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1. 구글 기업선정이유
2. 구글 기업소개
1) 구글(GOOGLE)
2) 목표와 사명
3) 기업정보
3. 시장환경분석
1) 미시환경 분석
1-1) COMPANY
① 구글 철학
② Google 기업문화
③ 인재상
④ 비즈니스 모델
1-2) SUPPLIER
① 정의
② 구글과 네이버의 공급자 비교
1-3) 마케팅 중개인① 고객형성
② 스마트폰의 사용
③ 웹사이트 연동
1-4) 고객분석
1-5) 경쟁사분석
2) 거시환경분석
2-1) 문화적 환경
2-2) 경제적환경
2-3) 자연환경
2-4)기술적환경
3) SWOT 분석
3-1)구글의 SWOT 분석
① 강점
② 약점
③ 기회
④ 위협
3-2) 네이버의 SWOT 분석
① 강점
② 약점
③ 기회
④ 위협
4. 고객현황분석
1)시장현황
2) 마케팅 4P전략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3) STP분석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Segment
Targeting
Positioning
5. 새로운 마케팅 경영전략 제안
1) 설문조사 분석
2) 4P전략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6. 결론 및 나의의견
2. 구글 기업소개
1) 구글(GOOGLE)
2) 목표와 사명
3) 기업정보
3. 시장환경분석
1) 미시환경 분석
1-1) COMPANY
① 구글 철학
② Google 기업문화
③ 인재상
④ 비즈니스 모델
1-2) SUPPLIER
① 정의
② 구글과 네이버의 공급자 비교
1-3) 마케팅 중개인① 고객형성
② 스마트폰의 사용
③ 웹사이트 연동
1-4) 고객분석
1-5) 경쟁사분석
2) 거시환경분석
2-1) 문화적 환경
2-2) 경제적환경
2-3) 자연환경
2-4)기술적환경
3) SWOT 분석
3-1)구글의 SWOT 분석
① 강점
② 약점
③ 기회
④ 위협
3-2) 네이버의 SWOT 분석
① 강점
② 약점
③ 기회
④ 위협
4. 고객현황분석
1)시장현황
2) 마케팅 4P전략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3) STP분석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Segment
Targeting
Positioning
5. 새로운 마케팅 경영전략 제안
1) 설문조사 분석
2) 4P전략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6. 결론 및 나의의견
본문내용
4P를 제안하고자 한다.
2-1) PRODUCT
구글은 검색의 우수성과 정보의 질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독 한국에서 만큼은 철저히 외면당하며 검색시장에서 점유율이 2~3% 이하이다. 컴퓨터를 통한 웹페이지는 이미 네이버가 70%이상을 점유 하고 있고, 설문지에서 나온 통계처럼 고객들은 이미 친숙해진 웹페이지에서 굳이 떠날 이유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사용자가 1700만에 달하는 지금 컴퓨터 웹보다 모바일 웹에서는 검색기업의 점유율이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유저수가 점점 늘어가는 지금 모바일은 컴퓨터의 웹 시장보다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시장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실제 수요에 의해서 웹을 방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검색의 정확도와 양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구글이 압도하고 있는 실황이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이와 다름을 인식해야 한다. 하지만 설문결과 한국은 수요나 동기 보다는 1차적 욕구가 가장 많았다. 즉 검색 보다는 콘텐츠 이용을, 콘텐츠 이용보다는 습관적으로 방문해 실시간 검색, 뉴스 등을 본다는 고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웹페이지를 한국 인터넷 문화에 맞는 현지화 전략이 무엇보다 우선시 된다. 따라서 검색품질의 우위와 유투브, 구글어스, 피카사 등의 수많은 구글의 기능 활용하여 구글코리아 모바일 웹페이지에 모든 것이 한국중심이며 한국문화를 위한 편의와 오락성에 맞추어져 메인페이지와 콘텐츠 등을 정비한다면 모바일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2-2) PRICE
IT 검색 업계의 시장은 보통 기존의 제품중심의 시장과는 확연히 다르다. 기본 시장의 구조는 고객이 기업의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돈을 지불하고, 기업은 마케팅 프로모션을 하며 고객은 Needs/wants를 기업에게 보내는 방법이다. 하지만 IT업계의 시장구조는 고객은 검색, 웹 서핑 등을 하여 기업의 페이지뷰를 늘린다. 그러면 기업은 광고주들에게 페이지뷰에 상응 하는 광고비를 책정하고 광고주들은 이를 지불한다. 따라서 고객은 시간이라는 비용을 기업의 포털사이트에 지불하는 것이고 콘텐츠나 웹 서핑 등을 통해 서비스를 누린다.
