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로 발음한다면 그 의미가 완전히 달라져 의사소통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온 한국어 발음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발음에 있어서 중요한 받침의 발음 원리를 제시한 후 이를 토대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받침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본론
‘표준발음법’의 ‘받침의 발음’규정은 크게 홑받침의 발음, 겹받침의 발음, /ㅎ/받침의 발음, 받침다음에 모음이 이어지는 경우의 발음으로 제시된다. 이런 받침의 유형과 그 발음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받침의 개수에 따라 홑받침과 쌍받침으로 받침이 하나오는 유형과 받침이 두 개 오는 겹받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받침 다음에 오는 첫소리의 특성으로 \'ㅇ\'으로 표시되는 모음이 오는 유형인데 이는 받침 다음에 오는 말이 낱말의 자격을 갖지 못하는 허사가 오는 유형(꽃을->꼬츨)과 받침 다음에 낱말이 오는 유형(밭안->바단)으로 나눌 수 있다.
\'ㄲ,ㅆ\'과 같은 쌍받침은 \'ㅊ\'과 같은 홑받침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꽃을[꼬츨], 낚어[나꺼]\'와 같이 이 두 받침 유형은 받침이 한 덩어리로 작용하여 모두 다음 소리로 이어서 읽으나 \'읽어[일거]\'와 같이 겹받침은 위의 소리 하나만 다음소리로 이어서 읽는다는 점에서 구별되기 때문이다
위의 분류와 별도로 받침 다음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소리가 오는 유형이 있다 .각 유형에 따라 발음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연습하는 방법도 달라야 한다.
받침다음에 모음이 오는 유형에서는 받침소리가 변하지 않는 형태(꽃을->꼬츨) 와 변하는 형태(밭안->바단, 꽃과->
2.본론
‘표준발음법’의 ‘받침의 발음’규정은 크게 홑받침의 발음, 겹받침의 발음, /ㅎ/받침의 발음, 받침다음에 모음이 이어지는 경우의 발음으로 제시된다. 이런 받침의 유형과 그 발음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받침의 개수에 따라 홑받침과 쌍받침으로 받침이 하나오는 유형과 받침이 두 개 오는 겹받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받침 다음에 오는 첫소리의 특성으로 \'ㅇ\'으로 표시되는 모음이 오는 유형인데 이는 받침 다음에 오는 말이 낱말의 자격을 갖지 못하는 허사가 오는 유형(꽃을->꼬츨)과 받침 다음에 낱말이 오는 유형(밭안->바단)으로 나눌 수 있다.
\'ㄲ,ㅆ\'과 같은 쌍받침은 \'ㅊ\'과 같은 홑받침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꽃을[꼬츨], 낚어[나꺼]\'와 같이 이 두 받침 유형은 받침이 한 덩어리로 작용하여 모두 다음 소리로 이어서 읽으나 \'읽어[일거]\'와 같이 겹받침은 위의 소리 하나만 다음소리로 이어서 읽는다는 점에서 구별되기 때문이다
위의 분류와 별도로 받침 다음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소리가 오는 유형이 있다 .각 유형에 따라 발음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연습하는 방법도 달라야 한다.
받침다음에 모음이 오는 유형에서는 받침소리가 변하지 않는 형태(꽃을->꼬츨) 와 변하는 형태(밭안->바단, 꽃과->
추천자료
북한의 한글 맞춤법
통신언어 신조어에 대하여
남북언어이질화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6단원 생활국어 예상문제(교사용)
[우리말][우리글][오용사례][우리말 오용][우리글 오용][일본어 잔재][방송언어 오남용][국어...
강원도 방언 연구
우리말 오용실태조사
북한의 언어
언어와 사회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중세국어문법론(안병희) 정리본
언어규범과 맞춤법
[한글맞춤법, 맞춤법, 띄어쓰기, 띄어쓰기 오용, 국어, 한글]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
[성경총론]성경의 사본과 역본 - 구약 사본, 신약 사본, 구약의 고대 역본, 신약의 고대 역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