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신생아의 활력증후 측정
주제: 목욕시키기
주제: 미숙아의 특징
주제: 출생직후 간호
주제: 투약
주제: 눈간호 “eye care"
주제: G-tube 영양
주제: 모유와 우유 비교
주제: 신체계측 및 Apgar 점수 측정
주제: Gastric Aspiration
주제: 산소요법(Oxygen Therapy)
주제: Urine colletor 붙이는 방법과 Urine collection
주제: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주제: 신생아 패혈증
주제: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주제: 황달치료 “Phototheraphy”
주제: ICS- Infant Intensive Case System
주제: Incubator Care
참고문헌
주제: 목욕시키기
주제: 미숙아의 특징
주제: 출생직후 간호
주제: 투약
주제: 눈간호 “eye care"
주제: G-tube 영양
주제: 모유와 우유 비교
주제: 신체계측 및 Apgar 점수 측정
주제: Gastric Aspiration
주제: 산소요법(Oxygen Therapy)
주제: Urine colletor 붙이는 방법과 Urine collection
주제: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주제: 신생아 패혈증
주제: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주제: 황달치료 “Phototheraphy”
주제: ICS- Infant Intensive Case System
주제: Incubator Care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만삭아 에서 20mg/㎗ 이상인 경우 핵황달의 위험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모유 황달(Breast milk jaundice)
모유 수유아 200명당 1명에서 생후 4~7일 사이부터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느 sghkdekf이 나타나, 생후 3주 정도에 혈청 빌리루빈치가 최고 10~27mg/㎗까지 증가하는 모유 황달이 나타난다.
이 때, 모유 수유를 2~4일간 중단하면 급격하게 황달이 없어지고, 다시 모유 수유를 시작하여도 황달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원인은 모유 내의 5-β-pregnane-3α, 20β-dilo이나 불포화 지방산이 간에서 glucuronyl transferase의 포합 능력을 경쟁적으로 방해해서 발생한다고도 하고, 또 모유 내에 존재하는 glucuronidase에 의해 장간 순환이 증가해 발생한다고도 한다.
주제: 황달치료 “Phototheraphy”
관찰내용
신생아들의 피부색을 관찰하여 iitaric color를 보이는 아기에게 TB(Total Bilirubin을 측정하여 수치가 높게 나오면 인큐베이터 안에서 불빛을 쐬는 치료를 받고 있었다. 선생님께서는 병동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이곳에서는 만삭아일 경우 TB가 12~13mg/dl이상일 경우,미숙아일 경우 10mg/dl이상일 경우 Phototheraphy를 받는다고 하셨다.
문헌고찰
1)신생아 황달이란?
생후 일주일 전후로 아기의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황갈색으로 변하며 이를 신생아 황달이라고 한다. 피부와 눈이 빌리루빈이라는 색소에 의해서 노랗게 변하는 상태로 가볍게 지나가는 것에서부터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달까지 다양하다.
2)병적 황달
신생아에게 황달이 있는 것이 다 저절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거나 10일 이후에도 지속되며 황달의 수치가 14mg/dl 이상인 겨우 병적인 황달로 생각할 수 있다. 병적인 황달의 원인으로는 용혈성 질환(엄마와 아기의 혈액형이 맞지 않는 경우), 감염, 신천성 대사질환 등이 있다. 아기의 손바닥이나 발바닥까지 노래지면 황달수치 15mg/dl 이상으로 생각되며 병적인 황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아과 지료를 받고 원이과 정도를 확인하고 조치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황달이 심하면 황달 색소가 신생아의 뇌로 들어가 핵황달을 일으켜 청각장애, 지능장애 및 뇌성마비 등을 일으키거나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광선요법기>
빌리루빈의 반감기와 총량을 감소시킨다.
장치와 아기와의 거리는 45~60cm 가 적당하다.
불빛의 강도가 치료 범위인지 매일 점검한다.
이 요법의 효과는 광선의 강도, 노출된 피부의 범위, 피부빌리루빈에 대한 요법
의 초기효과에 달려있다.
flat 광선요법기 - 길다란 형광등형 전구를 여러개 장치한 것으로 보육기나 아기
침대위에 설치하여 적용
◎ 열째 날 (2006년 9월 21일 목요일)
주제: ICS- Infant Intensive Case System
관찰내용
수술실에서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나 혹은 아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맨 처음 ICS에서 처치를 하였다. 선생님께서는 이런 아이들에게 O2 를 공급하고 석션을 해주며 Wammer기능을 해준다고 말씀해주셨다.그리고 모니터를 통하여 신생아의 맥박, 산소포화도도 관찰할 수 있다고 하셨다.
