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르트의 선교신학
2) 룰러의 선교신학
3) 몰트만의 선교신학
2) 룰러의 선교신학
3) 몰트만의 선교신학
본문내용
해론」 제3부의 선교론 보다 시간적으로 일찍 저술되었다. 이런 순서의 역전은 있지만 반 룰러의 신학적인 시도가 칼 바르트의 「기독록적인 집중」 의 신학에 대한 비판으로 특징지어진 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그의 선교론에서도 명백했다. 그런 의미에서는 반 룰러의 「사도적 사명 신학」 은 분명히 바르트 신학 이후의 것이었다.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 다음에 위치하지만, 그의 신학과 선교론도 칼 바르트와의 차이 속에 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몰트만은 반 룰러로부터 촉발되어 있었다. 이것은 표면화 되지는 않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몰트만은 발 룰러로부터 받은 자극으로 바르트의 신학으로부터 탈출했으며, 그런 ㅡ이미에서 바르트 신학에서의 의식 전환이 몰트만의 신학 기초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또 그때 결정적인 전환점이 종말론의 전개에 있었던 것도 분명하다. 몰트만은 반 룰러의 「사도적 사명 신학」의 자극으로 촉발되었다. 이것은 「새로운 종말론」 의 가능성과 함께 「선교」 의 문제에도 관심을 열어 갔음을 말한다. 물론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의 신학 그대로를 계승한 것은 아니다. 그는 에른스트 블로흐를 만난 후 반 룰러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 다음에 위치하지만, 그의 신학과 선교론도 칼 바르트와의 차이 속에 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몰트만은 반 룰러로부터 촉발되어 있었다. 이것은 표면화 되지는 않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몰트만은 발 룰러로부터 받은 자극으로 바르트의 신학으로부터 탈출했으며, 그런 ㅡ이미에서 바르트 신학에서의 의식 전환이 몰트만의 신학 기초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또 그때 결정적인 전환점이 종말론의 전개에 있었던 것도 분명하다. 몰트만은 반 룰러의 「사도적 사명 신학」의 자극으로 촉발되었다. 이것은 「새로운 종말론」 의 가능성과 함께 「선교」 의 문제에도 관심을 열어 갔음을 말한다. 물론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의 신학 그대로를 계승한 것은 아니다. 그는 에른스트 블로흐를 만난 후 반 룰러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추천자료
개혁신학과 교회 책 요약
재림론에 대한 신학적 이해
종말론에 대한 신학적ㆍ성서적 이해
개혁신학과 교회 독후감
개혁신학과 교회 서평
개혁주의 교회론을 위한 시도에서 교회의 일치와 순결에 대한 연구보고서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무료성경신학원)
칼바르트 신학
개혁신학과 교회 요약 및 서평
R. Paul Stevens,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서평
시가서 79편 연구 (원문 번역 및 본문 비평, 양식 및 구조와 주석, 시편 79편의 최종형태 구...
[구약서론]구약 신학의 역사와 방법에 대하여
WCC의 역사, WCC와 복음주의 신학교육의 당면과제, WCC의 이념과 한국교회의 타종교 이해태도
마크 포웰의 누가복음 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