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점과 1인칭시점의 분화
:서술시점 인식-3인칭 소설 : 대상의 객관적 서술 위주
-1인칭 소설 : 주체의 내면 분석
-이광수
초기 : 개인적 정서 문제 중시→주체로서의 개인의 존재 문제와 그 개인이 근거하는 현실사회 제대로 인식X
31운동이후 : ‘생을 위한 예술’→신문화의 선구가 되는 문학은 마땅히 민족을 위한 문학이어야 함
→새로운 민족정신의 개발 필요 ; 인생의 예술화도덕화
→그 뒤에 한국인의 민족성 자체에 대한 개조를 요구하는 것으로 구 체화 =민족개조론 ;한국민족의 비극적 현실, 식민지상황은 모두 민 족성의 쇠퇴에서 온 것
(2) 소설 <무정>의 위치(1917)
-근대적인 장편소설 : 식민지 시대에 접어들면서 신소설이 빠져들었던 통속화의 과정 을 벗어나고 있으며, 계몽적 담론의 서사적 구현 성공
-but, 개인을 사회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데 실패하고 있으며, 개인적 자아가 근거하는 현실적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인실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함. 다만 새로이 도래할 문 명개화의 시대로서 근대 사회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있음(실천적X)
-자아의 각성과 사랑의 문제를 중요시. but, 반성적인 자기 각성 단계 도달X(자신의 힘에 의한 각성이 아닌 타인에 의함)
※근대소설의 요건
개인의 행동+사회⇒삶의 전체적인 모습 파악
(3) <개척사>이후의 변모(1918)
-<무정>이후 발표한 첫 작품.
-<개척자>이후 애정갈등을 중심으로 하는 통속적인 사랑 이야기로 이어짐;
<재생>(1925) <유정>(1933) <사랑>(1938)
-(예외) <흙> : 농촌과 도시라는 두 개의 공간을 배경으로 두 사람의 여성을 대비시켜 계몽적 의도 강조. but, 관념적 비현실적
-<개척자>
:한 가족의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과학입증이라는 계몽적인 요소와 애정 갈등이라는 통속적인 요소 결합시켜 이야기 전개
:이야기 완결성 떨어짐
2) 단편소설 양식의 정립
(1)김동인의 단편소설과 시점의 발견
-《창조》출간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 창간호 <약한 자의 슬픔>
-작품
단편소설 : <약한 자의 슬픔>(1919) <배따라기>(1921) <감자>(1925) <명문>
<광염소나타>(1929) <붉은 산>(1932) <발가락이 닮았다>(1932)
<광화사>(1935)
장편소설 : <젊은 그들>(1931) <운형궁의 봄>(1934) <대수양>(1941)
-문학의 예술적 독자성 주장; 문학은 현실적 상황과 관계없이 독자적 의미 지님
-소설의 근본과제는 참다운 인생의 창조
: 인생 문제를 삶의 현실에서 찾지 않고 역사적 현실이나 사회적 상황에 크게 좌우 되지 않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찾고자 함
-스토리와 인물이 당대적 삶의 현실과는 단절된 허구의 공간 위에 그려짐
고립과 단절의 공간
<배따라기>
인간의 운명은 자기 내면적인 요건에 의해 규정(열등감)
한 인간의 삶의 비극성을 말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비극적인 운명을 통해 인생의 문제를 다시 생각해도록 유도
<감자>
‘가난’이라는 외부적인 삶의 조건이 어떻게 한 인간을 타락시키는지 객관적 태도로 서술; 간결한 문체
-김동인의 초기 소설 중 그의 소설적 관심과 기법적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 : <배따라기> <감자>
-김동인 소설의 특징
①단편소설이라는 근대적인 소설 양식 확립에 주력
:한국의 소설문학은 이인직에서부터 이광수에 이르기까지 그 전통이 장편소설의 양 식에 근거. 이들의 작품은 모두 삶의 전체적인 양상과 인생의 의미를 폭넓게 추구
:but, 김동인은 인생의 한 단면을 제시함으로써 이야기의 극적인 완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편소설에 관심
:하나의 사건을 바탕으로 이야기 이끌어나감
