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리에 관한것
2. 형태에 관한 것
3. 표기에 유의해야 할 단어류
4. 표준어의 규정
5. 외래어 표기법
6. 표준발음
2. 형태에 관한 것
3. 표기에 유의해야 할 단어류
4. 표준어의 규정
5. 외래어 표기법
6. 표준발음
본문내용
그래 저래
새까맣다 시퍼렇다 샛노랗다 싯누렇다
공무원이 되었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서 돌아왔다
큰 인물이 되어라
큰 인물이 되라고
알맞은 걸맞은 않은가 *맞는*
너는 빨리 일어나거라 너는 빨리 일어나라
그것을 여기에 놓거라 그것을 여기에 놓아라
고집스런 고집스러움
우스꽝스런 우스꽝스러운
탐욕스런 탐욕스러운
어둔 어두운
~런지 ~른지 (x) ~는지(o)
공무원이에요 공무원이어요
영숙이에요 영숙이예요 영숙이이어요 영숙이여요
아니에요 아니어요 아녀요 안녜요
절체절명 야반도주 성대모사 혈혈단신 아연실색 삼수갑산 괴발개발 티격태격
옴짝달싹 미주알 고주알
오늘 담근 김치
그녀는 삐친 거야
십상이군
모습이 안쓰럽다
단출하게 옷을 입고
내로라하는 장사들이
맨송맨송하니
긴가민가하네
문을 잠가라
바닷물에 손을 담갔다
놀랐잖아
몸을 움츠리다
어제 치러진 행사
뜻을 내비췄다
끼어들기를 하지
날씨가 개다
길을 헤매다
목멘 소리
아무튼 하여튼 살쾡이 꼭두각시 (어떠하든어떻든)
몸맥시 갓난이 돌부리 총부리 발부리 몸살 눈살
건너다 굼벵이 돌멩이 도리어 술래잡기 하마터면 통틀어 메라르다 요컨대 연거푸
오랜만 오랬동안 재떨이 금세 별안간 베개
지금 나 어떡해?
일을 어떻게 처리하지?
예부터 예스럽다 눈시울
결벽증 꺼리다 만날 삼가다 어쭙잖다 뇌졸중
3. 표기에 유의해야 할 단어류
게장 백반 군만두
김치찌개 꼬치
꽁보리밥 닭고기 튀김
닭볶음탕 돈가스
된장찌개 떡볶이
먹장어구이(먹장어x) 메밀국수 (모밀x)
붕장어 튀김 뼈다귀해장국
생선 튀김 설렁탕
수제비 아귀찜
오징어 덮밥 육개장
자장면 햄버그스테이크
호두 과자
가랑이 가르마
가자미 가장자리
갈고리 개비
거두다 거추장스럽다
거널목 걸쭉하다
골병 곰팡이
곱사등이 곱슬머리
괴나리봇집 구레나룻
구태여 굼닐다
굽이굽이 기어이
기지개 꺼림칙하다
꼬챙이 꾀다
끄트머리 나그네
낙지 낚시
낼갯죽지 날짜
넋두리 널빤지
눈썹 느즈러지다
느지감치 늘그막
닦달하다
달걀 담그다
-더라도 도깨비
도련님 두루마리
두루뭉술 들르다
떨어뜨리다 뙤약볕
맛보기 망설이다
먹을거리 메스껍다
메우다 모둠냄비
목돈 무릅쓰다
밋밋하다 발자국
부서지다 부엌
비계 비로소 사족(四足)
산골짜기 샅바
섬뜩하다 소쿠리
숨바꼭질 씀바귀
아귀맞추다 악바리
안성맞춤 알쏭달쏭
야멸치다 야트막하다
어릿광대 어슬렁거리다
어쨌든 얼루기
연방 오라비
외톨이 움큼
으름장 으스름달밤
윽박지르다 있소
저녁 적이
족집게 졸리다
죽지 진드기
짜깁기 초승달
추스르다 치다꺼리
통째 코밑
코방아찧다 큰아기
풍뎅이 핑계
하고자 하루거리
하시압 해님
해쓱하다 핼쑥하다
해코지 헹가래
흙받기 흩뜨리다
4. 표준어의 규정
자음 모음과 준말
-자음
끄나풀 나팔꽃 녘(동녘,들녘) 칸(칸막이, 빈칸, 방 한 칸) 털어먹다
*주의* 초가삼간 윗간 뒷간 외양간 마구간
가을갈이 거시기 분침 갈치
강낭콩 겉고삿 속고삿 사글세 월세 울력성당 *고샅=좁은골목길,고삿=지붕이을때 쓰는새끼.
