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문
Ⅱ. 본문
1. 고대 가요
2. 삼국시대의 시가
1) 고구려의 시가
2) 백제의 시가
3) 신라의 시가
3. 작품 고찰
1) 구지가
2) 황조가
3) 공무도하가
2. 향가
1) 향가의 명칭과 특징
2) 향가의 형식
3) 향가감상
Ⅲ. 결문
Ⅱ. 본문
1. 고대 가요
2. 삼국시대의 시가
1) 고구려의 시가
2) 백제의 시가
3) 신라의 시가
3. 작품 고찰
1) 구지가
2) 황조가
3) 공무도하가
2. 향가
1) 향가의 명칭과 특징
2) 향가의 형식
3) 향가감상
Ⅲ. 결문
본문내용
통해 향가의 형태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며, 셋째는 낙형과 비 낙구형으로 나누는 것이다.
우선 분절에 의한 형식을 보면 소창진평은 향가의 형식을 크게 4구체가 8구체로 나누고 다시 8구체를 끝에 2구를 덧붙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누었다. 조윤제는 4,8,10으로 독립하여 나누었다. 이러한 ‘띄어쓰기’방식은 이른바 4구체 향가인 ‘서동요’,‘풍요’, ‘헌화가’, ‘도솔가’ 네 편에서 ‘풍요’를 제외한 나머지 3편이 모두 3단위로 모두 3단위로 띄어쓰기 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과 소창진평의 시행구분에 의할 때 각 시행들의 길이가 달라 정연한 율격의 면모를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3구 6명에 대하여는 여러 견해가 있는데 크게 삼구와 6명을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는 것과 별개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낙구형과 비낙구형은 차사의 유무로서 나누는 것이다. 낙구형은 특정한 의도를 담은 것으로, 비 낙구형은 자연발생적인 것으로 보이며 비 낙구형은 다시 순수한 민요계통과 무가계통으로 나누기도 한다.
3) 향가감상
작품 감상에 있어 25편을 모두 감상하기에는 여러 시간상, 혹은 분량상 많은 제한이 있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1작품을 선택해서 감상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1작품을 어떠한 기준으로 택하느냐 하는 것도 중요하다. 학계에서 여러 논의를 유발하고 있는 작품을 선택한다면 우선 작가의 문제를 논할 수 있는‘원왕생가’나 ‘도천수대비가’가 있을 수 있고, 문학성이 우수한 작품을 선택한다면 ‘제망매가’나 ‘찬기파랑가’등이 있으며, 향가의 발전과정을 알고 싶다면 ‘도솔가’가 있고 향가 해독의 문제를 논하려면 ‘서동요’나 ‘모죽지랑가’ 등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구분은 딱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겹치는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찬기파랑가는 문학성도 있지만 여전히 해독의 문제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문학성이 가장 돋보인다고 하는 찬기파랑가를 감상하려고 한다.
찬 기파랑가(讚耆婆郞歌)
충담사(忠談師)
원문(양주동식 끊어읽기)
양주동 해독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干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치매 나토얀 리
구룸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기랑(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리ㅅ
낭(郎) 디니다샤온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우선 분절에 의한 형식을 보면 소창진평은 향가의 형식을 크게 4구체가 8구체로 나누고 다시 8구체를 끝에 2구를 덧붙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누었다. 조윤제는 4,8,10으로 독립하여 나누었다. 이러한 ‘띄어쓰기’방식은 이른바 4구체 향가인 ‘서동요’,‘풍요’, ‘헌화가’, ‘도솔가’ 네 편에서 ‘풍요’를 제외한 나머지 3편이 모두 3단위로 모두 3단위로 띄어쓰기 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과 소창진평의 시행구분에 의할 때 각 시행들의 길이가 달라 정연한 율격의 면모를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3구 6명에 대하여는 여러 견해가 있는데 크게 삼구와 6명을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는 것과 별개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낙구형과 비낙구형은 차사의 유무로서 나누는 것이다. 낙구형은 특정한 의도를 담은 것으로, 비 낙구형은 자연발생적인 것으로 보이며 비 낙구형은 다시 순수한 민요계통과 무가계통으로 나누기도 한다.
3) 향가감상
작품 감상에 있어 25편을 모두 감상하기에는 여러 시간상, 혹은 분량상 많은 제한이 있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1작품을 선택해서 감상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1작품을 어떠한 기준으로 택하느냐 하는 것도 중요하다. 학계에서 여러 논의를 유발하고 있는 작품을 선택한다면 우선 작가의 문제를 논할 수 있는‘원왕생가’나 ‘도천수대비가’가 있을 수 있고, 문학성이 우수한 작품을 선택한다면 ‘제망매가’나 ‘찬기파랑가’등이 있으며, 향가의 발전과정을 알고 싶다면 ‘도솔가’가 있고 향가 해독의 문제를 논하려면 ‘서동요’나 ‘모죽지랑가’ 등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구분은 딱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겹치는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찬기파랑가는 문학성도 있지만 여전히 해독의 문제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문학성이 가장 돋보인다고 하는 찬기파랑가를 감상하려고 한다.
찬 기파랑가(讚耆婆郞歌)
충담사(忠談師)
원문(양주동식 끊어읽기)
양주동 해독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干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치매 나토얀 리
구룸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기랑(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리ㅅ
낭(郎) 디니다샤온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추천자료
향가별곡론 - 정석가
중국 고대문학-시경
[시가작품론]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고대의 여성사
시대, 정치, 사회적 상황과 사건을 반영한 대중가요
[국어 임용고시]향가 정리본
제망매가와 처용가에서 뛰어난 문학적 표현부분 설명, 향가의 이해와 삼국유사의 이해
[한국 고전문학]한국 고전문학의 의의, 한국 고전문학 시가, 한국 고전문학 향가, 한국 고전...
영남대 인강 대중가요와 생활사
[시조][시조작가][시조집][도가][변신모티브][고구려시조][고대시조]시조와 시조작가, 시조와...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1권 - 01 ~ 06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원시문학, 고대문학...
“대중 가요 가사의 문제점, 대책”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 2017/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적 정리에 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