문헌고찰
ICS는 신생아가 태어났을 때 간호가 이뤄지는 곳이다. 태아가 만출되면 먼저 따뜻
하게 데워진 이곳에 옮겨져 기도관리 및 건강사정 등을 받게 된다. ICS에는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는 O2와 suction이 준비되어 있으며, 위에는 카메라가 달려있어 신생아 간호의 전과정을 비디오에 담아 가족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주제: Incubator Care
관찰내용
정상신생아를 제외하고 대부분 중환아는 Incubator와 ICS에 있는 것을 보았다. Incubator에 있는 아기들을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닦고, 손소독제로 다시 닦은 후 만지며, 체온유지나 감염 예방을 위해 될 수 있는 한 만지지 않았다. 물탱크의 물을 하루에 한번 갈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문헌고찰
1) Incubator(보육기) 란?
아기에게 가장 좋은 환경은 엄마의 자궁이다. 엄마의 자궁과 가장 비슷한 환경, 온도, 습도 등을 만들어 주기 위해 보육기를 사용한다. 보육기는 분만 예정일 전에 태어난 아기(미숙아), 임신 주수는 정상이지만 체중이 적은 아기, 기타 다른 이유로 치료를 받으면서 집중적인 monitoring이 필요한 아기들이 들어가 있는 곳으로 외부환경으로부터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체온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아기의 치료와 안정을 위한 최상의 환경을 만들어 준다.
2) Incubator Care 기간
미숙아나 체중이 적게 태어난 아기는 아기의 상태에 따라 몸무게가 약1800g정도, 35주정도 될 때까지 보육기 안에 있게 되고 그 외 치료받는 아기들은 건강 상태가 양호해질 때까지 이 안에서 생활한다. 그러다가 아기가 우유를 잘 먹고 체온유지도 잘하며 전반적인 상태가 좋아지면 일반 침대로 나온다.
3) Incubator Care
①체온유지
-Isolette 보육기를 사용하면 보육기 온도를 직접 조정
-온도 조정 장치: 아기 자신이 보육기 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숙아 복부표면에 온도조절 장치를 부착시키면 체온의 변동에 따라 보육기 내의 열
조정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적당한 체온을 유지케 한다.
②습도유지
-적합한 습도(50~65%)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육기에 있는 물통에 소독된 물을 넣어야 하고 재점검하도록 해야 한다.
-습도의 공급은 가열된 공기가 신생아가 누운 판 아래의 물 저장소를 통과함으로써 유지 되는 것이다.
③산소공급
-산소투여시 산소농도가 처방대로 잘 들어가는지 확인한다.
4) Incubator 사용시 주의점
습도 조절을 위한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은 pseudomonas aeruginosa의 성장 매체가 되 므로 매 8시간마다 소독된 물로 갈아준다.
보육기는 냉방장치의 찬 공기 직접 닿지 않도록 가까이 두지 않는다.
☞많은 방사열 손실로 인한 cold stress를 피할 수 있다.
복부에 열탐지를 부착할 때는 엎드려
모유 황달(Breast milk jaundice)
모유 수유아 200명당 1명에서 생후 4~7일 사이부터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느 sghkdekf이 나타나, 생후 3주 정도에 혈청 빌리루빈치가 최고 10~27mg/㎗까지 증가하는 모유 황달이 나타난다.
이 때, 모유 수유를 2~4일간 중단하면 급격하게 황달이 없어지고, 다시 모유 수유를 시작하여도 황달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원인은 모유 내의 5-β-pregnane-3α, 20β-dilo이나 불포화 지방산이 간에서 glucuronyl transferase의 포합 능력을 경쟁적으로 방해해서 발생한다고도 하고, 또 모유 내에 존재하는 glucuronidase에 의해 장간 순환이 증가해 발생한다고도 한다.
주제: 황달치료 “Phototheraphy”
관찰내용
신생아들의 피부색을 관찰하여 iitaric color를 보이는 아기에게 TB(Total Bilirubin을 측정하여 수치가 높게 나오면 인큐베이터 안에서 불빛을 쐬는 치료를 받고 있었다. 선생님께서는 병동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이곳에서는 만삭아일 경우 TB가 12~13mg/dl이상일 경우,미숙아일 경우 10mg/dl이상일 경우 Phototheraphy를 받는다고 하셨다.
문헌고찰
1)신생아 황달이란?
생후 일주일 전후로 아기의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황갈색으로 변하며 이를 신생아 황달이라고 한다. 피부와 눈이 빌리루빈이라는 색소에 의해서 노랗게 변하는 상태로 가볍게 지나가는 것에서부터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달까지 다양하다.
