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제라르 쥬네트의 『서사 담론』
1. 제라르 쥬네트와 서사담론 논의
1.1. 제라르 쥬네트의 약력
1.2. 다른 서사관련 논의들
1.3. 서사에 대한 정의
1.4. 제라르 쥬네트의 서사담론
1.5. 프루스트와『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5.1. 프루스트의 약력
1.5.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 순서(Order)
2.1. 회상
2.2. 예상
3. 시간의 길이(Duration)
3.1. 요약
3.2. 장면
3.3. 멈춤
3.4.공백
4. 빈도(frequently)
4.1. 단수형
4.2. 반복형
4.3. 유추적 반복형
5. 서술전략(mood)
5.1. 거리
5.2. 관점
6. 서술자의 음성(Voice)
6.1. 서술의 겹구조
6.2. 인칭
7. 맺음
7.1. 이론의 의의
7.2. 이론의 한계점
- 제라르 쥬네트의 『서사 담론』
1. 제라르 쥬네트와 서사담론 논의
1.1. 제라르 쥬네트의 약력
1.2. 다른 서사관련 논의들
1.3. 서사에 대한 정의
1.4. 제라르 쥬네트의 서사담론
1.5. 프루스트와『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5.1. 프루스트의 약력
1.5.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 순서(Order)
2.1. 회상
2.2. 예상
3. 시간의 길이(Duration)
3.1. 요약
3.2. 장면
3.3. 멈춤
3.4.공백
4. 빈도(frequently)
4.1. 단수형
4.2. 반복형
4.3. 유추적 반복형
5. 서술전략(mood)
5.1. 거리
5.2. 관점
6. 서술자의 음성(Voice)
6.1. 서술의 겹구조
6.2. 인칭
7. 맺음
7.1. 이론의 의의
7.2. 이론의 한계점
본문내용
의
1) 서사 : 드라마와 서정시의 중간에 위치해 누군가에 의해 말해지는 이야기이다.
(1) 경험적 서사 : 모방과 재현에 기초. 19세기에 압도적으로 드러남.
(2) 허구적 서사 : 상징과 주관적인 진실에 기초. 20세기에 압도적으로 드러남.
1.4. 제라르 쥬네트의 서사담론
1) 제라르 쥬네트는 기존의미의 서사가 말해진 일련된 사건들이었으나 『서사담론』은 누구에 의해 서술되었는가를 중시한다. (26-27면)
2) 지금까지 서사는 서술과 그 내용에만 관심을 두고 누가서술하느냐가 무시되어 왔다.누군가에 의해 서술된 스토리를 연구해보면 스토리는 내용이요, 기의이다. 서술은 담론이요 기표이다. 그리고 그 서술을 산출해 낸 행위가 있다.
3) 서사담론[서사(형식)+관점(내용)] : 서술된 내용, 누구에 의한 서술인가, 그리고 누구에 의한 내용인가를 보는 것이 서사담론이다. 그러므로 담론이란 누군가에 의해 조정된 언술행위요, 의미를 낳는 전략적 용어이다. 『서사담론』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한 연구서인 동시에 독립된 소설이론서이다.
쥬네트는 특수성 속에서 보편성을 찾는다. 그는 플롯에 치중해온 불란서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형식에 내용을 연결 짓고 서사의 관점과 시점에 치중해 온 영미이론의 한계를 극복하여 내용에 형식을 연결 짓는다.
『서사담론』은 형식의 측면에서 스토리의 시간과 서사의 시간을 살핀다. 스토리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와 서술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는 어떻게 다른가(order) 둘 사이에서 사건이 지속되는 시간의 길이는 어떤가(duration). 둘 사이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빈도수는 어떠한가(frequency).
관점에서의 새로움은 등장인물과 서술자의 틈새를 비집어본 것이다.
예) 1인칭 회고적 서술에서 서술자는 성숙한 어른이고 사건을 경험하는 인물은 어린 소년인 경우 둘 사이에는 갈림이 일어난다. 서술하는 나와 경험하는 나 사이의 음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1.5. 프루스트와『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5.1. 프루스트의 약력
마르셀 프루스트 (Marcel Proust, 1871.7.10~1922.11.18) : 파리 근처 오퇴유 출생. 20세기 전반의 소설 중 질·양에 있어서 모두 최고의 것으로 일컬어지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8)의 작자이다.