②소설적 기법으로서의 다양한 시점 확립 기함
:‘-았(었)다’ 과거 종결형의 도입/ ‘그’라는 3인칭 대명사의 소설적 활용
→자신의 관점에 따라 인식됨: 서술의 초점 명확, 서술상의 거리 확보
⇒개별적인 인간이 주체의 정체성 확보
:서사내적 화자 설정 : <배따라기> <붉은 산> <광화사>
서사외적 화자 설정 : <약한 자의 슬픔> <감자>
→소설에서 1인칭화자가 일반화되기 시작한 것은 김동인이 시도했던 서사내적화자 설정에서부터
-소설 <무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더라’, ‘-ㄴ다’와 같은 종결어미가 환용됨으로 서 나타나는 시제의 불일치는 서술적인 거리가 여전히 불완전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말해 준다. 김동인은 소설의 지문에서 ‘-았(었)다’체의 과거시제 종결어미를 활용하여 서술적 거리를 완벽하게 확보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묘사와 서술의 가능성을 문체를 통해 확인해 보여줌
(2)현진건과 소설적 기법의 추구
-《백조》
-김동인 이후 주도적인 양식으로 등장한 단편소설의 기법적인 완결을 추구하여 소설 적 미학의 확립에 기여
-초기소설 : ‘나’라는 1인칭 화자를 등장시켜 소설 속에서 성격의 초점과 서술의 초점 을 일치시키면서 인물의 내면 분석의 가능성 제시
1920년대 중반 이후 : 3인칭 시점의 서술 방법 활용하여 작중인물의 삶을 치열하게 묘사
-작품
31운동 직후 : <빈처>(1921) <술 권하는 사회>(1921) <타락자>(1922)
→지식인의 좌절과 경제적인 빈곤
1920년대 중반 : <운수 좋은 날>(1924) <불>(1925) (1925)
1930년대 장편소설 : <적도>(1934) <무영탑>(1939)
-즐겨 다루는 소재 : 생활의 궁핍함-지식인 : <빈처> <술 권하는 사회>
-도시하층민 : <운수 좋은 날>
-농민 : <불> <고향> <정조와 약가>
-<고향> : 이 시기의 경제적 궁핍이 식민지 지배에서 비롯된 것임을 직접적으로 제시
<빈처>
<운수 좋은 날>
주관적 내면성 추구(1인칭)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고뇌
객관적 외부 현실의 실재성(3인칭)
노동자의 고통
반어적 구성
-소설적 관심과 기법의 특성 잘 보여주는 작품 : <빈처> <운수 좋은 날>
-현진건의 작품들은 소설의 기법이라는 것이 그 주제의 해석 방법과 직결된다는 사실 을 확인하게 함 : 상황적 아이러니, 내면 심리의 변화와 외부적인 행동방식 대조, 서 술적 거리 확보 등
(3) 나도향, 물질적인 욕망과 인간적 본능
-《백조》
-초기는 낭만적인 경향 : <
:서술시점 인식-3인칭 소설 : 대상의 객관적 서술 위주
-1인칭 소설 : 주체의 내면 분석
-이광수
초기 : 개인적 정서 문제 중시→주체로서의 개인의 존재 문제와 그 개인이 근거하는 현실사회 제대로 인식X
31운동이후 : ‘생을 위한 예술’→신문화의 선구가 되는 문학은 마땅히 민족을 위한 문학이어야 함
→새로운 민족정신의 개발 필요 ; 인생의 예술화도덕화
→그 뒤에 한국인의 민족성 자체에 대한 개조를 요구하는 것으로 구 체화 =민족개조론 ;한국민족의 비극적 현실, 식민지상황은 모두 민 족성의 쇠퇴에서 온 것
(2) 소설 <무정>의 위치(1917)
-근대적인 장편소설 : 식민지 시대에 접어들면서 신소설이 빠져들었던 통속화의 과정 을 벗어나고 있으며, 계몽적 담론의 서사적 구현 성공
-but, 개인을 사회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데 실패하고 있으며, 개인적 자아가 근거하는 현실적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인실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함. 다만 새로이 도래할 문 명개화의 시대로서 근대 사회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있음(실천적X)
-자아의 각성과 사랑의 문제를 중요시. but, 반성적인 자기 각성 단계 도달X(자신의 힘에 의한 각성이 아닌 타인에 의함)
※근대소설의 요건
개인의 행동+사회⇒삶의 전체적인 모습 파악
(3) <개척사>이후의 변모(1918)
-<무정>이후 발표한 첫 작품.
