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송언어
(1) 잘못된 방송언어의 예
① 잘못된 단어, 어휘
② 잘못된 표현법
③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④ 잘못된 발음
⑤ 기타
⑥ 잘못된 자막
(2) 잘못이 중첩된 예
① 잘못된 표현법 +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②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발음
③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④ 잘못된 발음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⑤ 잘못된 발음 + 외래어, 외국어 남용
(3) 잘못된 방송언어에 대한 분석
2. 통신언어 (외계어)
3. 분석
(1) 잘못된 방송언어의 예
① 잘못된 단어, 어휘
② 잘못된 표현법
③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④ 잘못된 발음
⑤ 기타
⑥ 잘못된 자막
(2) 잘못이 중첩된 예
① 잘못된 표현법 +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②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발음
③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④ 잘못된 발음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⑤ 잘못된 발음 + 외래어, 외국어 남용
(3) 잘못된 방송언어에 대한 분석
2. 통신언어 (외계어)
3. 분석
본문내용
방송 언어와 통신 언어의 비교
목차
1. 방송언어
(1) 잘못된 방송언어의 예
① 잘못된 단어, 어휘
② 잘못된 표현법
③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④ 잘못된 발음
⑤ 기타
⑥ 잘못된 자막
(2) 잘못이 중첩된 예
① 잘못된 표현법 +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②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발음
③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④ 잘못된 발음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⑤ 잘못된 발음 + 외래어, 외국어 남용
(3) 잘못된 방송언어에 대한 분석
2. 통신언어 (외계어)
3. 분석
1. 방송언어
이 장에서는 구체적으로 TV 프로그램에 등장한 방송언어의 실례를 하나 하나 살펴보고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진단하는 자리를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2001년 11월 18일 일요일 오후 6시 10분~7시 50분에 방송된 193 회 KBS 2TV SUPER TV 일요일은 즐거워 프로그램으로 진행자는 강호동, 이휘재, 유재석 입니다.
(1) 잘못된 방송언어의 예
① 잘못된 단어, 어휘
저 눈빛이랑 이 눈빛이랑 이렇게 틀립니다>저 눈빛과 이 눈빛은 이렇게 다릅니다(강호동)
: 여기서 ‘틀리다’ 는 품사가 \'동사\'로서, 반의어에 해당하는 낱말이 \'맞다\'이고,
‘다르다’ 는 품사가 \'형용사\'로서, 반의어에 해당하는 낱말이 \'같다\'로 혼동해서 쓰
고 있지만 엄연히 다른 어휘이다.
세문제를 다 맞춘 일본 대표>세 문제를 다 맞힌 일본 대표(자막)
: 여기서 맞추다는 ①서로 꼭 맞도록 하다〈보조를 맞추다〉
②서로 마주대다〈입을 맞추다〉
③결합하다〈뜯은 기계를 맞추다〉
④정도에 알맞게 하다〈간을 맞추다〉
⑤마음에 들도록 하다〈비위를 맞추다〉
⑥순서를 고르게 하거나 짝을 채우다〈짝을 맞추다〉
⑦(일정한 규격이나 치수, 양의 물건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에게 맡 겨 만들게 하다〈양복을 맞추다 / 구두를 맞추다〉
따위의 뜻을 이르는 말이다.
즉, 맞추다는
「어떤 것을 다른 것과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시험을 본 후에 시험의 답을 정답이나 다른 사람의 답과 비교해 보는 것을 이른다. 」는 뜻이고
맞히다는
「문제에 대한 답을 정답이 되게 대다. 시험이나 퀴즈에서 제시한 답이 정답과 일치함을 이른다. 」는 뜻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혼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② 잘못된 표현법
독특한 의상과 분장의 젊은이들의 집합소 > 독특한 의상과 분장을 한 젊은이들의 집합소(자막)
멋진 남자를 선발하도록 하겠습니다> 멋진 남자를 선발 하겠습니다(강호동)
저희들이 인정 안 됩니다>저희들은 인정 못 합니다(강호동)
두 번째 문제는
목차
1. 방송언어
(1) 잘못된 방송언어의 예
① 잘못된 단어, 어휘
② 잘못된 표현법
③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④ 잘못된 발음
⑤ 기타
⑥ 잘못된 자막
(2) 잘못이 중첩된 예
① 잘못된 표현법 + 외래어, 외국어 남용
②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발음
③ 잘못된 표현법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④ 잘못된 발음 + 잘못된 단어, 어휘 사용
⑤ 잘못된 발음 + 외래어, 외국어 남용
(3) 잘못된 방송언어에 대한 분석
2. 통신언어 (외계어)
3. 분석
1. 방송언어
이 장에서는 구체적으로 TV 프로그램에 등장한 방송언어의 실례를 하나 하나 살펴보고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진단하는 자리를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2001년 11월 18일 일요일 오후 6시 10분~7시 50분에 방송된 193 회 KBS 2TV SUPER TV 일요일은 즐거워 프로그램으로 진행자는 강호동, 이휘재, 유재석 입니다.
(1) 잘못된 방송언어의 예
① 잘못된 단어, 어휘
저 눈빛이랑 이 눈빛이랑 이렇게 틀립니다>저 눈빛과 이 눈빛은 이렇게 다릅니다(강호동)
: 여기서 ‘틀리다’ 는 품사가 \'동사\'로서, 반의어에 해당하는 낱말이 \'맞다\'이고,
‘다르다’ 는 품사가 \'형용사\'로서, 반의어에 해당하는 낱말이 \'같다\'로 혼동해서 쓰
고 있지만 엄연히 다른 어휘이다.
세문제를 다 맞춘 일본 대표>세 문제를 다 맞힌 일본 대표(자막)
: 여기서 맞추다는 ①서로 꼭 맞도록 하다〈보조를 맞추다〉
②서로 마주대다〈입을 맞추다〉
③결합하다〈뜯은 기계를 맞추다〉
④정도에 알맞게 하다〈간을 맞추다〉
⑤마음에 들도록 하다〈비위를 맞추다〉
⑥순서를 고르게 하거나 짝을 채우다〈짝을 맞추다〉
⑦(일정한 규격이나 치수, 양의 물건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에게 맡 겨 만들게 하다〈양복을 맞추다 / 구두를 맞추다〉
따위의 뜻을 이르는 말이다.
즉, 맞추다는
「어떤 것을 다른 것과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시험을 본 후에 시험의 답을 정답이나 다른 사람의 답과 비교해 보는 것을 이른다. 」는 뜻이고
맞히다는
「문제에 대한 답을 정답이 되게 대다. 시험이나 퀴즈에서 제시한 답이 정답과 일치함을 이른다. 」는 뜻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혼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② 잘못된 표현법
독특한 의상과 분장의 젊은이들의 집합소 > 독특한 의상과 분장을 한 젊은이들의 집합소(자막)
멋진 남자를 선발하도록 하겠습니다> 멋진 남자를 선발 하겠습니다(강호동)
저희들이 인정 안 됩니다>저희들은 인정 못 합니다(강호동)
두 번째 문제는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과학] 통신 언어의 특징과 문제점과 전망
통신 언어의 구조와 대면 대화와의 차이점 고찰
통신 언어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
통신 언어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
(언어와생활2공통) 교재 1장을 참고,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 각 예들에서 어떤 표현...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언어와생활]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