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의 구조와 심장의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의 구조와 심장의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장의구조

2. 심장의기능

3. 순환

4. 심장주기

5. 심음청진

6. 혈압과맥박

7. 경정맥

느낀점

본문내용

에 놓고, 팔은 심장의 위치와 같은 높이에서 측정한다.
팔이 심장의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혈압이 높게 나타나고, 위에 위치하면 낮아진다.
다리에서 측정한 혈압은 팔에서 측정한 혈압 보다 높다.
* 최고 혈압 : 심실이 (수축)할 때 (120mmHg) 최저 혈압 : 심실이 (이완)할 때 (80mmHg)
(2) 체위성저혈압
- 일어선 자세를 취할 때 혈압이 저하되는 것을 뜻함.
(갑자기 혈액이 하지로 몰리면서 볼륨부족)
심박동수가 10~20% 증가하면서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수축기 혈압이 20mmHg이상 감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 자율신경의 장애로 혈량 유지가 안되면서 나타남.
(3) 맥압 = 최고 열압 - 최저혈압
정상맥압은 35~45mmHg
정상적으로 수축기압은 흡기시 약 10mmHg이하로 감소한다.
▶ 심실이완 → (최저)혈압 ▶ 심실수축 → (최고)혈압
2) 맥박
- 맥박은 심박출량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대칭성을 확인하기 위해 양측에서 동시에 측정.
맥박의 횟수,리듬,강도등을 사정한다.
- 경동맥에서 잡음은 혈류의 폐색 때문일수 있고,
대동맥판막질환으로 인한 수축기 잡음일수도 있다.
정상 : 분당 60~100회다.
빈맥 : 100회/분 이상의 빠른 맥박
서맥 : 60회/분 이하의 느린 맥박
- 맥박결손: 심첨맥박수와 요골맥박수가 차이나는것
(심장 수축력이 좋지 않아 말초동맥까지 맥박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함을 의미)
- 맥박 촉진 부위는 경동맥, 상완, 요골, 척골, 대퇴, 슬와, 족배, 후경골 동맥등.
(1) 교대맥
- 정상 리듬이면서 진폭이 크고 작은 두 종류의 맥이 같은 주기로 교대되어 나타나며,
심한 동맥성 고혈압과 좌심실 부전 대상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2) 이중맥
- 수축기동안 맥압이 두 번의 peak를 보임
리듬의 장애 때문에 강하고 약한 맥박이 교대로 나타나는 형태로 주기가 불규칙하다.
대동맥판 폐쇄부전증,역류, 대동맥 협착증 대상자에게서 볼 수 있다.
(3) 맥박측정부위
부위
내용
측두맥박
어린이 맥박 측정 시 용이
총경맥박
shock에 빠질 때 쉽게 측정가능
심첨맥박
심음을 청진, 영아나 유아의 맥박을 측정하는 부위, digitalis 투여시
상완맥박
아래쪽 팔의 순환상태 확인가능, 상지 혈압 측정 시 사용
요골맥박
말초 맥박의 특성을 사정하기 위해 흔히 사용됨
척골맥박
손의 순환상태 사정 시 이용(Allen test)
대퇴맥박
shock에 빠질 때 쉽게 측정가능, 다리의 순환상태를 확인
슬와맥박
다리 아래쪽 순환 상태 확인, 하지에서 혈압기 사용 시 이용함
후경골맥박
발의 순환 상태를 사정하기위해
족배맥박
발의 순환 상태를 사정하기위해
(4) 연령에 따른 정상 맥박수
- 맥박수는 영아기에서 성인기까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3세 이하
90 - 120회/분
3 - 7세
80 - 100회/분
7세 - 성인
65 - 85회/분
고령자
55 - 85회/분
- 노인은 심근이 약해짐으로 인해 1분당 80회 이상이 될수 있음
7. 경정맥압
- 경정맥의 혈액은 상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흘러 들어가므로,
내.외경정맥의 박동을 검사함으로써 순환 혈액량의 적합성, 우심 기능과 정맥압을 사정할 수 있다.
외경정맥은 쇄골 위에서 볼수 있으며,
내경정맥은 외경정맥보다 크고 경동맥 근처의 흉쇄 유돌근 심부에 있다.
경정맥 팽만은 우심의 혈액 정체와 압력의 증가로 초래된다.
경정맥은 우심방이나 우심실의 이완기압을 반영하므로 중심정맥압의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 경정맥압 측정법
- 앙와위에서 상체를 30~45도 상승시킨다.
- 목과 흉곽 주위의 옷을 느슨히 하여
압박을 방지한다.
- 내경정맥의 박동을 확인한다
(내.외정맥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내경정맥이 더 우위에 있다)
- 내경정맥 박동의 최고 수준점을 확인한다.
- cm자를 이용해 이 지점과 흉골각 사이의
수직 거리를 측정한다.
- 누워 있는 각도와 cm를 기록한다.
느낀점 - 어려운 심장을 공부할 엄두조차 나질 않아서 하루이틀 미루고 있었는데
숙제를 하면서 심장이 내가 생각하고 있었던것보단 재밌단생각이 들었다.
숙제한거보다 깊히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마구마구 들었던
깨달음을 주는 숙제였던것같다.
출처
사진 - 구글검색,
책 - 성인간호학, 건강사정, 퍼시픽요약집,
심장의구조와기능
과 목:
담당교수:
학 번:
이 름:
- 목 차 -
1. 심장의구조
2. 심장의기능
3. 순환
4. 심장주기
5. 심음청진
6. 혈압과맥박
7. 경정맥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11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