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지도론][외래어 표기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사지도론][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외래어란
2. 외래어 표기법
 2.1. 외래어 표기법의 개념
 2.2. 외래어 표기법의 제정 과정
 2.3.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3. 표기 일람표, 표기 세칙, 인명․지명 표기의 원칙
 3.1. 표기 일람표
 3.2. 표기 세칙
 3.3. 인명․지명 표기의 원칙
4. 말레이인도네시아 표기법
 4.1. 일러두기
 4.2. 외래어 표기법(2004)에 추가된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표기법의 특징
 4.3. 말레이인도네시아 표기법 표기 세칙
 4.4. 말레이인도네시아 표기법 표기 세칙의 문제점

본문내용

리가 사용하는 한글 24자모만을 사용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것은 새로운 규정의 제정에 대한 부담이나 사용상의 불편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외래어는 우리 국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둔다.
제 2항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fighting : 화이팅 → 파이팅
file : 화일 → 파일
fantasia : 환타지아 → 판타지아
가령 영어의 [f]를 국어에서 \'ㅍ\'과 ‘ㅎ’의 두 가지로 적도록 한다면 어떤 조건에서 \'ㅍ\'이 되고, 어떤 조건에서 ‘ㅎ’이 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를 기억하고 적용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본항의 규정은 외래어의 표기도 <한글 맞춤법>과 같이 통일성 있게 표기하자는 취지에 기인한다. 국어의 표기가 하나의 음운에 대하여 하나의 기호로 나타내고 있는 사실을 생각하면 이해가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이 어긋나는 경우도 생기기 마련이다. 실제로 2장 표기 일람표 중 ‘국제 음성기호와 한글대조표’를 보면 많은 외래어 음운들이 둘 이상의 음운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항에서 ‘원칙적으로’ 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그런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pulp, shop’이 ‘펄프, 숍’으로 표기되는 것과 같이 영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의 음운 ‘p’는 ‘ㅍ,프,ㅂ\'으로 소리가 난다.
제 3항 받침에는 ‘ㄱㄴㄹㅁㅂㅅㅇ’만을 쓴다.
받침 표기에서의 이러한 제한 규정은 외래어에만 있으며, 고유어나 한자어에는 없다. 이러한 받침 표기 제한 규정을 외래어에 한해서 두는 것은 받침에서의 소리가 외래어와 고유어 및 한자어 사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가 채택하고 있는 맞춤법의 기본적인 원리는 어휘 형태소인 경우에 기본형의 형태를 고정시켜 적는 형태음소주의이다. 고유어나 한자어를 표기할 때 외래어에서는 쓰지 않는 자음들을 받침으로 쓰는 이유는 이들 자음이 모음 앞에 올 때는 기본형의 모든 음절말 자음이 드러나서 그 음가대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래어의 경우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도 형태 음소적인 현상을 보이지 않고, 이 항에 제시된 일곱 개의 자음만 실현되므로 일곱 개의 자음만으로 표기하는 표음주의 원리를 채택한 것이다. ‘shop’을 ‘숍’으로 표기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특히 주의할 것은 국어의 음절말 자음으로는 ‘ㄷ’이 있으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ㄷ’대신에 ‘ㅅ’이 있다는 점이다.
coffee shop : 커피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02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