아버지 고향 이리에, 할머니와 갔던 노르망디 해변, 파리의 샹젤리제가 유소년기의 작가가 경험을 쌓은 장소들로 모두가 후에 소설로 옮겨져서 중요한 무대가 된다. 풍족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9세 때부터 천식(喘息)이 있었다. 이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평생의 고통으로 자리한다. 또 어떤 시기부터 자각하게 된 동성애 습벽이 인생에 어두운 부분을 형성하였다.
《장 상퇴유》는 1,000매를 넘는 대작으로 3인칭 수법으로 저술되었는데, 1896∼1900년에 걸친 작품으로 추정되며, 그의 작품 모두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집대성될 일관된 노력이 남긴 행적으로 보아야 할 작품들이다.
1.5.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8) : 1,000매를 넘는 대작으로 주제는 뛰어난 지성과 애처로울 만큼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화자 마르셀의 절대적 행복 추구 드라마이다. 작가의 행복한 유년시절, 사교계 생활, 연애경험 등을 기억에 의해 재구성하였다. 복잡하게 얽힌 테마를 긴밀하게 결부, 잔혹한 시간의 흐름에 풍화(風化)되어가는 사람들, 자기 자신 그리고 그 배후의 사회를 그려낸다. 화자는 온갖 형태로 그 행복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어차피 ‘시간’이 갖는 파괴력 앞에 허무하게 무너져버리는 것이며, 인생은 결국 ‘잃어버린 시간’에 불과하다. 작품의 끝부분에서, 화자는 게르망트가의 파티에 참석하여, 일찍이 자기가 그처럼 찬미하였던 사람들의 늙은 모습을 대하자, 인간 존재의 공허함을 느낀다. 그러나 그 때 연달아 그의 속에 되살아나는 ‘무의지적(無意志的) 기억(감각 속에 남아 있던 기억)’의 힘이 지나간 시간을 다시금 찾아내게 하며, 예술작품에 그것을 정착(定着)시킴으로써 자기가 ‘시간’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소설은 프랑스의 한 시대의 연대기(年代記)가 되기도 한다. 특이한 문체, 잔인할 만큼 정밀한 관찰력, 병적으로 집요하고 정확한 심리분석, 그러한 특징을 가진 이 작품은 J.조이스, F.카프카의 작품과 더불어 현대문학에 새로운 길을 개척한 20세기 최고 최대의 소설로 꼽힌다.
이 작품은 콩쿠르상을 수상하여 프루스트는 비로소 연래의 꿈이었던 문학적 영광을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죽음에 이르기까지 코르크로 둘러싼 병실 안에서 죽음의 예감과 대결하면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집필에 만전을 가한다.
2. 순서(Order)
1)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은 내용을 낯설게 하려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를 바꾼다고 한다. 그래서 내용, 형식이 구별되고 문학이란 독자가 흩어진 시간 순서를 경험하는 것, 의미란 재배열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2) 쥬네트는 내용이 형식에서 어떻게 흩어지는가를 본다. 예를 들어, 호머의 『일리아드』 호머의 『일리아드』: 여인을 둘러싼 아가멤논과 아킬레스의 다툼 이야기. 그리스군이 승정에서 얻은 여자포로를 아가멤논이 차지하자 포로의 아버지 크리세스는 그리스군에 재난을 불러온다. 아킬레스가 재난의 원인을 아가멤논에게 돌리자 둘 사이에는 다툼이 일고 아킬레스는 분노에 차서 그리스군을 떠난다. 그 결과 그리스군은 위기에 봉착한다.
에서 내용은 ‘아킬레스의 분노-아킬레스와 아가멤논의 다툼-그리스군의 재난-크리세스에 대한 모독’ 순으로 배열된다.
