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국적기업의 정의와 특징
2.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 동기
3. 다국적기업의 목적
4. 다국적기업의 특징
5. 다국적기업의 빛과 그림자(장,단점)
6. 다국적기업과 이전가격
7. 기업의 다국적화 단계
8. 아담스미스의 “보이지않는 손”
2.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 동기
3. 다국적기업의 목적
4. 다국적기업의 특징
5. 다국적기업의 빛과 그림자(장,단점)
6. 다국적기업과 이전가격
7. 기업의 다국적화 단계
8. 아담스미스의 “보이지않는 손”
본문내용
인 자본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세계후생의 증대를 가져온다. 다국적기업의 최적자원 배분에 의한 세계후생증대효과는 각국이 나누어 가질 파이(pie)를 크게 만드는 것과 같다. 다국적기업이 구현하는 것은 규모의 경제이다. 다국적기업은 최적생산거점에 자원을 집중 배분하여 세계적 규모에서 대량생산을 함으로써 장기평균비용곡선은 낮추고 상당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다국적기업이 도입하는 신기술과 새로운 제품은 그 나라는 물론 국제적으로 경쟁을 자극시키게 된다. 더불어 대규모 다국적기업드로서의 이미지 형성을 함으로써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 우리한 경쟁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전세계 해외직접투자의 규모를 보면 1980년대 전반의 개도국외채위기에 의한 경제침체에 의해 잠시 둔화되었다가 1985년 이후 세계수출을 훨씬 능가하여 급속히 증가하였다. 해외직접투자는 단순히 세계수출 증가율을 앞서는 것만이 아니라 세계GDP증가율을 훨씬 앞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세게 해외직접투자의 팽창에 기여한 것은 다국적 기업이다. 한편, 이러한 해외투자에 힘입어 외국인직접투자는 일부 국가의 국내총생산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에 비중은 91.7%에 달하며 네덜란드, 캐나다, 홍콩 등에서도 20%를 넘고 있다.
다국적기업은 세계기술의 혁신을 주도하고 이를 개발도상국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수명주기가 짧아지고 기술 그 자체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하나의 신기술을 개발해 내는 데 필요한 연구개발투자 규모나 투자리스크가 그만큼 커지는 오늘날에 있어서 막대한 경제력을 지닌 다국적기업이 아니면 도저히 감당해 낼 수 없는 기술개발이 많다. 다국적기업에 의해 개발된 이같은 기술은 그들의 해외직접투자나 글로벌 소싱, 해외현지조립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나라에 전파되어 나간다. 다국적기업이 세계경제에 빛의 역할을 수행해온 측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⑴ 국제적 분업체계의 확립
다국적기업에 의한 해외직접투자는 생산체제를 국제적으로 분업화시키는 역할을 해 왔다. 선진국은 주로 서비스업 및 기계, 첨단산업에 특화하고, 중진국은 중화학공업, 조선 등의 산업에 특화하여, 후진국은 섬유, 신발, 가전제품의 산업에 특화하는 생산체제로 이행함으로써 국제적인 분업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⑵ 세계후생증대
다국적기업은 해외의 최적생산거점에 자본을 이동시켜 생산활동을 하므로 세계적 차원에서 자원의 최적배분을 구현한다.
⑶ 기술혁신
다국적기업은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 오고 있다. 이렇게 개발한 기술은 현지국의 자회사에 이전됨으로써 독점적 이윤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기술을 확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효과를 현지의 자회사에 이전시키거나 라이센싱의 형태로 현지기업에게 기술을 판매할 경우 이로 인한 현지국기업의 기술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풍부한 자본력을 가진 다국적기업이 아니면 감당해 낼 수 없는 의약, 첨단산업과 같이 인류 전체의 후생과 복지증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일 경우 다국적기업의 기술력은 더욱 돋보일 수 있다.
⑷ 독점체제의 완화
완전경쟁시장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경쟁이라는 측면과 소비자의 후생증대라는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은 첫째, 공급자인 기업과 수요자인 소비자들을 가격수용자(price-taker)이어야 한다. 둘째, 생산물은 동질적(homogeneity of product)이어야 한다. 셋째, 산업에 대한 진입과 퇴출의 자유(freedom of entry and exit)가 보장되어야 한다. 소수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독점적 경쟁이나 카르텔을 형서
전세계 해외직접투자의 규모를 보면 1980년대 전반의 개도국외채위기에 의한 경제침체에 의해 잠시 둔화되었다가 1985년 이후 세계수출을 훨씬 능가하여 급속히 증가하였다. 해외직접투자는 단순히 세계수출 증가율을 앞서는 것만이 아니라 세계GDP증가율을 훨씬 앞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세게 해외직접투자의 팽창에 기여한 것은 다국적 기업이다. 한편, 이러한 해외투자에 힘입어 외국인직접투자는 일부 국가의 국내총생산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에 비중은 91.7%에 달하며 네덜란드, 캐나다, 홍콩 등에서도 20%를 넘고 있다.
다국적기업은 세계기술의 혁신을 주도하고 이를 개발도상국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수명주기가 짧아지고 기술 그 자체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하나의 신기술을 개발해 내는 데 필요한 연구개발투자 규모나 투자리스크가 그만큼 커지는 오늘날에 있어서 막대한 경제력을 지닌 다국적기업이 아니면 도저히 감당해 낼 수 없는 기술개발이 많다. 다국적기업에 의해 개발된 이같은 기술은 그들의 해외직접투자나 글로벌 소싱, 해외현지조립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나라에 전파되어 나간다. 다국적기업이 세계경제에 빛의 역할을 수행해온 측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⑴ 국제적 분업체계의 확립
다국적기업에 의한 해외직접투자는 생산체제를 국제적으로 분업화시키는 역할을 해 왔다. 선진국은 주로 서비스업 및 기계, 첨단산업에 특화하고, 중진국은 중화학공업, 조선 등의 산업에 특화하여, 후진국은 섬유, 신발, 가전제품의 산업에 특화하는 생산체제로 이행함으로써 국제적인 분업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⑵ 세계후생증대
다국적기업은 해외의 최적생산거점에 자본을 이동시켜 생산활동을 하므로 세계적 차원에서 자원의 최적배분을 구현한다.
⑶ 기술혁신
다국적기업은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 오고 있다. 이렇게 개발한 기술은 현지국의 자회사에 이전됨으로써 독점적 이윤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기술을 확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효과를 현지의 자회사에 이전시키거나 라이센싱의 형태로 현지기업에게 기술을 판매할 경우 이로 인한 현지국기업의 기술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풍부한 자본력을 가진 다국적기업이 아니면 감당해 낼 수 없는 의약, 첨단산업과 같이 인류 전체의 후생과 복지증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일 경우 다국적기업의 기술력은 더욱 돋보일 수 있다.
⑷ 독점체제의 완화
완전경쟁시장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경쟁이라는 측면과 소비자의 후생증대라는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은 첫째, 공급자인 기업과 수요자인 소비자들을 가격수용자(price-taker)이어야 한다. 둘째, 생산물은 동질적(homogeneity of product)이어야 한다. 셋째, 산업에 대한 진입과 퇴출의 자유(freedom of entry and exit)가 보장되어야 한다. 소수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독점적 경쟁이나 카르텔을 형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