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7. 가용자원에 대해 가족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8. 가족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한다.
1.가족과의 면담을 통해 가족 구성, 가족이 대처행위, 의사소통 양상, 환자 건강문제에 대한 가족의 자세 등을 파악한다.
2. 가족들과의 우회적인 관계를 통해 환자가족구성원들이 처해있는 감정이나 문제점을 사정하도록 한다. 이는 모두 비밀이 보장된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한다.
3. 환자의 질병, 치료, 간호방법, 예후에 대해 가족에게 교육한다.
4. 가족과의 시간 약속 후 가족들의 편의대로 가족회의를 통해 가족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고 정보제공할 기회를 마련하도록 한다.
5. 가족원들이 모여 환자간호에 대해 스스로 계획하고 분담하여 상호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6. 원활한 가족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간의 서로 역할을 재분담하여 환자의 간호에 부담감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7. 상담소 등에 적절한 문제를 의뢰하여 협조를 받고 정보를 교류한다.
8. 의사소통기술,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건전한 가족의 기능 등에 교육하도록 한다.
1. 가족 모두가 환자를 찾는 일이 잘 없어 모두와의 면담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지만 가족구성(어머니, 누나2명), 의사소통양상(대체적으로 가족 간에 무뚝뚝한 것으로 보임.), 환자 건강문제에 대한 가족의 자세(대상자의 처지와 환경을 안타까워하면서도 답답해함.) 등을 짐작할 수 있었다.
2. 아직 학생간호사라 가족의 사사로운 이야기까지 말씀해주지 않으셔서 가족들이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다는 사실 이외의 평소 가족들의 생활패턴, 상태에 대한 사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3. 병실에 배치된 유인물을 통해 상세히 가족들에게 질병과 수술 과정0 예후 등에 대해 설명해드렸으며 현재 대상자에게 중요한 간호문제에 대해 말씀드렸더니 환자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좋았다고 하셨다.
4. 가족과의 면담이 어려워 어머니에게 ‘가족회의’의 장점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이를 실행할 것임을 권해드렸지만 모임자체가 어렵다고 말씀하셨다.
5. 6. 가족회의를 하시게 된다면 서로의 생활패턴을 비교해보고 환자 간호를 중심으로 부담하하시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 결과적으로 어머니께서 환자가 보행가능할 때까지 일을 쉬시기로 하셨다.
7. 병원 내 ‘사회사업실’이 있으며 이곳에서 환자와 그 가족의 심리적 지지와 의료비 지원가능여부 등을 알 수 있음을 알려드렸으며 혹시 관심이 있으시면 간호사 선생님께 알려줘야 한다고 말씀 드렸다.
8. 가족간의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서는 ‘많이 어색하고 우리는 그런 것 잘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이 문제는 환자뿐 아니라 그의 가족과 심지어는 다른 지지체계까지 알아보고 사정하며 계획하고 수행해야하는 일이라 많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나 가족들을 잘 마주칠 수 없었고, 함께 모여있는 것을 보기 어려웠으며 가족과의 라뽀형성이 잘 되지 않았다. 그렇기때문에 대상자와 가족원들에게 자신들의 ‘가족’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힘들었고 그에 따라 제대로된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Problem No. 1: 질병과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위험성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대상자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말로 표현을 한다.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환자에 대해 공감적 태도를 취한다
2.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3. 질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4. 환자의 감정표현을 돕는다.
5. 지지체계를 찾는다.
6 환자에 대한 관심을 표현한다.
7. 환자의 기능수준을 평가한다.
8. 자가간호 활동이 증가되었을 때 격려해준다.
1. 환자의 말에 비판적인 태도보다는 공감하고 함께 느낀다는 말과 행동을 취한다.
2. 환자로 하여금 간호사가 자신의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느끼도록 한다.
3. 환자가 질병의 특성과 치료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정상적인 치료과정 중에 있음을 인지시킨다.
4. 환자에게 현재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고 질문함으로써 유도한다.