고객에게 가치는 편익/비용 이다. 따라서 기업은 고객들의 원하는 Needs/wants등을 알아내 고객의 비용인 시간을 최대한 줄여야 할 것이고, 다양한 콘텐츠와 고객들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 편익을 늘려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은 여타 다른 세계의 다른 시장들과 확인히 다름을 인지하고 하나의 도구가 아닌 놀이문화로 받아들여 이를 구성 하여야 한다.
2-3) PROMOTION
처음 구글이 미국에서 널리 퍼지게 한 이유는 학술적인 자료에 있어서 뛰어난 검색 능력을 발휘하여 대학생과 연구원을 중심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또한 구글은 단순한 홍보목적을 지닌 요란하고 무작위적인 광고를 피했다. 대신 입소문마케팅을 이용하였다. 검색서비스가 탁월하다면 많은 비용을 들여 홍보하지 않아도 사용자들이 기꺼이 나서서 구글의 우수성을 알려준다고 믿었다. 충성스런 사용자들이 이메일로 검색결과를 주변에 알려 우수성을 홍보했고 스탠포드 대학에서 열린 축구경기에서 구글의 이름이 새긴 응원도구를 나누어 주는 것과 같은 비용이 적게 드는 홍보를 선호했다. 또한 온라인 상점을 통해 구글 로고가 새겨진 다양한 물품을 팔았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미 네이버가 검색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프로모션은 불가능하고 효과적이지 못하다. 경쟁사인 네이버의 사례를 보면 초창기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모자를 쓴 일반인이 TV광고에 나오고, 녹색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고, 무엇인지 궁금하게 하고, 실제로 젊은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홍대, 대학로, 명동 등에 네이버 모자를 쓴 사람들이 돌아 다니는 등의 프로모션을 하였다. 사업 초기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들에게 익숙해지게하며 기업의 거부감을 줄여 친숙하게 하는 동시에 고객들과의 직.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광고, 홍보, 판촉, 이벤트 등을 집중적으로 하여 구글의 변화를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또한 모든 분야에서 CRM이 중요하겠지만, 특히나 IT검색 분야는 관계마케팅이 아주 중요하다. 그 이유는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비용, 즉 금전적인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빈번하고 고객들의 충성도는 바로 페이지뷰의 숫자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페이지뷰는 기업의 주 수입원인 광고비 수입으로 직결되는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고객 친화적인 마케팅을 해야 하며 충성도가 높은 고객 유치가 기업의 존망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2-4 PLACE
검색시장의 place는 기존의 상품, 서비스의 장소와 달라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장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주 목표는 모바일 웹 검색시장이므로 사용자가 이동하며 모바일을 사용하는 그곳이 된다. 따라서 유통이나 제공 장소가 존재 하지 않아 다루지 않기로 한다.
