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시스템은 자재들이 자동으로 운반되고 또한 기계에 자동으로 적재하여 가공하는 반독립의 컴퓨터제어 시스템이다.
- 이는 산업용 로보트와 같은 유연자동화의 한 형태이며 CIM(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의 구성 요소이다.
③ 다수기계보유 작업방식(one worker, multiple machine: OWMM)
- 다수기계보유작업방식은 여러 명의 작업자들이 계속적으로 한 라인에 종사해야 할 만큼 생산량이 많지 않을 경우 한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을 만큼 라인을 작게 만들어서 한 작업자가 여러 대의 기계를 동시에 운영하여 흐름생산을 달성하게 된다.
- 작업자는 원을 따라 이동하며 적하와 하적 등 자동화되지 않은 작업을 수행한다.
- 만약 한 부품 생산을 위해 한 기계의 품목 교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그 기계를 한 대 중복시켜 그 부품이 생산되는 동안 늘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다수기계보유 작업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노동력의 절감과 자재가 대기상태로 묶여 있지 않고 바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④ 그룹 테크놀로지(Group Technology: GT)
- 제품이나 부품의 크기, 모양, 필요 작업, 경로상의 유사점 등의 요인에 기초해서 가공요건이 비슷한 제품의 집합을 만들어 내 작업변경이나 가동준비를 최소로 하는 소량생산에서 제품별 배치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 유사한 특성을 지닌 제품이나 부품을 하나의 군으로 묶고, 이를 생산하는 기계의 군을 별도로 운영하게 된다.
- 부품을 군으로 분류한 다음에는 이들 부품의 기본적인 공정에 필요한 기계 장치들을 설치한 셀(cell)이라고 불리는 독립적인 공간을 설정해서 동일한 군에 속하는 부품 간의 작업을 교체할 때 최소한의 조정만을 필요로 하게 한다.
- 공정중심 위치전략을 선택한 기업에서 생산설비의 작업 반복성을 높이기 위해서 셀 방식의 그룹 테크놀로지를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흐름생산에서 생산설비에 부과되는 작업의 반복을 줄이고 다품종 생산을 이룩하기 위해서 다수기계 보유 작업과 함께 특정 제품의 전문 생산라인으로서의 GT 셀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 셀 방식의 등장 요인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동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 위치 고정형 배치
(1) 위치 고정형 배치에서는 제품은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작업자와 장비가 제품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2) 주로 조선, 열차의 생산, 대규모 압연관, 댐 건설, 집 건축 등 규모가 크거나 움직이기 어려운 제품의 경우에 적용된다.
(3) 위치 고정형 배치는 제품의 이동 회수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생산되는 제품은 이러한 위치 고정형 배치가 실행 가능한 유일한 방법인 경우가 많다.
6) 제품별 배치와 공정별 배치를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다.
7. 사무실 배치
1) 근로자들에게 사무실의 배치는 생산성 뿐 아니라 생활의 질 자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
2) 고려해야 할 요소들
(1) 근접성
① 사무실 배치는 작업흐름이나 의사소통 패턴에 따르도록 하기 위해서 주로 왕래가 많이 필요한 작업자들의 근접도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② 같은 일을 하는 작업자나 관리자들이 가까운 위치에서 근무한다면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해서 고통을 관심사를 개발하게 하는 경향을 가진다.
(2) 사생활
① 자신의 작업공간이 외부의 개입과 혼잡이나 혼란 때문에 방해 받을 때 작업자는 일의 능률을 올리기 힘들다.
② 최근의 몇몇 연구에서 사생활보호와 관리자 및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강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3) 사무실 배치의 대안들
(1) 개방을 통해서 얻어지는 근접성과 자유공간, 방음벽 등의 폐쇄적 수단을 통해서 얻어지는 사생활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은 경영자들에게 딜레마를 제공한다.
(2) 근접성과 사생활 보호 사이의 적절한 타협점을 제공하는 네 가지 접근법- 전통적 배치, 사무실 조경법, 활동설정, 원격근무
(3) 전통적 배치
① 어떤 작업자에게는 폐쇄형의 사무실을, 다른 작업자에게는 개방형 사무실을 제공한다.
