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음화의 통시적 연구와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개음화의 통시적 연구와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치음의 구개음화
2) ㄷ 구개음화
3) ㄴ탈락 및 첨가
4) ㄱ, ㅎ 구개음화
4-1 ㅎ구개음화
4-2 ㄱ구개음화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으로 할 때 김주필은 ㄷ구개음화를 보여주는 자료는 『노걸대언해(1670)』이후의 문헌에서 취해야 한다고 하였다, 곧 『노걸대언해』이후의 17세기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으로 『박통사언해(1677)』와 『역어유해(1690)』가 있으며 18세기 초기의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으로는 『오륜전비언해(1721)』가 있다는 것이다.
이명규는 중앙방언자료에서의 ㄷ구개음화는 15세기 후반 『두시언해(1481)』의 ‘진짓(진딧)’을 필두로 하여 미미하게나마 17세기 전반기까지 지속해 왔으며, 17세기 후반에 들어 『신간구황촬요』에서는 상당한 확산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며, 그 후 『오륜전비언해(1721)』나 『여사서(1736)』등에서 ㄷ구개음화가 확산된 면을 보여준다고 한다.
16세기 중앙어가 반영된 문헌에는 ㄷ구개음화와 그 과도교정의 예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소학언해』(1587)에 다음의 예가 보인다.
(3) 지만(범례1b), 츄존(五,105b)
모두 한자어인 (3)의 예들은 ‘디만과 튜존’이 각각 ‘지만과 츄존’으로 되어 구개음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고유어 ㄷ구개음화의 예는 17세기 중기 또는 후기에 간행된 문헌에 보인다.
(4) 비브션졍(경민편언해, 13a), 골진 칼(Ц面刀, 역어유해, 17a), 아롱지다(경 민,34b)
(4`) 긋티다(오록해2a), 디달다(역어 하 34a)
이러한 예들은 18세기 초기의 자료에 해당하는 《오륜전비언해(1721)》에 이어진다.
(5) 혓긋치 무듸여(一25b), 허지디 아니야(四, 21b), 이즈러지디(四18b), 千金이라도 옴기 지 못다(七6b), 흔들과쟈 시니잇고(八13b)
(5`) 듕들의(-9b), 딤(-52a), 티니(五17b)
이 문헌에는 (5)처럼 ㄷ구개음화의 예가 비어두음절에서만 보이고 과도교정(5`)은 어두음절뿐만 아니라 비어두음절에도 보인다. 그리고 형태소 경계에서도 ㄷ구개음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ㄷ구개음화와 관련되는 표기는 18세기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에서 계속하여 나타나며 중. 후기에 이르면 대부분의 문헌에서 비어두음절뿐만 아니라 어두음절에서도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과도교정은 18세기 중후기로 접어들면서 줄어든다.
《동문유해(同文類解)》(上)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면,
(6) 1) 고지식(21b), 밀치다(29a), 무러 죽이다(47a), 믈 디지다(8a), ㅗ차 내치다(30a)
2) 져 편(42b), 지위(13b), 지나다(27a),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8.06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