2)병적 황달
신생아에게 황달이 있는 것이 다 저절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거나 10일 이후에도 지속되며 황달의 수치가 14mg/dl 이상인 겨우 병적인 황달로 생각할 수 있다. 병적인 황달의 원인으로는 용혈성 질환(엄마와 아기의 혈액형이 맞지 않는 경우), 감염, 신천성 대사질환 등이 있다. 아기의 손바닥이나 발바닥까지 노래지면 황달수치 15mg/dl 이상으로 생각되며 병적인 황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아과 지료를 받고 원이과 정도를 확인하고 조치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황달이 심하면 황달 색소가 신생아의 뇌로 들어가 핵황달을 일으켜 청각장애, 지능장애 및 뇌성마비 등을 일으키거나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광선요법기>
빌리루빈의 반감기와 총량을 감소시킨다.
장치와 아기와의 거리는 45~60cm 가 적당하다.
불빛의 강도가 치료 범위인지 매일 점검한다.
이 요법의 효과는 광선의 강도, 노출된 피부의 범위, 피부빌리루빈에 대한 요법
의 초기효과에 달려있다.
flat 광선요법기 - 길다란 형광등형 전구를 여러개 장치한 것으로 보육기나 아기
침대위에 설치하여 적용
◎ 열째 날 (2006년 9월 21일 목요일)
주제: ICS- Infant Intensive Case System
관찰내용
수술실에서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나 혹은 아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맨 처음 ICS에서 처치를 하였다. 선생님께서는 이런 아이들에게 O2 를 공급하고 석션을 해주며 Wammer기능을 해준다고 말씀해주셨다.그리고 모니터를 통하여 신생아의 맥박, 산소포화도도 관찰할 수 있다고 하셨다.
문헌고찰
ICS는 신생아가 태어났을 때 간호가 이뤄지는 곳이다. 태아가 만출되면 먼저 따뜻
하게 데워진 이곳에 옮겨져 기도관리 및 건강사정 등을 받게 된다. ICS에는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는 O2와 suction이 준비되어 있으며, 위에는 카메라가 달려있어 신생아 간호의 전과정을 비디오에 담아 가족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주제: Incubator Care
관찰내용
정상신생아를 제외하고 대부분 중환아는 Incubator와 ICS에 있는 것을 보았다. Incubator에 있는 아기들을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닦고, 손소독제로 다시 닦은 후 만지며, 체온유지나 감염 예방을 위해 될 수 있는 한 만지지 않았다. 물탱크의 물을 하루에 한번 갈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문헌고찰
1) Incubator(보육기) 란?
아기에게 가장 좋은 환경은 엄마의 자궁이다. 엄마의 자궁과 가장 비슷한 환경, 온도, 습도 등을 만들어 주기 위해 보육기를 사용한다. 보육기는 분만 예정일 전에 태어난 아기(미숙아), 임신 주수는 정상이지만 체중이 적은 아기, 기타 다른 이유로 치료를 받으면서 집중적인 monitoring이 필요한 아기들이 들어가 있는 곳으로 외부환경으로부터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체온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아기의 치료와 안정을 위한 최상의 환경을 만들어 준다.
2) Incubator Care 기간
미숙아나 체중이 적게 태어난 아기는 아기의 상태에 따라 몸무게가 약1800g정도, 35주정도 될 때까지 보육기 안에 있게 되고 그 외 치료받는 아기들은 건강 상태가 양호해질 때까지 이 안에서 생활한다. 그러다가 아기가 우유를 잘 먹고 체온유지도 잘하며 전반적인 상태가 좋아지면 일반 침대로 나온다.
3) Incubator Care
①체온유지
-Isolette 보육기를 사용하면 보육기 온도를 직접 조정
-온도 조정 장치: 아기 자신이 보육기 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숙아 복부표면에 온도조절 장치를 부착시키면 체온의 변동에 따라 보육기 내의 열
조정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적당한 체온을 유지케 한다.
②습도유지
-적합한 습도(50~65%)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육기에 있는 물통에 소독된 물을 넣어야 하고 재점검하도록 해야 한다.
-습도의 공급은 가열된 공기가 신생아가 누운 판 아래의 물 저장소를 통과함으로써 유지 되는 것이다.
③산소공급
-산소투여시 산소농도가 처방대로 잘 들어가는지 확인한다.
4) Incubator 사용시 주의점
습도 조절을 위한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은 pseudomonas aeruginosa의 성장 매체가 되 므로 매 8시간마다 소독된 물로 갈아준다.
보육기는 냉방장치의 찬 공기 직접 닿지 않도록 가까이 두지 않는다.
☞많은 방사열 손실로 인한 cold stress를 피할 수 있다.
복부에 열탐지를 부착할 때는 엎드려
추천자료
유동층 시스템내 차압센서를 이용한 분철광석의 유동특성
자동차 광택 코팅제
폐렴 케이스-아동간호학
열성경련 간호과정,문헌고찰
융점측정 및 재결정결과레포트
신생아 패혈증 case study
NR_케이스
급성위염 케이스 CASE STUDY -AGE- (Acute gastroenteritis)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폐렴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케이스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녹내장, 자연분만]녹내장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C...
자궁근종, 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동맥경화, 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check lis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