② 폐쇄형 사무실은 경영자나 독립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게 주어진다.
③ 개방형 공간은 일렬로 배열된 책상으로 채워진다.
④ 전통적 배치에서는 각 작업자들은 정해진위치를 가지며 그 위치와 크기를 통해서 조직 내 위치를 알 수 있다.
(4) 사무실 조경법
① 작업자들간의 긴밀한 협조를 위한 완전 개방형 배치는 사생활 보호의 문제를 가진다.
②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화분이나 스크린 등을 이용해서 각 작업집단을 분리하는 방법이 사무실 조경법이다.
③ 하지만 여전히 사생활 보호의 문제는 가짐. 하지만 배치에 들어가는 비용이나 재배치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이점을 지닌다
(5) 환경 설정(activity settings)
개인은 아주 작은 개인 사무실만을 가지면서 특별 그래픽 작업공간, 공동 터미널실 등을 작업에 필요한 하루 활동 설정에 따라 이용하고 작업 내용의 변화에 따라서 다음 활동 설정으로 이동한다.
(6) 원격 근무(재택근무)
① 앞으로 작업자들의 근무 형태는 본사 사무실과 연결된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해서 집이나 인근 사무실에서 작업을 하는 형태로 변해갈 것이라 예상된다.
② 이 기법의 도입은 업무시간의 단축과 작업일정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③ 하지만 장비의 부족과 네트웍의 혼잡, 사회화와 상하유대의 기회 감소, 종업원관리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 출처 >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lggca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0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naramal817?Redirect=Log&logNo=100002300846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69kcy?Redirect=Log&logNo=130039400405
DOCUMENTS 파일 : http://masaroop.documents.co.kr/?p=84422
- 이는 산업용 로보트와 같은 유연자동화의 한 형태이며 CIM(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의 구성 요소이다.
③ 다수기계보유 작업방식(one worker, multiple machine: OWMM)
- 다수기계보유작업방식은 여러 명의 작업자들이 계속적으로 한 라인에 종사해야 할 만큼 생산량이 많지 않을 경우 한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을 만큼 라인을 작게 만들어서 한 작업자가 여러 대의 기계를 동시에 운영하여 흐름생산을 달성하게 된다.
- 작업자는 원을 따라 이동하며 적하와 하적 등 자동화되지 않은 작업을 수행한다.
- 만약 한 부품 생산을 위해 한 기계의 품목 교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그 기계를 한 대 중복시켜 그 부품이 생산되는 동안 늘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다수기계보유 작업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노동력의 절감과 자재가 대기상태로 묶여 있지 않고 바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④ 그룹 테크놀로지(Group Technology: GT)
- 제품이나 부품의 크기, 모양, 필요 작업, 경로상의 유사점 등의 요인에 기초해서 가공요건이 비슷한 제품의 집합을 만들어 내 작업변경이나 가동준비를 최소로 하는 소량생산에서 제품별 배치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 유사한 특성을 지닌 제품이나 부품을 하나의 군으로 묶고, 이를 생산하는 기계의 군을 별도로 운영하게 된다.
- 부품을 군으로 분류한 다음에는 이들 부품의 기본적인 공정에 필요한 기계 장치들을 설치한 셀(cell)이라고 불리는 독립적인 공간을 설정해서 동일한 군에 속하는 부품 간의 작업을 교체할 때 최소한의 조정만을 필요로 하게 한다.
- 공정중심 위치전략을 선택한 기업에서 생산설비의 작업 반복성을 높이기 위해서 셀 방식의 그룹 테크놀로지를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흐름생산에서 생산설비에 부과되는 작업의 반복을 줄이고 다품종 생산을 이룩하기 위해서 다수기계 보유 작업과 함께 특정 제품의 전문 생산라인으로서의 GT 셀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 셀 방식의 등장 요인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동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 위치 고정형 배치
(1) 위치 고정형 배치에서는 제품은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작업자와 장비가 제품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2) 주로 조선, 열차의 생산, 대규모 압연관, 댐 건설, 집 건축 등 규모가 크거나 움직이기 어려운 제품의 경우에 적용된다.
