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가 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높은 pH에서 EDTA착물은 불안정하다. 금속이온을 두고 OH-와 EDTA가 경쟁하여 금속수산화물이나 수산화물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착화제는 EDTA를 가하기 전 금속이온과 반응해 금속수산화물로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금속-착화제 착물은 금속-EDTA착물보다는 덜 안정해야 한다. 적정하는 동안 보조 착화제는 EDTA에 의해 치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10. TC 20도와 TD20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500ml부피 플라스크에 TC라고 씌여 있을 경우 : 이 플라스크에 500ml의 용액을 부으면 표시선까지 찬다.
500ml부피 플라스크에 TD라고 씌여 있을 경우 : 이 플라스크에 표시선까지 물을 부은 후, 이를 따라내면 500ml이다.
11. 다음 데이터의 (a) 산술평균 (b) 표준편차 그리고 (c) 변동계수(CV)를 구하시오.
1.92 1.94 1.88 1.96ppm
(a) 1.925 ppm
(b) 0.034 ppm
(c) CV=표준편차/평균=0.034/1.925 = 0.0177
12. 10.0μg/ml F- 이온이 들어있는 수돗물 표준시료를 직접 전위차법으로 측정하였더니 9.9, 10.3, 10.5, 9.6, 10.1μg/ml를 얻었다. 측정값의 평균의 상대오차는 얼마인가?
평균=10.08
상대오차(%오차) = (측정값-참값)/참값×100(%)
=(10.08-10)/10×100 = 0.8%
13. 정량분석 시 재현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여러 번 반복 측정하여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본다.
14. 다음 데이터에서 Q-test를 이용하여 95% 신뢰수준에서 216을 버릴 것 인지 결정하시오.
197 200 201 199 216
QT = |216-201| / (216-197) =0.79 > 0.71=Q95
이므로 216을 버린다.
♣2011년 4회
1. 산염기반응에서 종말점 검출해내는 방법(4)
지시약법, 전기전도도법
2. 580nm에서 최대흡수파장 물질의 몰 흡광계수 7.00x103 Lcm-1mol-1, 셀의 길이 12.5mm 농도는 2.22x10-4M일때 흡광도는?(4)
A = εbc
= (7.00x103)×(1.25cm)×(2.22x10-4) = 1.94
3. BaCl2·2H2O (MW 244.3g/mol) 로 0.0740M Cl- 500mL 만드는 방법?(4)
Cl- = 0.0740 × 0.5 = 0.037mol
필요한 g수 = 0.037mol × 0.5 × 244.3 = 4.52g
BaCl2·2H2O 4.52g를 취해서 500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4. 미지시료의 I- 20mL에 0.400M AgNO3 용액 50mL를 넣었다. AgI 침전 여과해 낸 뒤 남은 Ag+를 Fe3+ 지시약 넣고 0.25M KSCN으로 적정했을 때 36mL 필요했다. 미지시료의 I- 농도는?(4)
AgNO3 = 0.4×0.05 = 0.02mol
KSCN = 0.25×0.036 = 0.009mol
I- = 0.02-0.009 = 0.011mol
미지시료속 I- 농도 = 0.011/0.02L = 0.55M
5. 유리관에 Ne, Ar등이 1~5torr 압력으로 채워진 텅스텐 양극과 원통음극으로 이뤄진 광원?(4)
속빈음극등
6. X선 분광법에서의 검출기 종류 3가지(4)
광자계수법, 기체-충전 변환기, 섬광 계수기, 반도체 변환기
7. S/N 를 정수화 시킬 수 있는 방법(4)
Fourier 변환기를 사용하여 분석신호와 잡음을 분리한 뒤 S/N 값 계산
8. 산소의 환원에 대한 2가지 연속반응식을 쓰고 방해 방지를 위한 전처리 과정(5)
9. A물질의 평균 함량이 400mg 이고 분산이 49일때 A함량의 95% 신뢰구간 구하기(4)
s2 = 49이므로 s = ±7 , 따라서 393~407mg
10. 표준물의 성질 네가지?(4)
일차 표준물질의 조건
1) 고순도이고, 순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어야함
2) 공기중에서 안정해야 함
3) 싸고 구하기 쉬워야 함
4) 적정 용액에서 용해도가 적당해야 함
5) 큰 화학식량을 가져야 함
6) 수화물이 없어야 함
11. 12.47 / 12.56 / 12.53 / 12.67 / 12.48 일때 12.67을 버릴지 말지 Q-test로 결정하라. (테이블 Q값은 0.64)(5)
Qtest=|의심값-의심값과 가장 가까운 값| / (제일큰 실험값-제일 작은 실험값)
QT=|12.67-12.56| / (12.67-12.47) = 0.55 < 0.64
이므로 버리지 않아도 된다.