수꿩(장끼) 수나사 수놈 수사돈 수소(황소)
-모음
깡충깡충 발가숭이 보퉁이 주추 주춧돌 뻗정다리 오뚝이
*주의* 부조 사돈 삼촌
괴팍하다 미루나무 미륵 여느 온달 으레 케케묵다 허우대 허우적 허우적
깍쟁이 나무라다 미수 미숫가루 바라다 비비다 상추 시러베아들 이지러지다 겨자 주책
지루하다 튀기 하염없다 허드레 호루라기
위↔아래 대립이 있는 경우 ‘윗’ *뒷말이 된소리 거센소리일때 ‘위’
없는 경우 ‘우’
구(句)가 붙은 것은 ‘구’로만 발음 : 구절 경구 대구 어구 절구 결구
-준말
귀찮다 똬리 무 뱀 생쥐 솔개 빔 온갖 장사치
경황없다 귀이개 궁상떨다 낌새 마구잡이 암죽 수두룩하다 부스럼(대보름의‘부럼’도 표준어)
둘다표준어 : 거짓부리/거짓불 노을/놀 오누이/오뉘 이기죽거리다/이죽거리다 찌꺼기/찌끼
서투르다/서툴다 외우다/외다
단수 표준어와 복수 표준어
-단수표준어
구어박다 귀고리 귀지 내색 내숭스럽다 냠냠거리다 댑싸리 멸치 보습 본새 상판대기 아내 아궁이 ~올시다 재봉틀 이쪽 저쪽 천장
개비 게끔 광주리 국물 길잡이 길라잡이 까다롭다 낚아채다 대장일 뒤껼다 부스러기 빈대떡
빠뜨리다 새색시 샛별 속말 손목시계 손수레 술고래 쉰(쉬흔) 신기롭다 쌍동밤 아주
안절부절 못하다 알사탕 암내 애벌레 어뜻 우려내다 입담 잎 잠그다 주책없다 칡범 코주부 푸르다 한창때
-복수표준어
거슴츠레/게슴츠레 교기/갸기 구린내/쿠린내 고린내/코린내 꺼림하다/께름하다
나부랭이/너부렁이
고어와 한자어
-고어
낭떠러지 설거지하다 애달프다 오동나무 자두
-한자어
가루약 구들장 길품삯 까막눈 꼭지미역 사래논 사래밭 성냥 외지다 잎담배 지겟다리
푼돈 흰말 백마 흰죽
개다리소반 겸상 고봉밥 단벌 민망스럽다/면구스럽다 방고래 부항단지 산누에 산줄기
수삼 양파 윤달 장력세다 총각무 포수
-방언
둘다 표준어 : 멍게/우렁쉥이 물방개/선두리 애순/어린순
하나만 표준어 : 귀밑머리 까뭉개다 막상 생인손 역겹다
-기타
거무스름하다/거무스름하다 발그스레하다/발그스름하다
오세요/오셔요 하다마다/하고말고
-단어의 뜻에 주의할 것들
갱엿/검은엿 거위배/횟배(뱃속의 회충으로 인한 배앓이)
교정보다/준보다 귀퉁머리/귀퉁배기
깃저고리/배내옷/배냇저고리(깃과 섶을 달지 않은 갓난아기의 저고리)
꼬리별/살별 날걸/세뿔(윷판의 끝에서 셋째 자리)
느리광이/느림보/늘보 늦모/마냥모(철 늦게 내는 모)
다기지다/다기차다
다박나룻/다박수염(다보록하게 난 짧은 수염)
댓돌/툇돌(섬돌) 독장치다/독판치다(어떤 판을 혼자서 휩쓸다)
동자기둥/쪼구미(들보 위에 세우는 짧은 기둥)
돼지감자/뚱딴지
되우/된통/되게 뜬것/뜬귀신
마룻줄/용총줄(돗대에 매어 놓은 줄)
마파람/앞바람 만장판/만장중
매갈이/매조미(벼를 매통에 갈아서 겉꺼풀을 것겨내는 기구)
매통/목매(벼를 넣고 갈아서 겉꺼풀을 벗겨내는 기구)
먹새/먹음새(음식 먹는 태도)
멱통/산멱/산멱통(살아있는 동물의 목구멍)
목판되모되(네모 반듯하게 된 되)
물타작/진타작(벼를 베어 채 마르기도 전에 떠는 일)
버들강아지/버들개지
부침개질/부침질/지짐질
불똥앉다/등화앉다/등화지다