5. 환자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다른 환자나 혹은 다른 사회기관과 연계를 해주거나 가족이 환자의 지지체계가 될 수 있게끔 가족들과 환자의 건강한 관계형성을 돕는다.
6. 가족 및 간호사 등이 환자와 그 질병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7. 환자가 홀로 수행할 수 있는 자가간호수준을 사정한다.
8. 환자의 자가간호가 수행되었을 때 가족들에게 큰 칭찬과 격려가 필요함을 알린다.
1. 2. 3. 대상자가 하는 말에 공감하고 경청하는 태도를 취하기 위해 대상자와 함께 질병, 수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특히나 교육안(운동, 퇴원, 회복 주의점)을 보시고 잘 시행하겠다고 하셨다.
4. V/S을 측정하거나 환자와 이야기할 수 있을 때 통증의 여부나 오늘 기분이 어떤가에 대해 여쭈어보았다. 허나 대상자가 ‘아프다’, ‘괜찮다.’ 등의 짧은 대답을 하셨다.
5. 같은 병실에 같은 질병과 같은 수술한 환자분이 있어서 교육안을 설명해드리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6. 질병, 수술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에 알고 있는 지식을 전하려 하였고, 대상자를 위한 간호 수행시 그 이유 등을 설명해드렸다.
7. 8. 대상자의 가족에게 대상자가 order대로 침상밖을 벗어나 휠체어를 탄다든지, 재활운동을 열심히 한다든지의 모습을 보이면 칭찬이 필요함을 설명해드렸다. 가족은 표현하도록 하겠다고 말씀하셨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이 간호수행을 통해 대상자는 질병과 수술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알지 못하고 받는 간호보다 알고 나서 받는 간호가 더욱 잘 협조하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허나 애초에 계획했던 대상자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것보다는 많은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 대화 주제를 찾지 못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한 것만으로 끝났다는 것이 아쉽다.
8. 가족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한다.
1.가족과의 면담을 통해 가족 구성, 가족이 대처행위, 의사소통 양상, 환자 건강문제에 대한 가족의 자세 등을 파악한다.
2. 가족들과의 우회적인 관계를 통해 환자가족구성원들이 처해있는 감정이나 문제점을 사정하도록 한다. 이는 모두 비밀이 보장된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한다.
3. 환자의 질병, 치료, 간호방법, 예후에 대해 가족에게 교육한다.
4. 가족과의 시간 약속 후 가족들의 편의대로 가족회의를 통해 가족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고 정보제공할 기회를 마련하도록 한다.
5. 가족원들이 모여 환자간호에 대해 스스로 계획하고 분담하여 상호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6. 원활한 가족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간의 서로 역할을 재분담하여 환자의 간호에 부담감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7. 상담소 등에 적절한 문제를 의뢰하여 협조를 받고 정보를 교류한다.
8. 의사소통기술,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건전한 가족의 기능 등에 교육하도록 한다.
1. 가족 모두가 환자를 찾는 일이 잘 없어 모두와의 면담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지만 가족구성(어머니, 누나2명), 의사소통양상(대체적으로 가족 간에 무뚝뚝한 것으로 보임.), 환자 건강문제에 대한 가족의 자세(대상자의 처지와 환경을 안타까워하면서도 답답해함.) 등을 짐작할 수 있었다.
2. 아직 학생간호사라 가족의 사사로운 이야기까지 말씀해주지 않으셔서 가족들이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다는 사실 이외의 평소 가족들의 생활패턴, 상태에 대한 사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3. 병실에 배치된 유인물을 통해 상세히 가족들에게 질병과 수술 과정0 예후 등에 대해 설명해드렸으며 현재 대상자에게 중요한 간호문제에 대해 말씀드렸더니 환자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좋았다고 하셨다.
4. 가족과의 면담이 어려워 어머니에게 ‘가족회의’의 장점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이를 실행할 것임을 권해드렸지만 모임자체가 어렵다고 말씀하셨다.
5. 6. 가족회의를 하시게 된다면 서로의 생활패턴을 비교해보고 환자 간호를 중심으로 부담하하시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 결과적으로 어머니께서 환자가 보행가능할 때까지 일을 쉬시기로 하셨다.