6. 결론 및 나의의견
현재는 지속가능한 경영의 시대이다. 즉 과거 1회적, 단발적, 입찰적 거래중심인 투자를 하여 최대한 이익을 뽑고 단기적인 공급자들과 거래를 하는 시대가 아니다. SCM의 모형을 보듯 supplier의 공급이 아주 중요해지고 있다. 서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통해 상생경영으로 가야하며 구글의 경우 DB제공자, 뉴스 컨텐츠 제공자, 웹툰 작가등과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관계특유자산을 구축하여 웹툰 작가가 더 높은 질의 웹툰을 만들어 사용자들을 이끌어오고, 뉴스 언론사들이 더 빠른 기사, 정확한 기사 등을 자사에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늘어 결국엔 페이지뷰가 늘어날 것이며 공급자들과 구글 또한 서로 win-win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인력, 즉 인재가 기업의 기술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IT 프로그래머에게 네이버, 구글 어느 곳에서 일하고 싶냐고 물어본다면 당연히 구글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최신의 기술이 있고, 최고의 동료가 있고, 최고의 환경이 있으며, 최고의 급료를 주기
2-1) PRODUCT
구글은 검색의 우수성과 정보의 질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독 한국에서 만큼은 철저히 외면당하며 검색시장에서 점유율이 2~3% 이하이다. 컴퓨터를 통한 웹페이지는 이미 네이버가 70%이상을 점유 하고 있고, 설문지에서 나온 통계처럼 고객들은 이미 친숙해진 웹페이지에서 굳이 떠날 이유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사용자가 1700만에 달하는 지금 컴퓨터 웹보다 모바일 웹에서는 검색기업의 점유율이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유저수가 점점 늘어가는 지금 모바일은 컴퓨터의 웹 시장보다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시장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실제 수요에 의해서 웹을 방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검색의 정확도와 양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구글이 압도하고 있는 실황이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이와 다름을 인식해야 한다. 하지만 설문결과 한국은 수요나 동기 보다는 1차적 욕구가 가장 많았다. 즉 검색 보다는 콘텐츠 이용을, 콘텐츠 이용보다는 습관적으로 방문해 실시간 검색, 뉴스 등을 본다는 고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웹페이지를 한국 인터넷 문화에 맞는 현지화 전략이 무엇보다 우선시 된다. 따라서 검색품질의 우위와 유투브, 구글어스, 피카사 등의 수많은 구글의 기능 활용하여 구글코리아 모바일 웹페이지에 모든 것이 한국중심이며 한국문화를 위한 편의와 오락성에 맞추어져 메인페이지와 콘텐츠 등을 정비한다면 모바일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2-2) PRICE
IT 검색 업계의 시장은 보통 기존의 제품중심의 시장과는 확연히 다르다. 기본 시장의 구조는 고객이 기업의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돈을 지불하고, 기업은 마케팅 프로모션을 하며 고객은 Needs/wants를 기업에게 보내는 방법이다. 하지만 IT업계의 시장구조는 고객은 검색, 웹 서핑 등을 하여 기업의 페이지뷰를 늘린다. 그러면 기업은 광고주들에게 페이지뷰에 상응 하는 광고비를 책정하고 광고주들은 이를 지불한다. 따라서 고객은 시간이라는 비용을 기업의 포털사이트에 지불하는 것이고 콘텐츠나 웹 서핑 등을 통해 서비스를 누린다.
고객에게 가치는 편익/비용 이다. 따라서 기업은 고객들의 원하는 Needs/wants등을 알아내 고객의 비용인 시간을 최대한 줄여야 할 것이고, 다양한 콘텐츠와 고객들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 편익을 늘려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은 여타 다른 세계의 다른 시장들과 확인히 다름을 인지하고 하나의 도구가 아닌 놀이문화로 받아들여 이를 구성 하여야 한다.
