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치의 어원
2. 김치의 역사와 특성
1) 김치의 시작
2) 김치의 변천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3) 지방별 김치의 특성
(1) 강원도
(2) 경기도
(3) 경상도
(4) 서울
(5) 전라도
(6) 제주도
(7) 충청도
(8) 평안도
(9) 함경도
(10) 황해도
3. 고추
4. 젓갈
1) 젓갈이란
2) 젓갈의 기원
3) 젓갈의 종류
참고문헌
1. 김치의 어원
2. 김치의 역사와 특성
1) 김치의 시작
2) 김치의 변천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3) 지방별 김치의 특성
(1) 강원도
(2) 경기도
(3) 경상도
(4) 서울
(5) 전라도
(6) 제주도
(7) 충청도
(8) 평안도
(9) 함경도
(10) 황해도
3. 고추
4. 젓갈
1) 젓갈이란
2) 젓갈의 기원
3) 젓갈의 종류
참고문헌
1. 김치의 어원
본문내용
등이 있다.
(10) 황해도
간은 중간정도이며 독특한 맛을 내는 고수(미나리과에 속하는 1년생 풀)와 분디(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의 열매. 원형으로 유지의 원료와 식용, 약재로 쓰이며,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고 있다)를 쓰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재료들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배추김치에는 고수가 좋고 호박김치에는 분디가 제일이다”는 말이 있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동치미, 감김치, 고수김치, 호박김치 등이 있다.
3. 고추
고추는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하였다.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재배하는데,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에는 담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한국인의 식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 들어온 내력에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조선 사람을 독한 고추로 독살하려고 가져왔으나 이로 인하여 오히려 한민족이 고추를 즐기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일본의 여러 문헌에는 고추가 임진왜란 때 한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이재위(李裁威)는 《몽유(蒙纜)》(1850년대)에 북호(北胡)에서 들어왔다고 기록하였다. 민간에서는 장을 담근 뒤 독 속에 붉은 고추를 집어넣거나 아들을 낳으면 왼새끼 줄에 붉은 고추와 숯을 걸어 악귀를 쫓았다.
열매는 수분이 적은 원뿔 모양 장과로 8∼10월에 익는다. 붉게 익은 열매는 말려서 향신료로 쓰고 관상용·약용(중풍·신경통·동상 등)으로도 쓴다. 잎은 나물로 먹고 풋고추는 조려서 반찬으로 하거나 부각으로 만들어 먹는다. 고추의 매운맛은 캅사이신(C18H27O3N)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 때문이며 붉은 색소의 성분은 주로 캅산틴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달걀 모양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톱니가 없다.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흰 꽃이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는데, 꽃받침은 녹색이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진다. 화관은 접시처럼 생겼고 지름 12∼18mm이다. 수술은 5개가 가운데로 모여 달리고 꽃밥은 노란색이다. 씨방은 2∼3실이다.
4. 젓갈
1) 젓갈이란
젓갈(salted-fermented sea foods)은 어패류의 육.내장 등에 식염을 가하여 부패를 억제하면서 자기소화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원료를 적당히 분해시켜 숙성시킨 음식을 말합니다.
젓갈은 어패류를 염장법으로 담근 것으로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합니다. 여러 생선과 새우, 조개 등에 소금을 약 20% 섞어서 절여 얼마동안 저장하면 특유의 맛과 향을 내게 됩니다.
젓갈은 숙성기간중에 자체에 있는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이 발효하면서 생기는 유기아미노산과 핵산분해 산물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특유의 감칠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작은 생선의 뼈나 새우, 갑각류의 껍질은 숙성 중에 연해져서 칼슘의 좋은 급원식품이 되기도 합니다.
음식의 간은 기후에 따라 달라지는데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방은 입맛이 중간정도이며, 추운 북쪽지방으로 갈수록 싱겁게 먹고, 따뜻한 남쪽지방에서는 짜게 먹습니다. 그래서 짠맛이 강한 젓갈은 남쪽지방에서 특히 발달하였고, 북쪽지방에서는 저염도의 젓갈류가 발달하였습니다.
2) 젓갈의 기원
기원전 3~5세기경 쓰여진 중국의 고사전 “이아”라는 책에 젓갈을 뜻하는 “지”자의 기록이 있다. “지”자는 생선으로 만든 젓갈이라는 뜻으로 젓갈에 관하여 나타난 문허상 최고의 기록이다.
어류의 내장을 이용해 젓갈을 담그는 이 기록은 오늘날 창란젓의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그 당시 이미 젓갈 제조방법이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해왔음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궁중 의례 음식으로 “해”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제민 요술은 한나라의 무제가 동이(동이족)을
(10) 황해도
간은 중간정도이며 독특한 맛을 내는 고수(미나리과에 속하는 1년생 풀)와 분디(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의 열매. 원형으로 유지의 원료와 식용, 약재로 쓰이며,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고 있다)를 쓰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재료들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배추김치에는 고수가 좋고 호박김치에는 분디가 제일이다”는 말이 있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동치미, 감김치, 고수김치, 호박김치 등이 있다.