7. 병원 내 ‘사회사업실’이 있으며 이곳에서 환자와 그 가족의 심리적 지지와 의료비 지원가능여부 등을 알 수 있음을 알려드렸으며 혹시 관심이 있으시면 간호사 선생님께 알려줘야 한다고 말씀 드렸다.
8. 가족간의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서는 ‘많이 어색하고 우리는 그런 것 잘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이 문제는 환자뿐 아니라 그의 가족과 심지어는 다른 지지체계까지 알아보고 사정하며 계획하고 수행해야하는 일이라 많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나 가족들을 잘 마주칠 수 없었고, 함께 모여있는 것을 보기 어려웠으며 가족과의 라뽀형성이 잘 되지 않았다. 그렇기때문에 대상자와 가족원들에게 자신들의 ‘가족’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힘들었고 그에 따라 제대로된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Problem No. 1: 질병과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위험성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대상자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말로 표현을 한다.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환자에 대해 공감적 태도를 취한다
2.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3. 질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4. 환자의 감정표현을 돕는다.
5. 지지체계를 찾는다.
6 환자에 대한 관심을 표현한다.
7. 환자의 기능수준을 평가한다.
8. 자가간호 활동이 증가되었을 때 격려해준다.
1. 환자의 말에 비판적인 태도보다는 공감하고 함께 느낀다는 말과 행동을 취한다.
2. 환자로 하여금 간호사가 자신의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느끼도록 한다.
3. 환자가 질병의 특성과 치료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정상적인 치료과정 중에 있음을 인지시킨다.
4. 환자에게 현재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고 질문함으로써 유도한다.
5. 환자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다른 환자나 혹은 다른 사회기관과 연계를 해주거나 가족이 환자의 지지체계가 될 수 있게끔 가족들과 환자의 건강한 관계형성을 돕는다.
6. 가족 및 간호사 등이 환자와 그 질병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7. 환자가 홀로 수행할 수 있는 자가간호수준을 사정한다.
8. 환자의 자가간호가 수행되었을 때 가족들에게 큰 칭찬과 격려가 필요함을 알린다.
1. 2. 3. 대상자가 하는 말에 공감하고 경청하는 태도를 취하기 위해 대상자와 함께 질병, 수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특히나 교육안(운동, 퇴원, 회복 주의점)을 보시고 잘 시행하겠다고 하셨다.
4. V/S을 측정하거나 환자와 이야기할 수 있을 때 통증의 여부나 오늘 기분이 어떤가에 대해 여쭈어보았다. 허나 대상자가 ‘아프다’, ‘괜찮다.’ 등의 짧은 대답을 하셨다.
5. 같은 병실에 같은 질병과 같은 수술한 환자분이 있어서 교육안을 설명해드리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6. 질병, 수술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에 알고 있는 지식을 전하려 하였고, 대상자를 위한 간호 수행시 그 이유 등을 설명해드렸다.
7. 8. 대상자의 가족에게 대상자가 order대로 침상밖을 벗어나 휠체어를 탄다든지, 재활운동을 열심히 한다든지의 모습을 보이면 칭찬이 필요함을 설명해드렸다. 가족은 표현하도록 하겠다고 말씀하셨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이 간호수행을 통해 대상자는 질병과 수술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알지 못하고 받는 간호보다 알고 나서 받는 간호가 더욱 잘 협조하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허나 애초에 계획했던 대상자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것보다는 많은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 대화 주제를 찾지 못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한 것만으로 끝났다는 것이 아쉽다.
추천자료
특수 진단 검사
전자하 대퇴골절
OS약어 및 주요진단명
중족골 골절 case study
골반 골절 케이스 plevic fracture
OS- 골관절염(Osteoarthritis) 케이스
Fracture (골절)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fracture(femur fracture) CASE
Case Study-골절
보조기학과 의지학 종료
생체공학 - 유무기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한 경조직
치위생사 국가고시 대비자료 <구강외과학>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A+받은 자료입니다.
전고관절대치술 Total Hip replacement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