12. 질량측정법의 원리?(4)
분석물을 빠르게 움직이는 이온 상태로 만들어 질량 대 전하비(m/z)에 따라 분리하여 분석한다
13. Nernst식을 이용해 포화 칼로멜 전극이나 수은 염화수은 전극의 전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5)
Nernst 식=
E=E°+RT/nF lnQ
포화에서는 Q=1이기 때문에 E=E°이다. 따라서 전류가 일정하다.
14. 불꽃 원자 흡수 분광법으로 금속시료를 분석할 때에 화학적 방해에 대해서 설명?(5)
화학적 방해는 낮은 휘발성 화합물의 생성, 해리평형, 이온화평형 등으로 일어나는 방해이다. 스펙트럼 방해보다 더 흔히 일어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
이온화억제제를 넣어주어서 전자를 풍부한 환경을 만들어 시료의 이온화를 막는다.
보호제를 넣어주어서 분석물을 안정하게 만든다.
해방제를 넣어주어서 방해물질과 반응하게 만들어 분석물과 방해물질의 반응을 막는다.
♣2012년 1회 A형
1. 시료 전처리 과정의 주요 세 단계를 설명하여라.(4점)
1) 시료 취하기 : 벌크시료 취하기, 실험시료 만들기, 반복 시료 만들기
2) 용액 시료 만들기 : 취한 시료를 용액에 녹여 측정가능한 형태로 만든다
3) 방해물 제거 : 가리움제, 매트릭스 변형제 등으로 방해물을 제거한다.
2. 50ml 0.01M Ca2+용액을 완전히 반응시키려면 0.05M EDTA가 얼마나 필요한가?(5점)
Ca2+와 EDTA는 1:1 반응이다.
NV=N\'V\'=0.01×50=0.05×V\'
V\'=10ml
3. 불꽃 원자화 분석기는 액체시료를 미세한 안개나 에어로졸 형태로 불
높은 pH에서 EDTA착물은 불안정하다. 금속이온을 두고 OH-와 EDTA가 경쟁하여 금속수산화물이나 수산화물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착화제는 EDTA를 가하기 전 금속이온과 반응해 금속수산화물로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금속-착화제 착물은 금속-EDTA착물보다는 덜 안정해야 한다. 적정하는 동안 보조 착화제는 EDTA에 의해 치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10. TC 20도와 TD20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500ml부피 플라스크에 TC라고 씌여 있을 경우 : 이 플라스크에 500ml의 용액을 부으면 표시선까지 찬다.
500ml부피 플라스크에 TD라고 씌여 있을 경우 : 이 플라스크에 표시선까지 물을 부은 후, 이를 따라내면 500ml이다.
11. 다음 데이터의 (a) 산술평균 (b) 표준편차 그리고 (c) 변동계수(CV)를 구하시오.
1.92 1.94 1.88 1.96ppm
(a) 1.925 ppm
(b) 0.034 ppm
(c) CV=표준편차/평균=0.034/1.925 = 0.0177
12. 10.0μg/ml F- 이온이 들어있는 수돗물 표준시료를 직접 전위차법으로 측정하였더니 9.9, 10.3, 10.5, 9.6, 10.1μg/ml를 얻었다. 측정값의 평균의 상대오차는 얼마인가?
평균=10.08
상대오차(%오차) = (측정값-참값)/참값×100(%)
=(10.08-10)/10×100 = 0.8%
13. 정량분석 시 재현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여러 번 반복 측정하여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본다.
14. 다음 데이터에서 Q-test를 이용하여 95% 신뢰수준에서 216을 버릴 것 인지 결정하시오.
197 200 201 199 216
QT = |216-201| / (216-197) =0.79 > 0.71=Q95
이므로 216을 버린다.
