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인상담 과정
2. 집단상담 과정
3. 집단상담의 장단점
참고문헌
2. 집단상담 과정
3. 집단상담의 장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인관계 패턴, 태도, 사고가 반영되며 ⑥ 나아가 개인으로 하여금 어떤 외적 비난이나 징벌에 대한 두려움 없이 새로운 행동에 대하여 현실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⑦나아가 상담자의 지시나 조언이 없이도 참여자들이 상호간의 깊은 사회적 교류 경험을 가질 수 있다.
2) 단점
① 집단에 적합하지 않은 성격적 기능이나 개인적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이 참여하여 집단상담자의 특정한 지도 성을 만날 때 ‘희생자’가 될 수 있으며 ② 참여자들이 심리적으로 준비가 되기 전에 자기의 마음속을 털어놓아야 한다는 집단 압력을 받기 쉽다. ③ 장기 집단이 아닌 한 특정 내담자의 개인적 문제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④또한 집단 경험의 일시적 경험에 도취되어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을 수도 있다. ⑤또한 비밀 보장이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영모. 홍금자. 김진이(2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고헌출판사
김충기 외역(1993), 상담과 심리치료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성원사
조현춘 공역(1995),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한국대학상담학회(1993), 상담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 단점
① 집단에 적합하지 않은 성격적 기능이나 개인적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이 참여하여 집단상담자의 특정한 지도 성을 만날 때 ‘희생자’가 될 수 있으며 ② 참여자들이 심리적으로 준비가 되기 전에 자기의 마음속을 털어놓아야 한다는 집단 압력을 받기 쉽다. ③ 장기 집단이 아닌 한 특정 내담자의 개인적 문제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④또한 집단 경험의 일시적 경험에 도취되어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을 수도 있다. ⑤또한 비밀 보장이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영모. 홍금자. 김진이(2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고헌출판사
김충기 외역(1993), 상담과 심리치료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성원사
조현춘 공역(1995),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한국대학상담학회(1993), 상담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