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산후출혈의 정의
2. 소인성 원인
3. 임상적 증상
4. 진단
5. 예후
1) 시한씨 증후군 (sheehan's syndrome)
6. 분만 제3기 출혈의 처치
1) 태반용수박리술 (manual removal of placenta)
2) 태반만출 후의 처치
7. 잔류태반조직에 의한 출혈
8. 열상에 의한 산후출혈

본문내용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을 시행하고 둘째, 다른 의료인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셋째, 수혈을 시작하고 넷째, 자궁강 내의 잔류태반이나 열상 여부를 확인해보고 다섯째, 자궁경부와 질을 철저히 검진하고 여섯째, 최소한 2개 이상의 정맥주사용 혈관을 확보하여 옥시토신 투여와 수혈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심박출량과 동맥순환이 적절한지 소변량을 통해 알 수 있도록 foley 도관을 삽입한다.
양수자궁압박과 자궁마사지 대신 자궁을 거즈로 packing하기도 하였으나 분만 직후의 자궁에 gauze packing을 하면 자궁이 확대되어 치명적인 양의 출혈이 은폐될 수 있다.
7. 잔류태반조직에 의한 출혈
그렇게 크지 않은 태반조직이 자궁 내에 남아있을 때는 대부분 조기 산후출혈보다는 산욕기 후반에 출혈이 있게 된다. 태반만출 후 태반을 잘 살펴보아서 결손된 부분이 있으면 자궁 내를 검사하여 잔류태반조직을 제거하여야 한다. 부태반이 자궁 내에 남아서 산후출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
8. 열상에 의한 산후출혈
자궁파열이 확인되면 자궁적출술을 포함한 개복수술이 시행되어야 한다. 자궁경부와 질 상부의 열상도 심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자궁수축이 단단하게 잘 되어있는 상황에서도 출혈이 지속되면 항상 경부, 질, 자궁 등의 손상을 확인하여야 하며 자궁이완증에 의한 산후출혈시에도 산도손상 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자궁경부와 질 상부의 열상을 봉합하기 위해서는 조수에 의해서 질 내를 충분히 노출시켜야 하는데 보통 2개의 견인기로 질 내를 벌리고 고리겸자(ring forcep)로 경순을 잡고 검사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0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