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목차
1. 초등 체육의 목적
2.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
3. 체육에 대한 잘못된 가정의 허실을 파헤치기
4.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새 교과서
5.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6.평가영역
2.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
3. 체육에 대한 잘못된 가정의 허실을 파헤치기
4.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새 교과서
5.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6.평가영역
본문내용
! 몇번 굴러서 끝까지 갔나요?
어린이 : 안 세어 봤는데요.
교 사 : 선생님은 그것이 알고 싶어요. 모두 다시 한번 옆구르기로 지나가
볼까요.
어린이 : 각자 자기가 구른 숫자를 외친다(구르는 속도가 늦어진다.)
교 사 : 다시 한번 해볼까요?
어린이 : 다시 한번 구른다. 구르는 횟수가 달라진 어린이가 나타난다.
교 사 : 순이는 구르는 횟수가 8이 되었대요? 아까는 9였는데, 순이처럼 줄 어든 사람 있어요? 어떻게 하면 줄어드나요? 우리 모두 더욱 줄어 들게 굴러볼까요?
교 사 : 다음은 구르는 숫자를 늘여볼까요? 어떻게 하면 늘어날 수 있을까요?
교 사 : 이번엔 배 있는 곳의 옷 속에 풍선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고 풍선이 터지지 않도록 굴러 갈 수 있을 까요?
교 사 : 굽은 길을 따라 굴러가게 할 수 있나요?
운동량, 창의력 등을 고려한 다양한 발문이 개발될 수 있다.
혹, 전통적인 옆구르기 학습에서 기대해 왔던 몸을 곧게 펴고 옆구르기를 실현해 보고자 한다면 “몸을 가장 길게 하고 굴러보자” 또는 “굴러간 자국이 가장 넓게 되도록 굴러가 보자”등의 발문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본다.
매트의 경사를 다르게 하여 옆구르기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변화로 기울기와 이동속도 그리고 체력소모의 복합적 체험을 통해 단순한 지식이나 이해의 수준에서 종합, 평가(Bloom)의 차원 높은 지적 활동을 유도 할 수 있다고 본다.
5. 맺으며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노력점이라는 제목으로 너무나 제한된 내용을 심각하게 강조한 경향이 있게 되었다.
변을 구한다면 지면제한도 있고 또 앞에서 언급했듯이 학교현장에는 체육과 교수-학습지도 방법을 자세히 안내하는 자료가 충분히 있다고 보며 자칫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는 낭비의 누를 범하지 않으려는 의도였다.
끝으로 초등학교 체육교단에서 고려되어야 할 교수-학습지도 기술로 중요한 것 한가지를 더 강조한다면 “수준별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환경 조성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높이 뛰기를 한다면 넘어야 할 줄의 높이를 한쪽은 낮게 다른 한쪽은 높게 대각선이 되도록 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당락, 서열, 성패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며 경사진 줄넘기에 누구나 즐겁게 열심히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에 힘쓰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대해 필자는 D초등학교의 전교생 한강헤엄쳐 건너기를 실시함에 있어서 등수 없이 누구나 승리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별한 연구 끝에 성공적 운영을 실천 할 수 있었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준별 자기주도적 학습 운영은 비약의 최소화와 함께 안전사고 예방의 기능까지 확보한다는 점에서도 재삼 강조하는 바이다.
체육 수업에서의 교사들이 수행하는 학습지도 기능(교수 기능)을 열거하시오
학생들에게 학습 과제를 제시한다.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 환경을 조직한다.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한다.
학생들의 운동 수행에 근거하여 과제 내용을 수정한다.
학생들에게 운동 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목표를 설정, 학습 경험의 세계를 조직한다.
교수과정을 평가한다.
ALT의 개념은 Berliner의 연구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ALT는 교사가 학업적 과제에 할애한 시간이 아니라 학습자가 수업 내용에 참여하여 소비한 시간이다. ALT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단일 변인으로 한 과제에 소비한 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그 과목에서 높은 학업 성취를 이룩할 가능성이 그 만큼 높아진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실제 학습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학습 지도 환경을 계획해야 한다. 이것에는 지도유형(직접지도, 과제 학습 지도), 일반 내용(기다림, 이동, 학습자 관리), 학습자의 움직임(바람직한 행동, 부적절한 행동), 난이 수준 등의 관찰 항목으로 구성되며 수업 현장에서 곧바로 교사의 교수 행동과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연관시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체계이다.
교사의 학습 지도 행동을 세가지로 분류 설명하라.
비기여 행동 - 수업 내용에 기여하지 않는 교사의 행동이다. 비기여 행동은 방화 연습, 학습장 밖의 사람과의 대화, 교사의 학습자 이탈 등의 사건들을 포함한다.