상씨름/소걸이(씨름판에서 우승을 가리는 씨름)
생뿔/새앙뿔/생강뿔(두 개 모두
새까맣다 시퍼렇다 샛노랗다 싯누렇다
공무원이 되었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서 돌아왔다
큰 인물이 되어라
큰 인물이 되라고
알맞은 걸맞은 않은가 *맞는*
너는 빨리 일어나거라 너는 빨리 일어나라
그것을 여기에 놓거라 그것을 여기에 놓아라
고집스런 고집스러움
우스꽝스런 우스꽝스러운
탐욕스런 탐욕스러운
어둔 어두운
~런지 ~른지 (x) ~는지(o)
공무원이에요 공무원이어요
영숙이에요 영숙이예요 영숙이이어요 영숙이여요
아니에요 아니어요 아녀요 안녜요
절체절명 야반도주 성대모사 혈혈단신 아연실색 삼수갑산 괴발개발 티격태격
옴짝달싹 미주알 고주알
오늘 담근 김치
그녀는 삐친 거야
십상이군
모습이 안쓰럽다
단출하게 옷을 입고
내로라하는 장사들이
맨송맨송하니
긴가민가하네
문을 잠가라
바닷물에 손을 담갔다
놀랐잖아
몸을 움츠리다
어제 치러진 행사
뜻을 내비췄다
끼어들기를 하지
날씨가 개다
길을 헤매다
목멘 소리
아무튼 하여튼 살쾡이 꼭두각시 (어떠하든어떻든)
몸맥시 갓난이 돌부리 총부리 발부리 몸살 눈살
건너다 굼벵이 돌멩이 도리어 술래잡기 하마터면 통틀어 메라르다 요컨대 연거푸
오랜만 오랬동안 재떨이 금세 별안간 베개
지금 나 어떡해?
일을 어떻게 처리하지?
예부터 예스럽다 눈시울
결벽증 꺼리다 만날 삼가다 어쭙잖다 뇌졸중
3. 표기에 유의해야 할 단어류
게장 백반 군만두
김치찌개 꼬치
꽁보리밥 닭고기 튀김
닭볶음탕 돈가스
된장찌개 떡볶이
먹장어구이(먹장어x) 메밀국수 (모밀x)
붕장어 튀김 뼈다귀해장국
생선 튀김 설렁탕
수제비 아귀찜
오징어 덮밥 육개장
자장면 햄버그스테이크
호두 과자
가랑이 가르마
가자미 가장자리
갈고리 개비
거두다 거추장스럽다
거널목 걸쭉하다
골병 곰팡이
곱사등이 곱슬머리
괴나리봇집 구레나룻
구태여 굼닐다
굽이굽이 기어이
기지개 꺼림칙하다
꼬챙이 꾀다
끄트머리 나그네
낙지 낚시
낼갯죽지 날짜
넋두리 널빤지
눈썹 느즈러지다
느지감치 늘그막
닦달하다
달걀 담그다
-더라도 도깨비
도련님 두루마리
두루뭉술 들르다
떨어뜨리다 뙤약볕
맛보기 망설이다
먹을거리 메스껍다
메우다 모둠냄비
목돈 무릅쓰다
밋밋하다 발자국
부서지다 부엌
비계 비로소 사족(四足)
산골짜기 샅바
섬뜩하다 소쿠리
숨바꼭질 씀바귀
아귀맞추다 악바리
안성맞춤 알쏭달쏭
야멸치다 야트막하다
어릿광대 어슬렁거리다
어쨌든 얼루기
연방 오라비
외톨이 움큼
으름장 으스름달밤
윽박지르다 있소
저녁 적이
족집게 졸리다
죽지 진드기
짜깁기 초승달
추스르다 치다꺼리
통째 코밑
코방아찧다 큰아기
풍뎅이 핑계
하고자 하루거리
하시압 해님
해쓱하다 핼쑥하다
해코지 헹가래
흙받기 흩뜨리다
4. 표준어의 규정
자음 모음과 준말
-자음
끄나풀 나팔꽃 녘(동녘,들녘) 칸(칸막이, 빈칸, 방 한 칸) 털어먹다
*주의* 초가삼간 윗간 뒷간 외양간 마구간
가을갈이 거시기 분침 갈치
강낭콩 겉고삿 속고삿 사글세 월세 울력성당 *고샅=좁은골목길,고삿=지붕이을때 쓰는새끼.