-<개척자>이후 애정갈등을 중심으로 하는 통속적인 사랑 이야기로 이어짐;
<재생>(1925) <유정>(1933) <사랑>(1938)
-(예외) <흙> : 농촌과 도시라는 두 개의 공간을 배경으로 두 사람의 여성을 대비시켜 계몽적 의도 강조. but, 관념적 비현실적
-<개척자>
:한 가족의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과학입증이라는 계몽적인 요소와 애정 갈등이라는 통속적인 요소 결합시켜 이야기 전개
:이야기 완결성 떨어짐
2) 단편소설 양식의 정립
(1)김동인의 단편소설과 시점의 발견
-《창조》출간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 창간호 <약한 자의 슬픔>
-작품
단편소설 : <약한 자의 슬픔>(1919) <배따라기>(1921) <감자>(1925) <명문>
<광염소나타>(1929) <붉은 산>(1932) <발가락이 닮았다>(1932)
<광화사>(1935)
장편소설 : <젊은 그들>(1931) <운형궁의 봄>(1934) <대수양>(1941)
-문학의 예술적 독자성 주장; 문학은 현실적 상황과 관계없이 독자적 의미 지님
-소설의 근본과제는 참다운 인생의 창조
: 인생 문제를 삶의 현실에서 찾지 않고 역사적 현실이나 사회적 상황에 크게 좌우 되지 않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찾고자 함
-스토리와 인물이 당대적 삶의 현실과는 단절된 허구의 공간 위에 그려짐
고립과 단절의 공간
<배따라기>
인간의 운명은 자기 내면적인 요건에 의해 규정(열등감)
한 인간의 삶의 비극성을 말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비극적인 운명을 통해 인생의 문제를 다시 생각해도록 유도
<감자>
‘가난’이라는 외부적인 삶의 조건이 어떻게 한 인간을 타락시키는지 객관적 태도로 서술; 간결한 문체
-김동인의 초기 소설 중 그의 소설적 관심과 기법적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 : <배따라기> <감자>
-김동인 소설의 특징
①단편소설이라는 근대적인 소설 양식 확립에 주력
:한국의 소설문학은 이인직에서부터 이광수에 이르기까지 그 전통이 장편소설의 양 식에 근거. 이들의 작품은 모두 삶의 전체적인 양상과 인생의 의미를 폭넓게 추구
:but, 김동인은 인생의 한 단면을 제시함으로써 이야기의 극적인 완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편소설에 관심
:하나의 사건을 바탕으로 이야기 이끌어나감
②소설적 기법으로서의 다양한 시점 확립 기함
:‘-았(었)다’ 과거 종결형의 도입/ ‘그’라는 3인칭 대명사의 소설적 활용
→자신의 관점에 따라 인식됨: 서술의 초점 명확, 서술상의 거리 확보
⇒개별적인 인간이 주체의 정체성 확보
:서사내적 화자 설정 : <배따라기> <붉은 산> <광화사>
서사외적 화자 설정 : <약한 자의 슬픔> <감자>
→소설에서 1인칭화자가 일반화되기 시작한 것은 김동인이 시도했던 서사내적화자 설정에서부터
-소설 <무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더라’, ‘-ㄴ다’와 같은 종결어미가 환용됨으로 서 나타나는 시제의 불일치는 서술적인 거리가 여전히 불완전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말해 준다. 김동인은 소설의 지문에서 ‘-았(었)다’체의 과거시제 종결어미를 활용하여 서술적 거리를 완벽하게 확보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묘사와 서술의 가능성을 문체를 통해 확인해 보여줌
(2)현진건과 소설적 기법의 추구
-《백조》
-김동인 이후 주도적인 양식으로 등장한 단편소설의 기법적인 완결을 추구하여 소설 적 미학의 확립에 기여
-초기소설 : ‘나’라는 1인칭 화자를 등장시켜 소설 속에서 성격의 초점과 서술의 초점 을 일치시키면서 인물의 내면 분석의 가능성 제시
1920년대 중반 이후 : 3인칭 시점의 서술 방법 활용하여 작중인물의 삶을 치열하게 묘사
-작품
31운동 직후 : <빈처>(1921) <술 권하는 사회>(1921) <타락자>(1922)
→지식인의 좌절과 경제적인 빈곤
1920년대 중반 : <운수 좋은 날>(1924) <불>(1925) (1925)
1930년대 장편소설 : <적도>(1934) <무영탑>(1939)
-즐겨 다루는 소재 : 생활의 궁핍함-지식인 : <빈처> <술 권하는 사회>
-도시하층민 : <운수 좋은 날>
-농민 : <불> <고향> <정조와 약가>
-<고향> : 이 시기의 경제적 궁핍이 식민지 지배에서 비롯된 것임을 직접적으로 제시
<빈처>
<운수 좋은 날>
주관적 내면성 추구(1인칭)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고뇌
객관적 외부 현실의 실재성(3인칭)
노동자의 고통
반어적 구성
-소설적 관심과 기법의 특성 잘 보여주는 작품 : <빈처> <운수 좋은 날>
-현진건의 작품들은 소설의 기법이라는 것이 그 주제의 해석 방법과 직결된다는 사실 을 확인하게 함 : 상황적 아이러니, 내면 심리의 변화와 외부적인 행동방식 대조, 서 술적 거리 확보 등
(3) 나도향, 물질적인 욕망과 인간적 본능
-《백조》
-초기는 낭만적인 경향 : <
추천자료
<프로문학의 내용 형식 논쟁>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정지용 (시)문학에 관하여
한국 현대문학에 관한 분석
장용학 연구
현대소설작가 - 장용학
장용학(張龍鶴) 작품에 나타나는 의식 연구
1970년대 소설의 특성
정지용 시인의 초기시 연구
[개화기][문체][시조][배재학당][극장문화][서양과수재배기술]개화기의 문체의 존재 양상과 ...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연구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연구
'님’은 먼곳에 - 한용운의‘님의 침묵 ’-
[과제] 역사주의 비평 - 채만식 레디메이드인생, 식민지 시대의 문제점
[평등과 차별] 평등과 차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보신 문학작품에서 논의할 수 있는 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