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 정의, 특징, 정보사회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 수용자로서의 소비자,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문제점, 소통의 역이용, 올바른 양방향 소통 조사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사회 정의, 특징, 정보사회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 수용자로서의 소비자,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문제점, 소통의 역이용, 올바른 양방향 소통 조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주제 : 정보사회에서의 기업과 소비자의 소통

1. 정보사회 이전의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
1-1. 수용자로서의 소비자
1-2. 단순생산자로서의 기업
1-3. 기업-소비자 간의 소통부재로 인한 문제점

2. 정보사회에서의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
2-1.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2-2. 정보수용자로서의 기업
2-3. 정보사회에서의 기업과 소비자간의 소통의 예

3. 문제점
3-1. 제품의 가치하락
3-2. 과도한 트렌드 변화를 쫓아야 하는 심리적 부담감
3-3. 소통의 역이용(기업)
3-4. 기업의 소통전략에 휘둘리는 대중들
3-5. 패스트 패션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4. 결론
4-1. 올바른 양방향 소통에 대한 고찰
4-2. 주체적인 소비자

5. 출 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도하고 있으며, 매주 선정된 사진은 300유로의 상금이 주어진다. 자라는 이러한 독특한 Blog 마케팅으로 거리의 패셔니스트 참여를 이끌어내며 트위터 등 소셜 네터워크 댓글이 폭주하는 효과를 낸다. 이것은 곧 매출의 신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라) 유니클로 - 유니크한 광고 전략으로 눈길을 사로잡다. 출처 : 유니클로 소셜네트워크로 세계적인 기업이 되다 (http://it3kingdoms.com/100128812161)
유니클로는 패스트 패션 브랜드인 만큼 세상변화에 민감하고 트렌드를 주도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그런만큼 고객의 소통은 유니클로에게 매우 중요하다. 유니클로는 기존의 광고모델을 통용되지 않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것을 직감하고, 인터넷을 이용한 창조적인 마케팅으로 회사의 브랜드를 전세계에 효율적으로 알려왔다. 유니클로의 마케팅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유니클락(UNIQLOCK)이다.
유니클로는 인터넷 공간에서 순간적으로 막강한 입소문을 만들어 내는 블로그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블로그에 설치하는 시계에 실용성과 재미를 추가한 것이 유니클락이었다. 경쾌한 음악 리듬에 맞춰 유니클로의 옷을 입은 여성들이 무표정하게 춤추는 영상으로 5초마다 시간과 춤추는 여성들의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는 위젯이다.
이 위젯을 네티즌들의 자발적으로 자신의 블로그에 설치함으로써 단 1년만에 세계 210개국에서 1억 3천만명이 웹사이트를 방문하고 회사의 주문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 외에도 유트위트와 페이스북을통해 그들의 창의성을 한껏 발휘하였다.
그들의 기발한 창의성 덕분에 유니클로의 명성이 최근 급속도로 향상되는 모습은 소셜네트워크 공간이 얼마나 훌륭한 마케팅 장소인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마) 애플 - ‘쿨’한 브랜드 애플(Apple) 출처 : 소셜미디어 마케팅사례 -3. 애플(http://blog.naver.com/bijoux822?Redirect=Log&logNo=120094838551)
애플이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트위터도 없고, 공식 페이스북 팬 페이지도 없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으로 하루가 멀다 하고 회사의 구구절절한 사정을 팬들에게 알려주는 여타의 기업과는 극단적으로 대조적인 소통 방식이지만, 그래도 소셜 미디어는 늘 애플에 열광한다.
애플의 신제품 발표는 매해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Annual Apple developers\' conference MacWorld 에서 스티브 잡스가 수만명의 열광하는 애플 팬들 앞에서 직접 하는데. 이 기간을 전후로 애플에 대한 버즈는 최고조에 달한다. 이것이 지난 수십년간 애플의 소통방식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비록 공식적으로는 아무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하지 않지만 애플이야말로 소셜 미디어의 생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고, 그 생리를 회사 전략에 절묘하게 활용하고 있다. 설익은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도입하기 보다는 골수 팬들이 수십년간 지지해 온 애플의 방식 컬트주의 & 혁신 를 계속 유지하는데, 이게 소셜 미디어의 생리와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지고 있다. 애플 컬트들은 비밀일수록 더 흥분하고, 각종 루머에 대한 추측을 펼치기를 매우 즐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애플은 모두를 깜짝 놀래 키는 혁신적이고 멋진 제품을 참신한 마케팅과 함께 내놓음으로서 팬들의 기다림에 보답한다. 행복해진 팬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알아서 떠들어댄다.
비록 적극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애플은 소셜 미디어에 민감하다. ‘듣고’ ‘대응’ 은 하지만 ‘공급’ 이나 \'참여\'는 하지 않는 게 애플의 소셜 미디어 전략이다.
3.문제점
3-1 제품의 가치하락
앞서 소개한 패스트 패션 브랜드 의류의 대표적인 문제점을 꼽자면 제품의 가치하락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패스트 패션는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말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에 최신 유행을 반영한 상품을 빠르게 공급해 상품 회전율이 빠르다. 일반 패션업체들은 일반적으로 1년에 4-5회씩 계절별로 신상품을 내놓지만 패스트 패션업체들은 보통 1-2주 단위로 신상품을 선보이며, 심지어 3-4일 만에 또는 하루만에 상품이 교체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정보화 시대의 경쟁력은 곧 속도이고 이에 적응하는 자만이 살아남는 사회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이에 패션업체들은 고객과의 소셜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속도경쟁 참여하였고 패스트 패션’은 그러한 속도경쟁이 낳은 산물이다. 이와 같이 속도경쟁은 낮은 가격에 맞추기 위해 품질보다는 디자인을 중시한 패스트 패션을 소비자들이 한 시즌 정도 입고 버리는 단기성 소비재로 만들어 버렸다. 또한 원래 패션상품은 끊임없이 변화 하므로 제품수명 주기가 짧다.
패스트 패션은 특히 속도가 빨라 상품의 수명주기가 더욱 짧아진다.
3-2 잘못된 소통방식
웹 상에서 이루어 지는 기업-소비자간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루어 지는 시대에서 잘못된 소통의 방식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상품에 대한 과도한 장점부각 또는 과정 과대광고 등은 고객만족도를 저하시키고 고객관계를 약화시키거나 해치게 된다. 소셜마케팅 그리고 소셜 홍보 대행을 하다보면 늘 대하는 문제가 클라이언트들이 그들의 고객과 소통하려는 시도를 굉장히 중요시하는데 클라이언트들은 정작 그런 소통에 대해서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일방적으로 자기의 메세지를 소비자들에게 뿌리려고 하고 소셜미디어 SNS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느끼는 감정이나 정서를 무시한다.
예를 들자면 공식 블로그나 SNS 플랫폼에서 일방적으로 자기를 홍보하는 콘텐츠나 회사의 상품이나 서비스 심지어는 브랜드와 상관없는 연예기사 포스팅까지도 하루에 여러 번 메세지를 쏘아버리면 일반사용자 고객들은 다 떠나버리고 브랜드에도 악영향이 있다.
광고 홍보만 넘쳐나는 SNS -이메일, 블로그, 트위터까지 가세한 SNS 세상에는 광고와 홍보가 넘쳐난다. 이는 \"써먹을 수도 없는 쿠폰과 상품권을 홍보하는 사기판매\"로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법적 제재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악용한 SNS상의 불법 마케팅과 홍보는 앞으로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다.
3-3 과도한 트렌드 변화를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7.21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