(3) 위치 고정형 배치는 제품의 이동 회수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생산되는 제품은 이러한 위치 고정형 배치가 실행 가능한 유일한 방법인 경우가 많다.
6) 제품별 배치와 공정별 배치를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다.
7. 사무실 배치
1) 근로자들에게 사무실의 배치는 생산성 뿐 아니라 생활의 질 자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
2) 고려해야 할 요소들
(1) 근접성
① 사무실 배치는 작업흐름이나 의사소통 패턴에 따르도록 하기 위해서 주로 왕래가 많이 필요한 작업자들의 근접도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② 같은 일을 하는 작업자나 관리자들이 가까운 위치에서 근무한다면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해서 고통을 관심사를 개발하게 하는 경향을 가진다.
(2) 사생활
① 자신의 작업공간이 외부의 개입과 혼잡이나 혼란 때문에 방해 받을 때 작업자는 일의 능률을 올리기 힘들다.
② 최근의 몇몇 연구에서 사생활보호와 관리자 및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강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3) 사무실 배치의 대안들
(1) 개방을 통해서 얻어지는 근접성과 자유공간, 방음벽 등의 폐쇄적 수단을 통해서 얻어지는 사생활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은 경영자들에게 딜레마를 제공한다.
(2) 근접성과 사생활 보호 사이의 적절한 타협점을 제공하는 네 가지 접근법- 전통적 배치, 사무실 조경법, 활동설정, 원격근무
(3) 전통적 배치
① 어떤 작업자에게는 폐쇄형의 사무실을, 다른 작업자에게는 개방형 사무실을 제공한다.
② 폐쇄형 사무실은 경영자나 독립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게 주어진다.
③ 개방형 공간은 일렬로 배열된 책상으로 채워진다.
④ 전통적 배치에서는 각 작업자들은 정해진위치를 가지며 그 위치와 크기를 통해서 조직 내 위치를 알 수 있다.
(4) 사무실 조경법
① 작업자들간의 긴밀한 협조를 위한 완전 개방형 배치는 사생활 보호의 문제를 가진다.
②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화분이나 스크린 등을 이용해서 각 작업집단을 분리하는 방법이 사무실 조경법이다.
③ 하지만 여전히 사생활 보호의 문제는 가짐. 하지만 배치에 들어가는 비용이나 재배치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이점을 지닌다
(5) 환경 설정(activity settings)
개인은 아주 작은 개인 사무실만을 가지면서 특별 그래픽 작업공간, 공동 터미널실 등을 작업에 필요한 하루 활동 설정에 따라 이용하고 작업 내용의 변화에 따라서 다음 활동 설정으로 이동한다.
(6) 원격 근무(재택근무)
① 앞으로 작업자들의 근무 형태는 본사 사무실과 연결된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해서 집이나 인근 사무실에서 작업을 하는 형태로 변해갈 것이라 예상된다.
② 이 기법의 도입은 업무시간의 단축과 작업일정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③ 하지만 장비의 부족과 네트웍의 혼잡, 사회화와 상하유대의 기회 감소, 종업원관리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 출처 >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lggca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0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naramal817?Redirect=Log&logNo=100002300846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69kcy?Redirect=Log&logNo=130039400405
DOCUMENTS 파일 : http://masaroop.documents.co.kr/?p=84422
추천자료
명장정밀회사의 생산운영관리
생산관리
생산관리 전략
생산운영관리
생산관리 우산꽂이 제작 팀프로젝트
[생산관리]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생산관리의 변화
[생산][생산관리][생산성공][생산계획][생산능력][생산변동][관리][성공][계획][능력][변동]...
[생산성][생산][생산성비교][생산성관리][생산성향상][생산성효과][제품][물류][경영][경제]...
[중소기업 생산][중소기업 생산유연성][중소기업 생산구조][중소기업 생산관리][중소기업 생...
생산관리 과제
[생산관리]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1)개념 및 적용가능 분야, 그리고 (2)이를 이용한 시설...
[생산관리 공통] 공통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의 MRP 작성방식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수치적 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