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개념
Ⅱ.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본요소
1. 동화 원작의 내용을 쉽고 명료하게 전달해 줄 수 있어야 한다
2. 동화 속에 깃든 느낌을 깊이 있게 표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3. 청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소리꾼이어야 한다
4. 구연가는 순수하고 깨끗한 우리말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Ⅲ.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술
1. 음성과 말씨
2. 말의 기술
1) 속도
2) 간격(pause)
3) 음성의 고저
Ⅳ.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지도 사례
Ⅴ.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지도 방법
1. 수업 전략 및 단계
1) 삽화그림을 보고 이야기하기
2) 관련된 이야기를 듣기
3) 이야기 듣고 관련 내용 말하기
4) 이야기 속에서 주는 교훈을 적용하며 태도 바꾸기
2. 전략
Ⅵ.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Ⅱ.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본요소
1. 동화 원작의 내용을 쉽고 명료하게 전달해 줄 수 있어야 한다
2. 동화 속에 깃든 느낌을 깊이 있게 표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3. 청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소리꾼이어야 한다
4. 구연가는 순수하고 깨끗한 우리말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Ⅲ.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술
1. 음성과 말씨
2. 말의 기술
1) 속도
2) 간격(pause)
3) 음성의 고저
Ⅳ.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지도 사례
Ⅴ.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지도 방법
1. 수업 전략 및 단계
1) 삽화그림을 보고 이야기하기
2) 관련된 이야기를 듣기
3) 이야기 듣고 관련 내용 말하기
4) 이야기 속에서 주는 교훈을 적용하며 태도 바꾸기
2. 전략
Ⅵ.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재미있게 느낄 수 있는 리듬, 소리, 낱말의 뉘앙스를 살려 실감나게 읽어 주어야 한다.
다. 이야기를 들려준 후에는 동화의 주제나 아동들의 경험에 대하여 아동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이야기 나누기는 아동들의 경험을 넓혀 주는 훌륭한 교수 방법 중 하나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아동들은 동화가 담고 있는 정보를 정교화 하고, 자신의 경험과 연합하여 아동의 사고의 폭을 넓혀 주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Ⅵ.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대효과
동화구연은 어린이들의 정서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된다. 동화를 많이 듣고 자란 어린이는 감성지수가 높아진다. 즉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기감정 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지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의 조화가 필요하지만 사려 깊고 이해심이 많으며 종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어린이로 자라나게 되고 장차 건전하고 이상적인 사회인으로서 인격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동화구연의 효과는 언어발달의 측면, 정서 발달 측면, 지적 측면으로 나눠 볼 수 있는데 우선 언어발달 면에서의 교육적 효과를 본다면 바른말, 고운말, 표준어를 쓰게 되며 발음이 정확해 지고 어휘, 어감을 풍부히 하여 언어의 힘을 기르며 발표력. 표현력을 키울 수 있다. 정서 발달의 측면에서 보면 우선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는 수용능력이 생기고 통합능력을 키워주며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하여 사회성을 키워주고 자신감을 갖게 하고 아름답고 순수한 마음을 소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수성을 발달 시켜 정서순화에 도움을 주고 바른 생활 습관을 가지고 옳고 그른 것을 분별하여 바른 가치관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적으로 상상력을 길러주고 사고력, 창조력을 기르며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줘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참고문헌
ⅰ. 김세희·현은자, 어린이의 세계와 그림이야기책, 서울 : 서원, 1995
ⅱ. 당진초등학교병설유치원, 동화자료를 활용을 통한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신장, 충청남도교육청지정 시범운영보고서, 1994
ⅲ. 박현숙, 동화구연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Ⅳ. 석용원,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
Ⅴ. 최운식, 옛이야기에 나타난 한국인의 삶과 죽음, 한울, 2001
Ⅵ. 최경희, 동화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다. 이야기를 들려준 후에는 동화의 주제나 아동들의 경험에 대하여 아동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이야기 나누기는 아동들의 경험을 넓혀 주는 훌륭한 교수 방법 중 하나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아동들은 동화가 담고 있는 정보를 정교화 하고, 자신의 경험과 연합하여 아동의 사고의 폭을 넓혀 주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Ⅵ. 이야기구연(동화구연, 스토리텔링)의 기대효과
동화구연은 어린이들의 정서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된다. 동화를 많이 듣고 자란 어린이는 감성지수가 높아진다. 즉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기감정 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지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의 조화가 필요하지만 사려 깊고 이해심이 많으며 종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어린이로 자라나게 되고 장차 건전하고 이상적인 사회인으로서 인격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동화구연의 효과는 언어발달의 측면, 정서 발달 측면, 지적 측면으로 나눠 볼 수 있는데 우선 언어발달 면에서의 교육적 효과를 본다면 바른말, 고운말, 표준어를 쓰게 되며 발음이 정확해 지고 어휘, 어감을 풍부히 하여 언어의 힘을 기르며 발표력. 표현력을 키울 수 있다. 정서 발달의 측면에서 보면 우선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는 수용능력이 생기고 통합능력을 키워주며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하여 사회성을 키워주고 자신감을 갖게 하고 아름답고 순수한 마음을 소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수성을 발달 시켜 정서순화에 도움을 주고 바른 생활 습관을 가지고 옳고 그른 것을 분별하여 바른 가치관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적으로 상상력을 길러주고 사고력, 창조력을 기르며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줘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참고문헌
ⅰ. 김세희·현은자, 어린이의 세계와 그림이야기책, 서울 : 서원, 1995
ⅱ. 당진초등학교병설유치원, 동화자료를 활용을 통한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신장, 충청남도교육청지정 시범운영보고서, 1994
ⅲ. 박현숙, 동화구연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Ⅳ. 석용원,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
Ⅴ. 최운식, 옛이야기에 나타난 한국인의 삶과 죽음, 한울, 2001
Ⅵ. 최경희, 동화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추천자료
과정신학에서 본 이야기 방법을 통한 가르침
전래동화 교훈(거위가 먹은 진주, 아들 산삼), 전래동화 교훈(두더지가 된 며느리, 혹부리 영...
영어동화지도(동화활용 영어교육) 필요성, 영어동화지도(동화활용 영어교육) 교재, 영어동화...
바리공주이야기를 중심으로
기본생활습관에 관련된 그림책 1권을 선정하여 그림책의 내용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그림책을...
[동화][글감][환상성][동화운동][아동문학][전래민담][헤르만 헤세]동화의 종류, 동화의 글감...
전래동화(전승동화) 의미, 전래동화(전승동화) 중요성, 전래동화(전승동화) 지도, 전래동화(...
전래동화(전승동화) 필요성, 전래동화(전승동화) 세계관, 전래동화(전승동화) 기능, 전래동화...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의미, 특성,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의의,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성경적...
이야기 그림책 ‘곰 사냥을 떠나자’(헬렌 옥스버리 그림, 마이클 로렌 글)를 읽고 만5세를 대...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성격, 기독교적 조망, 전래동화(전승동화)의 해석, 전래동화(전승동화)...
환상동화, 정보동화, 사실동화의 교육적 가치, 특징 등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환상동화, 정보...
아동문학교육-전래동화와 창작동화의 차이점을 제시하고, 전래동화와 창작동화 작품 중 하나...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2-2-둘째 마당(더 나아가기)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621) (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