간접 기여 행동 - 교사가 학습자와 학습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지만 수업 내용에 직접 도움이 되지 않는 교사 행동이다. 부상 학생의 처리, 과제의 토론, 용구의 보수 등이 간접 기여 행동에 포함된다. 이러한 사건들은 교사의 직접 기여 행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직접 기여 행동 - 수업 내용에 직접 기여하는 행동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의 유지, 과제의 명료화와 강화, 생산적인 학습 환경의 유지, 학습자를 위한 피드백의 제공, 개인과 소집단을 위한 과제의 변화 및 수정, 학습자 반응의 관찰 및 분석 등이다.
기본 학습 능력의 성취와 학교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교수 효율성의 근거로 할 때 유능한 교사의 교수 효율성을 특정짓는 교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우수한 교사는 강제적, 부정적, 징계적 학습자 관리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학생들의 학습 참여 시간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교사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습 내용에 배당된 시간의 비율이 높다(수업 운영 시간의 축소)
학습자의 과제 참여 비율이 높다(학생의 과제 지향성)
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적합하다(성공 지향성)
따뜻하고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한다.
위 사항들을 확보하기 위한 학습 구조를 개발한다.
위와 같은 포괄적인 기술이 특정한 교수 방법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교수 효율성 자체보다는 그것이 어느 정도의 높은 비율로 실제 학습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가가 더욱 중요하다. 효율적인 교수를 잘 실천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수법은 직접적 학습지도법이다.
직접적 학습 지도와 관련된 변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효율적인 교수의 특성은 타당성과 일반성의 가능성을 갖고 있지만 모든 교육적인 상황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직접적 학습 지도에 고려될 중요한 변인은 4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발달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학습자의 발달 단계별로 신체적
어린이 : 안 세어 봤는데요.
교 사 : 선생님은 그것이 알고 싶어요. 모두 다시 한번 옆구르기로 지나가
볼까요.
어린이 : 각자 자기가 구른 숫자를 외친다(구르는 속도가 늦어진다.)
교 사 : 다시 한번 해볼까요?
어린이 : 다시 한번 구른다. 구르는 횟수가 달라진 어린이가 나타난다.
교 사 : 순이는 구르는 횟수가 8이 되었대요? 아까는 9였는데, 순이처럼 줄 어든 사람 있어요? 어떻게 하면 줄어드나요? 우리 모두 더욱 줄어 들게 굴러볼까요?
교 사 : 다음은 구르는 숫자를 늘여볼까요? 어떻게 하면 늘어날 수 있을까요?
교 사 : 이번엔 배 있는 곳의 옷 속에 풍선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고 풍선이 터지지 않도록 굴러 갈 수 있을 까요?
교 사 : 굽은 길을 따라 굴러가게 할 수 있나요?
운동량, 창의력 등을 고려한 다양한 발문이 개발될 수 있다.
혹, 전통적인 옆구르기 학습에서 기대해 왔던 몸을 곧게 펴고 옆구르기를 실현해 보고자 한다면 “몸을 가장 길게 하고 굴러보자” 또는 “굴러간 자국이 가장 넓게 되도록 굴러가 보자”등의 발문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본다.
매트의 경사를 다르게 하여 옆구르기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변화로 기울기와 이동속도 그리고 체력소모의 복합적 체험을 통해 단순한 지식이나 이해의 수준에서 종합, 평가(Bloom)의 차원 높은 지적 활동을 유도 할 수 있다고 본다.
5. 맺으며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노력점이라는 제목으로 너무나 제한된 내용을 심각하게 강조한 경향이 있게 되었다.
변을 구한다면 지면제한도 있고 또 앞에서 언급했듯이 학교현장에는 체육과 교수-학습지도 방법을 자세히 안내하는 자료가 충분히 있다고 보며 자칫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는 낭비의 누를 범하지 않으려는 의도였다.
끝으로 초등학교 체육교단에서 고려되어야 할 교수-학습지도 기술로 중요한 것 한가지를 더 강조한다면 “수준별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환경 조성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높이 뛰기를 한다면 넘어야 할 줄의 높이를 한쪽은 낮게 다른 한쪽은 높게 대각선이 되도록 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당락, 서열, 성패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며 경사진 줄넘기에 누구나 즐겁게 열심히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에 힘쓰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대해 필자는 D초등학교의 전교생 한강헤엄쳐 건너기를 실시함에 있어서 등수 없이 누구나 승리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별한 연구 끝에 성공적 운영을 실천 할 수 있었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준별 자기주도적 학습 운영은 비약의 최소화와 함께 안전사고 예방의 기능까지 확보한다는 점에서도 재삼 강조하는 바이다.
