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의 두 가지 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의 두 가지 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선어말어미 ‘-오-’의 실현 양상
3. 인칭․대상설
4. 의도법설
5. ‘-오/우-’의 변화
6. 결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실현은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 모음 조화에 따라 ‘-오/우-’로 교체했고, 모음으로 끝난 어간일 때는 연접 규칙 연접규칙은 이기문(1972)을 참조할 것.
에 따라 변했다. 즉, 어간말음이 ‘ㅗ,ㅜ’로 끝날 때는 말할 것도 없고 ‘ㅏ,ㅓ’로 끝날 때도 ‘오+오-→:오-, 나+오-→:나-’처럼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다만 성조(聲調)의 변동만 일으켰다. 그리고 어간말음이 ‘,ㅡ’일 때는 ‘+오-→호-’, ‘+우-→-’처럼 ‘,ㅡ’가 탈락하였다.(-일 때는 가 줄어지지 않고 -오-가 -요-로 바뀌는 수도 있음. 예) 行+오+ㅁ→行욤.) 또 회상시제의 ‘-더-’와 만나면 ‘-더+오-→-다-’, 주체높임의 ‘-시-’와 만나면 ‘-시+오-→-샤-’, 계사(繫辭) ‘이-’와 만나면 ‘이+오-→이로-’ 회상 시제 ‘-더/다-’, 주체 높임 ‘-시/샤-’를 ‘-오-’결합 유무에 따른 이형태로 보기도 한다.
와 같이 특이한 변이를 일으켰으며, 현재시제의 관형형 ‘-’과의 결합형은 ‘-논’이었다.
(1) a. 도라 :오리라 시고 (석보상절 권6, 4장)
b. 그 나라해 :나리라 (석보상절 권6, 36장)
c. 授記 디 아니호리라 (월인석보 권10, 84장)
(2) a. 마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2.24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