3) 회상과 예상이 함께 제시되는 예
그는 호텔앞을 지나면서 떠올렸다 / 순례삼아 그가 보모와 함께 걷던 비오는 날들을 / 이제 그는 아무런 느낌도 없이 그 일을 기억했다 / 그때는 서글프리라던 생각 / 어느날 그녀를 사랑하지 않게 되면 느끼리라던 / 미리 예상했던 그 서글픔 / 무관심을 줄 모르고 / 그의 사랑에서 나온 것이고 / 이제 그 사랑은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았다. - 『장 상태이유』
위의 서술에서 ‘지금’과 ‘그때’는 연속으로 교차되는데, 지금(2)과 그
1) 서사 : 드라마와 서정시의 중간에 위치해 누군가에 의해 말해지는 이야기이다.
(1) 경험적 서사 : 모방과 재현에 기초. 19세기에 압도적으로 드러남.
(2) 허구적 서사 : 상징과 주관적인 진실에 기초. 20세기에 압도적으로 드러남.
1.4. 제라르 쥬네트의 서사담론
1) 제라르 쥬네트는 기존의미의 서사가 말해진 일련된 사건들이었으나 『서사담론』은 누구에 의해 서술되었는가를 중시한다. (26-27면)
2) 지금까지 서사는 서술과 그 내용에만 관심을 두고 누가서술하느냐가 무시되어 왔다.누군가에 의해 서술된 스토리를 연구해보면 스토리는 내용이요, 기의이다. 서술은 담론이요 기표이다. 그리고 그 서술을 산출해 낸 행위가 있다.
3) 서사담론[서사(형식)+관점(내용)] : 서술된 내용, 누구에 의한 서술인가, 그리고 누구에 의한 내용인가를 보는 것이 서사담론이다. 그러므로 담론이란 누군가에 의해 조정된 언술행위요, 의미를 낳는 전략적 용어이다. 『서사담론』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한 연구서인 동시에 독립된 소설이론서이다.
쥬네트는 특수성 속에서 보편성을 찾는다. 그는 플롯에 치중해온 불란서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형식에 내용을 연결 짓고 서사의 관점과 시점에 치중해 온 영미이론의 한계를 극복하여 내용에 형식을 연결 짓는다.
『서사담론』은 형식의 측면에서 스토리의 시간과 서사의 시간을 살핀다. 스토리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와 서술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는 어떻게 다른가(order) 둘 사이에서 사건이 지속되는 시간의 길이는 어떤가(duration). 둘 사이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빈도수는 어떠한가(frequency).
관점에서의 새로움은 등장인물과 서술자의 틈새를 비집어본 것이다.
예) 1인칭 회고적 서술에서 서술자는 성숙한 어른이고 사건을 경험하는 인물은 어린 소년인 경우 둘 사이에는 갈림이 일어난다. 서술하는 나와 경험하는 나 사이의 음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1.5. 프루스트와『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5.1. 프루스트의 약력
마르셀 프루스트 (Marcel Proust, 1871.7.10~1922.11.18) : 파리 근처 오퇴유 출생. 20세기 전반의 소설 중 질·양에 있어서 모두 최고의 것으로 일컬어지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8)의 작자이다.
아버지 고향 이리에, 할머니와 갔던 노르망디 해변, 파리의 샹젤리제가 유소년기의 작가가 경험을 쌓은 장소들로 모두가 후에 소설로 옮겨져서 중요한 무대가 된다. 풍족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9세 때부터 천식(喘息)이 있었다. 이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평생의 고통으로 자리한다. 또 어떤 시기부터 자각하게 된 동성애 습벽이 인생에 어두운 부분을 형성하였다.
《장 상퇴유》는 1,000매를 넘는 대작으로 3인칭 수법으로 저술되었는데, 1896∼1900년에 걸친 작품으로 추정되며, 그의 작품 모두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집대성될 일관된 노력이 남긴 행적으로 보아야 할 작품들이다.
