정도 길게 일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유명한 농학자가 지적하는 것처럼, 여전히 수많은 농민들은 소구로써 쟁기질을 하기도 했다. 물론 13세기 영국에서이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바퀴가 달린 중량쟁기와 말의 사용은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기도 했지만, 모든 지역에서 반드시 그런 결과를 가져왔던 것은 아니었다.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말의 사용은 경비가 휠씬 많이 드는 것이었다. 어쩌면 우리는 유럽 농업의 생산성 확대는 중세 유럽 사회에 도입된 삼포제 경작법이 지배적으로 되면서 가능했다고 할 수 있겠다. 삼포제가 중세 유럽의 지배적인 경작법으로 도입된 것을 가리켜 농업상의 혁명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삼포윤작제 농법의 시행은 특별히 주목할 만한 농업기술상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IV. 삼포제 (three field system)
농업 생산 기술에 결정적인 진보를 가져 왔다. 이전에 이포제를 실시할 때에는 농사철마다 경작지의 절반에 씨를 뿌리고 나머지 절반은 휴경되었다. 그러나 삼포제에서는 경작지의 1/3만이 휴경지가 되었다. 일년에 2번 수확함으로써 흉작과 기근의 위험이 줄어들게 되었다. 2가지 면에서 효율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다. 첫째 휴경지는 보통 삼포제의 경우 땅을 조금 더 자주 갈게 됨으로써 농민들은 수확을 대략 2배로 늘릴 수 있었다. 둘째, 봄에 심은 귀리를 말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쟁기질에 황소 대신 걸음이 빠른 말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포제와 삼포제든 윤작(rotation of crop)은 중세 농업에서 언제나 중요한 이슈였다. 그리고 삼포제의 채택은 중요한 기술의 혁신이었다. 로마인들은 이포제를 실행하였다. 이런 시스템에서 경작지의 절반은 휴경지로 남았다 (결국 2년마다 절반의 경작지는 씨를 뿌리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었다). 단지 휴경지에서 가축들이 한가롭게 놀고 있을 뿐이었다. 8세기경에 처음으로 나타났던 삼포제는 복잡하게 진행되었다. 첫 해 1/3 경지에 겨울 작물인 밀, 봄에 봄 작물인 귀리를 심고, 마지막 1/3의 경지는 휴경지로 남았다. 삼포제는 매년 30%의 경지만 휴경지로 남았기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바퀴가 달린 중량쟁기와 말의 사용은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기도 했지만, 모든 지역에서 반드시 그런 결과를 가져왔던 것은 아니었다.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말의 사용은 경비가 휠씬 많이 드는 것이었다. 어쩌면 우리는 유럽 농업의 생산성 확대는 중세 유럽 사회에 도입된 삼포제 경작법이 지배적으로 되면서 가능했다고 할 수 있겠다. 삼포제가 중세 유럽의 지배적인 경작법으로 도입된 것을 가리켜 농업상의 혁명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삼포윤작제 농법의 시행은 특별히 주목할 만한 농업기술상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IV. 삼포제 (three field system)
농업 생산 기술에 결정적인 진보를 가져 왔다. 이전에 이포제를 실시할 때에는 농사철마다 경작지의 절반에 씨를 뿌리고 나머지 절반은 휴경되었다. 그러나 삼포제에서는 경작지의 1/3만이 휴경지가 되었다. 일년에 2번 수확함으로써 흉작과 기근의 위험이 줄어들게 되었다. 2가지 면에서 효율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다. 첫째 휴경지는 보통 삼포제의 경우 땅을 조금 더 자주 갈게 됨으로써 농민들은 수확을 대략 2배로 늘릴 수 있었다. 둘째, 봄에 심은 귀리를 말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쟁기질에 황소 대신 걸음이 빠른 말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포제와 삼포제든 윤작(rotation of crop)은 중세 농업에서 언제나 중요한 이슈였다. 그리고 삼포제의 채택은 중요한 기술의 혁신이었다. 로마인들은 이포제를 실행하였다. 이런 시스템에서 경작지의 절반은 휴경지로 남았다 (결국 2년마다 절반의 경작지는 씨를 뿌리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었다). 단지 휴경지에서 가축들이 한가롭게 놀고 있을 뿐이었다. 8세기경에 처음으로 나타났던 삼포제는 복잡하게 진행되었다. 첫 해 1/3 경지에 겨울 작물인 밀, 봄에 봄 작물인 귀리를 심고, 마지막 1/3의 경지는 휴경지로 남았다. 삼포제는 매년 30%의 경지만 휴경지로 남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