♣2011년 4회
1. 산염기반응에서 종말점 검출해내는 방법(4)
지시약법, 전기전도도법
2. 580nm에서 최대흡수파장 물질의 몰 흡광계수 7.00x103 Lcm-1mol-1, 셀의 길이 12.5mm 농도는 2.22x10-4M일때 흡광도는?(4)
A = εbc
= (7.00x103)×(1.25cm)×(2.22x10-4) = 1.94
3. BaCl2·2H2O (MW 244.3g/mol) 로 0.0740M Cl- 500mL 만드는 방법?(4)
Cl- = 0.0740 × 0.5 = 0.037mol
필요한 g수 = 0.037mol × 0.5 × 244.3 = 4.52g
BaCl2·2H2O 4.52g를 취해서 500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4. 미지시료의 I- 20mL에 0.400M AgNO3 용액 50mL를 넣었다. AgI 침전 여과해 낸 뒤 남은 Ag+를 Fe3+ 지시약 넣고 0.25M KSCN으로 적정했을 때 36mL 필요했다. 미지시료의 I- 농도는?(4)
AgNO3 = 0.4×0.05 = 0.02mol
KSCN = 0.25×0.036 = 0.009mol
I- = 0.02-0.009 = 0.011mol
미지시료속 I- 농도 = 0.011/0.02L = 0.55M
5. 유리관에 Ne, Ar등이 1~5torr 압력으로 채워진 텅스텐 양극과 원통음극으로 이뤄진 광원?(4)
속빈음극등
6. X선 분광법에서의 검출기 종류 3가지(4)
광자계수법, 기체-충전 변환기, 섬광 계수기, 반도체 변환기
7. S/N 를 정수화 시킬 수 있는 방법(4)
Fourier 변환기를 사용하여 분석신호와 잡음을 분리한 뒤 S/N 값 계산
8. 산소의 환원에 대한 2가지 연속반응식을 쓰고 방해 방지를 위한 전처리 과정(5)
9. A물질의 평균 함량이 400mg 이고 분산이 49일때 A함량의 95% 신뢰구간 구하기(4)
s2 = 49이므로 s = ±7 , 따라서 393~407mg
10. 표준물의 성질 네가지?(4)
일차 표준물질의 조건
1) 고순도이고, 순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어야함
2) 공기중에서 안정해야 함
3) 싸고 구하기 쉬워야 함
4) 적정 용액에서 용해도가 적당해야 함
5) 큰 화학식량을 가져야 함
6) 수화물이 없어야 함
11. 12.47 / 12.56 / 12.53 / 12.67 / 12.48 일때 12.67을 버릴지 말지 Q-test로 결정하라. (테이블 Q값은 0.64)(5)
Qtest=|의심값-의심값과 가장 가까운 값| / (제일큰 실험값-제일 작은 실험값)
QT=|12.67-12.56| / (12.67-12.47) = 0.55 < 0.64
이므로 버리지 않아도 된다.
12. 질량측정법의 원리?(4)
분석물을 빠르게 움직이는 이온 상태로 만들어 질량 대 전하비(m/z)에 따라 분리하여 분석한다
13. Nernst식을 이용해 포화 칼로멜 전극이나 수은 염화수은 전극의 전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5)
Nernst 식=
E=E°+RT/nF lnQ
포화에서는 Q=1이기 때문에 E=E°이다. 따라서 전류가 일정하다.
14. 불꽃 원자 흡수 분광법으로 금속시료를 분석할 때에 화학적 방해에 대해서 설명?(5)
화학적 방해는 낮은 휘발성 화합물의 생성, 해리평형, 이온화평형 등으로 일어나는 방해이다. 스펙트럼 방해보다 더 흔히 일어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
이온화억제제를 넣어주어서 전자를 풍부한 환경을 만들어 시료의 이온화를 막는다.
보호제를 넣어주어서 분석물을 안정하게 만든다.
해방제를 넣어주어서 방해물질과 반응하게 만들어 분석물과 방해물질의 반응을 막는다.
♣2012년 1회 A형
1. 시료 전처리 과정의 주요 세 단계를 설명하여라.(4점)
1) 시료 취하기 : 벌크시료 취하기, 실험시료 만들기, 반복 시료 만들기
2) 용액 시료 만들기 : 취한 시료를 용액에 녹여 측정가능한 형태로 만든다
3) 방해물 제거 : 가리움제, 매트릭스 변형제 등으로 방해물을 제거한다.
2. 50ml 0.01M Ca2+용액을 완전히 반응시키려면 0.05M EDTA가 얼마나 필요한가?(5점)
Ca2+와 EDTA는 1:1 반응이다.
NV=N\'V\'=0.01×50=0.05×V\'
V\'=10ml
3. 불꽃 원자화 분석기는 액체시료를 미세한 안개나 에어로졸 형태로 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