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약물관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위험약물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제환자안전목표 : 6개의 목표 &21개의 세부 측정항목
< 고위험 약물 관리 >

1. 목적
2. 고위험군 약물의 정의
3. 직원교육
4. 고농축 전해질 안전사용 지침
5. 헤파린 안전사용 지침
6.인슐린 안전사용 지침
7. 항암화학요법 안전사용 지침

본문내용

을 방지)
이를 제외한 모든 약물에는 냉찜질 적용 (혈류감소로 노출부위를 최소화시킴)
8. 해당 부위 상승
9. 처방에 따른 스테로이드 연고를 1일 2회씩 발적이 없어질 때까지 바름
10. 매 근무마다 정기적으로 pain, erythema, induration, necrosis 관찰
11. 수포형성, 조직파괴 발생 시, 가벼운 멸균 드레싱
12. 간호기록지 기록: 일혈발생 날짜&시간, 카테터 크기, 일혈부위, 약물명, 약물 주입형태, 상되는 일혈량, 환자 불편감, 해당부위 증상
4) 폐기
①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사용하여 폐기(폐합성수지류 박스, needle전용용기)
5) 파손 및 오염 시 대책
① Spill kit(파손처리키트)를 이용(액체 → 마른 천, 분말이나 고체 → 젖은 천)
② 오염된 것을 처리한 후, 즉시 오염된 장갑 및 가운을 제고하고 비누와 물로 세척
③ 눈이 오염된 경우 즉시 eye wash station에서 흐르는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눈 세척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응급조치시행
6) 직원교육
- 항암화학양물의 투여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년1회 이상 항암화학약물의 투여와 안전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음
참조: 종양간호 실무지침(항암화학요법 편)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4.0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7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