1.5.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8) : 1,000매를 넘는 대작으로 주제는 뛰어난 지성과 애처로울 만큼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화자 마르셀의 절대적 행복 추구 드라마이다. 작가의 행복한 유년시절, 사교계 생활, 연애경험 등을 기억에 의해 재구성하였다. 복잡하게 얽힌 테마를 긴밀하게 결부, 잔혹한 시간의 흐름에 풍화(風化)되어가는 사람들, 자기 자신 그리고 그 배후의 사회를 그려낸다. 화자는 온갖 형태로 그 행복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어차피 ‘시간’이 갖는 파괴력 앞에 허무하게 무너져버리는 것이며, 인생은 결국 ‘잃어버린 시간’에 불과하다. 작품의 끝부분에서, 화자는 게르망트가의 파티에 참석하여, 일찍이 자기가 그처럼 찬미하였던 사람들의 늙은 모습을 대하자, 인간 존재의 공허함을 느낀다. 그러나 그 때 연달아 그의 속에 되살아나는 ‘무의지적(無意志的) 기억(감각 속에 남아 있던 기억)’의 힘이 지나간 시간을 다시금 찾아내게 하며, 예술작품에 그것을 정착(定着)시킴으로써 자기가 ‘시간’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소설은 프랑스의 한 시대의 연대기(年代記)가 되기도 한다. 특이한 문체, 잔인할 만큼 정밀한 관찰력, 병적으로 집요하고 정확한 심리분석, 그러한 특징을 가진 이 작품은 J.조이스, F.카프카의 작품과 더불어 현대문학에 새로운 길을 개척한 20세기 최고 최대의 소설로 꼽힌다.
이 작품은 콩쿠르상을 수상하여 프루스트는 비로소 연래의 꿈이었던 문학적 영광을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죽음에 이르기까지 코르크로 둘러싼 병실 안에서 죽음의 예감과 대결하면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집필에 만전을 가한다.
2. 순서(Order)
1)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은 내용을 낯설게 하려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를 바꾼다고 한다. 그래서 내용, 형식이 구별되고 문학이란 독자가 흩어진 시간 순서를 경험하는 것, 의미란 재배열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2) 쥬네트는 내용이 형식에서 어떻게 흩어지는가를 본다. 예를 들어, 호머의 『일리아드』 호머의 『일리아드』: 여인을 둘러싼 아가멤논과 아킬레스의 다툼 이야기. 그리스군이 승정에서 얻은 여자포로를 아가멤논이 차지하자 포로의 아버지 크리세스는 그리스군에 재난을 불러온다. 아킬레스가 재난의 원인을 아가멤논에게 돌리자 둘 사이에는 다툼이 일고 아킬레스는 분노에 차서 그리스군을 떠난다. 그 결과 그리스군은 위기에 봉착한다.
에서 내용은 ‘아킬레스의 분노-아킬레스와 아가멤논의 다툼-그리스군의 재난-크리세스에 대한 모독’ 순으로 배열된다.
3) 회상과 예상이 함께 제시되는 예
그는 호텔앞을 지나면서 떠올렸다 / 순례삼아 그가 보모와 함께 걷던 비오는 날들을 / 이제 그는 아무런 느낌도 없이 그 일을 기억했다 / 그때는 서글프리라던 생각 / 어느날 그녀를 사랑하지 않게 되면 느끼리라던 / 미리 예상했던 그 서글픔 / 무관심을 줄 모르고 / 그의 사랑에서 나온 것이고 / 이제 그 사랑은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았다. - 『장 상태이유』
위의 서술에서 ‘지금’과 ‘그때’는 연속으로 교차되는데, 지금(2)과 그
키워드
추천자료
민족으로부터 역사를 구출하기 - 근대 중국의 해석 을 읽고
<<혼볼>>을 읽고 감상문 및 자료조사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문화콘텐츠의 부가가치 증대와 함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요약
누벨바그 영화
작가 은희경과 신경숙의 작품성향 비교분석
PD수첩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하여 논하시오.
소설의 서술과 서술자, 소설소나기의 서술방식, 소설춘향전의 서술방식, 역사드라마의 서술방...
2010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 핵심체크
[한국문학][분단문학][해학][자연][한국문학의 논쟁 사례]한국문학의 특질, 한국문학의 교류,...
근대 소설 교육의 실제 - 채만식의 「치숙」, 황순원의 「별」을 중심으로-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초기상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역사왜곡, 제주 ...
[소논문]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 나타난 세대별 여성성의 변화와 지속성
새터민의 현황 및 관련 정책,새터민을 위한 콘텐츠,새터민의 정의,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