3. 고추
고추는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하였다.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재배하는데,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에는 담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한국인의 식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 들어온 내력에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조선 사람을 독한 고추로 독살하려고 가져왔으나 이로 인하여 오히려 한민족이 고추를 즐기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일본의 여러 문헌에는 고추가 임진왜란 때 한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이재위(李裁威)는 《몽유(蒙纜)》(1850년대)에 북호(北胡)에서 들어왔다고 기록하였다. 민간에서는 장을 담근 뒤 독 속에 붉은 고추를 집어넣거나 아들을 낳으면 왼새끼 줄에 붉은 고추와 숯을 걸어 악귀를 쫓았다.
열매는 수분이 적은 원뿔 모양 장과로 8∼10월에 익는다. 붉게 익은 열매는 말려서 향신료로 쓰고 관상용·약용(중풍·신경통·동상 등)으로도 쓴다. 잎은 나물로 먹고 풋고추는 조려서 반찬으로 하거나 부각으로 만들어 먹는다. 고추의 매운맛은 캅사이신(C18H27O3N)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 때문이며 붉은 색소의 성분은 주로 캅산틴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달걀 모양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톱니가 없다.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흰 꽃이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는데, 꽃받침은 녹색이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진다. 화관은 접시처럼 생겼고 지름 12∼18mm이다. 수술은 5개가 가운데로 모여 달리고 꽃밥은 노란색이다. 씨방은 2∼3실이다.
4. 젓갈
1) 젓갈이란
젓갈(salted-fermented sea foods)은 어패류의 육.내장 등에 식염을 가하여 부패를 억제하면서 자기소화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원료를 적당히 분해시켜 숙성시킨 음식을 말합니다.
젓갈은 어패류를 염장법으로 담근 것으로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합니다. 여러 생선과 새우, 조개 등에 소금을 약 20% 섞어서 절여 얼마동안 저장하면 특유의 맛과 향을 내게 됩니다.
젓갈은 숙성기간중에 자체에 있는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이 발효하면서 생기는 유기아미노산과 핵산분해 산물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특유의 감칠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작은 생선의 뼈나 새우, 갑각류의 껍질은 숙성 중에 연해져서 칼슘의 좋은 급원식품이 되기도 합니다.
음식의 간은 기후에 따라 달라지는데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방은 입맛이 중간정도이며, 추운 북쪽지방으로 갈수록 싱겁게 먹고, 따뜻한 남쪽지방에서는 짜게 먹습니다. 그래서 짠맛이 강한 젓갈은 남쪽지방에서 특히 발달하였고, 북쪽지방에서는 저염도의 젓갈류가 발달하였습니다.
2) 젓갈의 기원
기원전 3~5세기경 쓰여진 중국의 고사전 “이아”라는 책에 젓갈을 뜻하는 “지”자의 기록이 있다. “지”자는 생선으로 만든 젓갈이라는 뜻으로 젓갈에 관하여 나타난 문허상 최고의 기록이다.
어류의 내장을 이용해 젓갈을 담그는 이 기록은 오늘날 창란젓의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그 당시 이미 젓갈 제조방법이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해왔음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궁중 의례 음식으로 “해”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제민 요술은 한나라의 무제가 동이(동이족)을
추천자료
[윷][윷놀이][윷가락][윷의 종류][윷놀이의 종류][윷가락의 의미][윷놀이의 방법][윷놀이에 ...
[장승][장생][장승의 개념][장승의 종류][장승의 형태][장승의 역할][장승과 장생]장승의 개...
[화학][화학적][모발][물][내층세포][단백질합성][유전자][생명]모발의 화학적 성질, 물의 화...
[화석, 화석 개념, 화석 특징, 화석 보존, 화석 중요성, 화석 종류, 화석 기록, 화석 증거]화...
[가치][가치 정의][가치 속성][가치 체계][가치 종류][가치 조사방법]가치의 정의, 가치의 속...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인간본성에 대한 관점과 정신분석 치료 모델 - 정신분석치료 모델의 역...
개인대상의 실천과 가족대상의 실천 - 개인대상 실천의 기원과 실천준거틀 및 특징과 실천과...
[한국문화사] <쌀> 쌀의 사회사 - 벼의 기원과 전래, 농경의 시작(우경과 농기구), 이앙법, ...
[한국문화사] <쌀> 쌀과 우리생활 - 벼의 기원과 전래, 농기구 발전과 소사용, 이앙법, 일제...
[한국문화사] 조선 시대 의복의 역사 - 의복, 옷의 기원, 조선시대 여성의 옷, 조선시대 남성...
[기말보고서 국제NGO] 비아 캄페시나 (비아 캄페시나란 어떤 단체인가?, 역사적 기원 및 성장...
배구(Volley Ball/排球)에 대하여 (배구 상식, 기원, 역사, 시설, 용구, 규칙, 기술, 에티켓,...
[복지국가의 발전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복지국가 개념, 복지국가 도입, 복지국가 ...
[경찰학(警察學/Polizei Wissenschaft)의 의의] 경찰학의 기원과 성격, 경찰학 학문적 체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