수꿩(장끼) 수나사 수놈 수사돈 수소(황소)
-모음
깡충깡충 발가숭이 보퉁이 주추 주춧돌 뻗정다리 오뚝이
*주의* 부조 사돈 삼촌
괴팍하다 미루나무 미륵 여느 온달 으레 케케묵다 허우대 허우적 허우적
깍쟁이 나무라다 미수 미숫가루 바라다 비비다 상추 시러베아들 이지러지다 겨자 주책
지루하다 튀기 하염없다 허드레 호루라기
위↔아래 대립이 있는 경우 ‘윗’ *뒷말이 된소리 거센소리일때 ‘위’
없는 경우 ‘우’
구(句)가 붙은 것은 ‘구’로만 발음 : 구절 경구 대구 어구 절구 결구
-준말
귀찮다 똬리 무 뱀 생쥐 솔개 빔 온갖 장사치
경황없다 귀이개 궁상떨다 낌새 마구잡이 암죽 수두룩하다 부스럼(대보름의‘부럼’도 표준어)
둘다표준어 : 거짓부리/거짓불 노을/놀 오누이/오뉘 이기죽거리다/이죽거리다 찌꺼기/찌끼
서투르다/서툴다 외우다/외다
단수 표준어와 복수 표준어
-단수표준어
구어박다 귀고리 귀지 내색 내숭스럽다 냠냠거리다 댑싸리 멸치 보습 본새 상판대기 아내 아궁이 ~올시다 재봉틀 이쪽 저쪽 천장
개비 게끔 광주리 국물 길잡이 길라잡이 까다롭다 낚아채다 대장일 뒤껼다 부스러기 빈대떡
빠뜨리다 새색시 샛별 속말 손목시계 손수레 술고래 쉰(쉬흔) 신기롭다 쌍동밤 아주
안절부절 못하다 알사탕 암내 애벌레 어뜻 우려내다 입담 잎 잠그다 주책없다 칡범 코주부 푸르다 한창때
-복수표준어
거슴츠레/게슴츠레 교기/갸기 구린내/쿠린내 고린내/코린내 꺼림하다/께름하다
나부랭이/너부렁이
고어와 한자어
-고어
낭떠러지 설거지하다 애달프다 오동나무 자두
-한자어
가루약 구들장 길품삯 까막눈 꼭지미역 사래논 사래밭 성냥 외지다 잎담배 지겟다리
푼돈 흰말 백마 흰죽
개다리소반 겸상 고봉밥 단벌 민망스럽다/면구스럽다 방고래 부항단지 산누에 산줄기
수삼 양파 윤달 장력세다 총각무 포수
-방언
둘다 표준어 : 멍게/우렁쉥이 물방개/선두리 애순/어린순
하나만 표준어 : 귀밑머리 까뭉개다 막상 생인손 역겹다
-기타
거무스름하다/거무스름하다 발그스레하다/발그스름하다
오세요/오셔요 하다마다/하고말고
-단어의 뜻에 주의할 것들
갱엿/검은엿 거위배/횟배(뱃속의 회충으로 인한 배앓이)
교정보다/준보다 귀퉁머리/귀퉁배기
깃저고리/배내옷/배냇저고리(깃과 섶을 달지 않은 갓난아기의 저고리)
꼬리별/살별 날걸/세뿔(윷판의 끝에서 셋째 자리)
느리광이/느림보/늘보 늦모/마냥모(철 늦게 내는 모)
다기지다/다기차다
다박나룻/다박수염(다보록하게 난 짧은 수염)
댓돌/툇돌(섬돌) 독장치다/독판치다(어떤 판을 혼자서 휩쓸다)
동자기둥/쪼구미(들보 위에 세우는 짧은 기둥)
돼지감자/뚱딴지
되우/된통/되게 뜬것/뜬귀신
마룻줄/용총줄(돗대에 매어 놓은 줄)
마파람/앞바람 만장판/만장중
매갈이/매조미(벼를 매통에 갈아서 겉꺼풀을 것겨내는 기구)
매통/목매(벼를 넣고 갈아서 겉꺼풀을 벗겨내는 기구)
먹새/먹음새(음식 먹는 태도)
멱통/산멱/산멱통(살아있는 동물의 목구멍)
목판되모되(네모 반듯하게 된 되)
물타작/진타작(벼를 베어 채 마르기도 전에 떠는 일)
버들강아지/버들개지
부침개질/부침질/지짐질
불똥앉다/등화앉다/등화지다
상씨름/소걸이(씨름판에서 우승을 가리는 씨름)
생뿔/새앙뿔/생강뿔(두 개 모두
추천자료
한문학개론 중간고사 내용 정리
고대국어, 국어가 걸어온 길, 서동요 수업지도안, 파워포인트 (연구수업) (수업실연)
'무한도전'에서의 화용 원리 사용 양상 분석
『훈민정음』서지학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
알고리즘 분석 및 복잡도 측정
제주도간판문화
이기문 국어사개설 총정리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특징,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표기,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음운변...
남북한의 맞춤법 비교
『용비어천가』연구- 서지학적·언어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제 6장 국어와 민족문화
경상대학교 이러닝 공학보고서작성 및 발표 중간고사 대비자료
국어사 - 후기 중세국어 정리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