2-3) PROMOTION
처음 구글이 미국에서 널리 퍼지게 한 이유는 학술적인 자료에 있어서 뛰어난 검색 능력을 발휘하여 대학생과 연구원을 중심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또한 구글은 단순한 홍보목적을 지닌 요란하고 무작위적인 광고를 피했다. 대신 입소문마케팅을 이용하였다. 검색서비스가 탁월하다면 많은 비용을 들여 홍보하지 않아도 사용자들이 기꺼이 나서서 구글의 우수성을 알려준다고 믿었다. 충성스런 사용자들이 이메일로 검색결과를 주변에 알려 우수성을 홍보했고 스탠포드 대학에서 열린 축구경기에서 구글의 이름이 새긴 응원도구를 나누어 주는 것과 같은 비용이 적게 드는 홍보를 선호했다. 또한 온라인 상점을 통해 구글 로고가 새겨진 다양한 물품을 팔았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미 네이버가 검색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프로모션은 불가능하고 효과적이지 못하다. 경쟁사인 네이버의 사례를 보면 초창기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모자를 쓴 일반인이 TV광고에 나오고, 녹색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고, 무엇인지 궁금하게 하고, 실제로 젊은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홍대, 대학로, 명동 등에 네이버 모자를 쓴 사람들이 돌아 다니는 등의 프로모션을 하였다. 사업 초기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들에게 익숙해지게하며 기업의 거부감을 줄여 친숙하게 하는 동시에 고객들과의 직.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광고, 홍보, 판촉, 이벤트 등을 집중적으로 하여 구글의 변화를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또한 모든 분야에서 CRM이 중요하겠지만, 특히나 IT검색 분야는 관계마케팅이 아주 중요하다. 그 이유는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비용, 즉 금전적인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빈번하고 고객들의 충성도는 바로 페이지뷰의 숫자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페이지뷰는 기업의 주 수입원인 광고비 수입으로 직결되는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고객 친화적인 마케팅을 해야 하며 충성도가 높은 고객 유치가 기업의 존망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2-4 PLACE
검색시장의 place는 기존의 상품, 서비스의 장소와 달라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장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주 목표는 모바일 웹 검색시장이므로 사용자가 이동하며 모바일을 사용하는 그곳이 된다. 따라서 유통이나 제공 장소가 존재 하지 않아 다루지 않기로 한다.
6. 결론 및 나의의견
현재는 지속가능한 경영의 시대이다. 즉 과거 1회적, 단발적, 입찰적 거래중심인 투자를 하여 최대한 이익을 뽑고 단기적인 공급자들과 거래를 하는 시대가 아니다. SCM의 모형을 보듯 supplier의 공급이 아주 중요해지고 있다. 서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통해 상생경영으로 가야하며 구글의 경우 DB제공자, 뉴스 컨텐츠 제공자, 웹툰 작가등과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관계특유자산을 구축하여 웹툰 작가가 더 높은 질의 웹툰을 만들어 사용자들을 이끌어오고, 뉴스 언론사들이 더 빠른 기사, 정확한 기사 등을 자사에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늘어 결국엔 페이지뷰가 늘어날 것이며 공급자들과 구글 또한 서로 win-win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인력, 즉 인재가 기업의 기술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IT 프로그래머에게 네이버, 구글 어느 곳에서 일하고 싶냐고 물어본다면 당연히 구글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최신의 기술이 있고, 최고의 동료가 있고, 최고의 환경이 있으며, 최고의 급료를 주기
추천자료
블로그와 UCC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과 효과
싸이월드의 서비스 및 마케팅전략
싸이월드(CYWORLD)의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분석
NHN 네이버(Naver) 마케팅 전략분석 성공실패요인,향후전망및 과제
아이리버(iriver) 국제마케팅 현황
카카오톡(KakaoTalk) 기업분석, 마케팅 SWOT,STP,4P 전략 및 전략제안 PPT
컴투스 COM2US 기업분석및 컴투스 마케팅전략분석과 문제점 및 컴투스 개선방안 제안
카카오톡 기업분석/카카오톡 해외시장진출 마케팅전략/카카오톡 STP,4P,3C,SWOT분석/카카오톡...
“드림카카오” 웰빙 마케팅 사례 분석
LG전자 스마트폰 옵티머스시리즈 마케팅실패 사례분석과 LG전자 새로운 전략제안
쿠팡(coupang)기업분석과 마케팅 성공요인분석및 쿠팡 문제점분석과 위기극복위한 미래전략제...
애플 vs 삼성전자 경영,마케팅전략 비교분석과 삼성,애플 특허분쟁 사례분석과 두기업 미래전...
APPLE 애플 기업분석과 경영전략/ 애플 마케팅사례와 SWOT,4P전략분석/ 애플의 향후전략제안
네이버 NAVER 성공비결과 SWOTSTP분석및 네이버 마케팅전략과 기업전략분석및 나의의견정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