체육 수업에서의 교사들이 수행하는 학습지도 기능(교수 기능)을 열거하시오
학생들에게 학습 과제를 제시한다.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 환경을 조직한다.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한다.
학생들의 운동 수행에 근거하여 과제 내용을 수정한다.
학생들에게 운동 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목표를 설정, 학습 경험의 세계를 조직한다.
교수과정을 평가한다.
ALT의 개념은 Berliner의 연구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ALT는 교사가 학업적 과제에 할애한 시간이 아니라 학습자가 수업 내용에 참여하여 소비한 시간이다. ALT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단일 변인으로 한 과제에 소비한 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그 과목에서 높은 학업 성취를 이룩할 가능성이 그 만큼 높아진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실제 학습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학습 지도 환경을 계획해야 한다. 이것에는 지도유형(직접지도, 과제 학습 지도), 일반 내용(기다림, 이동, 학습자 관리), 학습자의 움직임(바람직한 행동, 부적절한 행동), 난이 수준 등의 관찰 항목으로 구성되며 수업 현장에서 곧바로 교사의 교수 행동과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연관시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체계이다.
교사의 학습 지도 행동을 세가지로 분류 설명하라.
비기여 행동 - 수업 내용에 기여하지 않는 교사의 행동이다. 비기여 행동은 방화 연습, 학습장 밖의 사람과의 대화, 교사의 학습자 이탈 등의 사건들을 포함한다.
간접 기여 행동 - 교사가 학습자와 학습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지만 수업 내용에 직접 도움이 되지 않는 교사 행동이다. 부상 학생의 처리, 과제의 토론, 용구의 보수 등이 간접 기여 행동에 포함된다. 이러한 사건들은 교사의 직접 기여 행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직접 기여 행동 - 수업 내용에 직접 기여하는 행동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의 유지, 과제의 명료화와 강화, 생산적인 학습 환경의 유지, 학습자를 위한 피드백의 제공, 개인과 소집단을 위한 과제의 변화 및 수정, 학습자 반응의 관찰 및 분석 등이다.
기본 학습 능력의 성취와 학교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교수 효율성의 근거로 할 때 유능한 교사의 교수 효율성을 특정짓는 교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우수한 교사는 강제적, 부정적, 징계적 학습자 관리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학생들의 학습 참여 시간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교사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습 내용에 배당된 시간의 비율이 높다(수업 운영 시간의 축소)
학습자의 과제 참여 비율이 높다(학생의 과제 지향성)
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적합하다(성공 지향성)
따뜻하고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한다.
위 사항들을 확보하기 위한 학습 구조를 개발한다.
위와 같은 포괄적인 기술이 특정한 교수 방법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교수 효율성 자체보다는 그것이 어느 정도의 높은 비율로 실제 학습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가가 더욱 중요하다. 효율적인 교수를 잘 실천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수법은 직접적 학습지도법이다.
직접적 학습 지도와 관련된 변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효율적인 교수의 특성은 타당성과 일반성의 가능성을 갖고 있지만 모든 교육적인 상황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직접적 학습 지도에 고려될 중요한 변인은 4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발달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학습자의 발달 단계별로 신체적
추천자료
지역사회체육과 학교체육의 연계방안
[체육교육]양성평등 체육교육의 실태 및 바람직한 개선방안
[학교체육] 학교체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체육과 이해중심게임학습(이해중심게임수업) 의미와 필요성, 체육과 이해중심게임학습(이해중...
교대(교육대학, 교육대학교)의 체육교육(체육과교육), 교대(교육대학, 교육대학교)의 수학교...
체육과 이해중심게임학습(이해중심게임수업)의 의의와 유형, 체육과 이해중심게임학습(이해중...
유아기 신체 운동능력 발달 특징 및 유아체육 교육(유아체육교실 프로그램)의 개념 필요성 내...
엘리트 체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만을 위한 엘리트 체육, 우리 모두의 잘못 입니다…
[표현][신인상주의][체육활동][동화][표현활동][음악활동][수묵화]표현과 신인상주의, 표현과...
[스포츠 시설관리] 학교 체육 (시설) 관리+α - 국내, 국외의 학교체육 (24p)
생활체육론 - 생활체육의 특징에 대해 조사하시오
[경영][학교경영][교실경영][학급경영][도서관경영][대학경영][체육경영]학교경영, 교실경영,...
[학교 체육 태권도] 학교 체육과 연계한 태권도 활성화 방안을 논하시오
한국생활체육 발전방향 중 한국 생활체육 정책의 기대효과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