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생애와 사상
1) 생애
2) 사상
2, 박문호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Ⅲ. 맺는말
Ⅱ. 본론
1. 생애와 사상
1) 생애
2) 사상
2, 박문호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Ⅲ. 맺는말
본문내용
달하였다 그는 조용하고 부지런히 글을 짓고 쓰면서 단정히 앉아 글을 읽었기 때문에 앞을 지나는 사람도 그가 있는 것조차 물랐다고 한다, 그는 술과 음식, 재색이 깨끗하여 술을 마시되 취하지 않고, 음식을 먹되 배부르지 않고, 사사로운 돈을 일전도 취하지 않고, 부인 이외의 여자와는 앉지도 않고, 어떠한 조롱이나 부끄러운 일들이 몸에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그의 생활모습에서 거경궁리의 학문적 체득을 생활화하고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살아가는 고고한 선비의 자세를 엿볼 수 있다, 그는 어당에서 많은 학자들이 사술하는대 대하여 맹자가 자사에게 수업하면서 공가사숙하였고, 주자가 정평에게 수업하면서 정자를 사숙한 까닭을 물었다, 어당은 그것이 학문의 길을 넓히기 위한 것이라고 하면서 누구를 사숙하길 원하느냐고 묻자 박문호는 웃깃을 여미고 남당 한원진을 택하여 배우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어당은 박문호가 이이, 송시열, 권상하, 한원진으로 이어지는 학통을 계승한 적전인 동시에 호학의 정사라고 기쁘게 환영하였다, 그는 한원진이 주장하여 확립한 인물성상이론을 계승하여 인물성분수도설을 체계화하였다, 그는 인간에게 있어서 남녀간 우열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직분이 가사에만 한정되더라도 여성도 독서를 통하여 인격을 수련하고 부덕을 닦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여소학>을 집필하였다, 39세 되던 해 2월에 현학에서 조헌, 김집 선생의 제례가 있었다, 이 때 그는 학교 16조를 반포하고, 특명로 차학을 선출하는데 문장과 학문이 깊고, 지도와 행실이 항려에 모범이 된다고 하여 천거되었다, 그는 부친 한담공이 서거 하였을 때 장례전에 죽을 먹고 3년 동안 상복을 입었으며, 아침과 저녁에 전을 올리고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극진히 하여 그 예에 어긋남이 없었다, 그리고 그가 상례를 치르는데 떡과 과일로 조객을 대접하고 술과 음식을 차리지 않았는데, 그것은 학풍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예학에도 조예가 깊어 사례의속집의를 편집하였다 42세 되던 해에 동약을 만들기 위해 주자의 여씨향약, 퇴계의 예안향약, 율곡의 서원향약, 해주향약, 사창계약속 등의 항목에 자신의 견해를 보충하여 동중신약을 실정에 맞도록 만들었다, 여기에서 그는 화민성속을 꾀하고 이상적인 지역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는 우공서법해와 사도설을 완성하였고, 그는 경전 가운데 성을 논한 글을 모두 모아 제가의 주설을 취하여 자신의 의견을 첨가하여 성학집고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그는 44세(1889)되던 해 3월에 풍림정사를 건립하여 정당을 여택당이라 명하고 사랑을 소학이라 칭하였다, 이때를 전후하여 이곳에 모인 문인들은 무려 400여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가 풍림정사를 세우고 많은 후학을 양성하게 된 것은 그의 교육자로서의 인품을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이 때에 소당 김재환을 비롯한 지사와 문인들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그가 51세 되던 해 을미사변과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1896)이 일어나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항일전쟁이 전개되엇다, 그는 이때에 시무론을 지었는데 그 내용은 토역과 복수, 개화로 요약된다, 이 시무론은 연보에 간략히 소개되고 있고 <호산집>목록에도 기제되어 있으나 <호산집> 33권에는 본문이 누락되어 있다, 일본인의 탄압으로 인한 것 같다, 박문호는 홍종남이 명륜당을 중수하고 동재와 서제의 명칭을 지어 달라 청함으로 동재는 구인재라고 하고 서재는 유의재라 하였다, 박문호는 심본성설을 저술하였다, 그가 52세 되던 광무원년에는 고종황제가 즉위식을 거행하고 국호를 대한이라 하였다, 그는 이미 사례집의를 편찬하였으나 공조례에 상고할 만한 서적이 없음을 염려하여 삼례로서 속집의를 편찬하였다,
그리고 그는 53세 (1898)되던 해에 주자의 저서 가운데 인물성을 논한 글을 모아서 편찬한 고정인물상고라는 역저를 완성하였다, 그가 54세(1899)되던 해에 경, 사, 시, 부등을 읽고 서 두었던 글을 모아서 손질하여 고사유고를 탈고하였다, 8월에는 어당문집을 교정하였으며, 10월에는 어당선생문인록을 정리하고, 논학경주이고와 제왕가사친복제론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55세 되던 해에 그는 어당선생문집을 인행하기 시작하여 익년 봄에 일을 끝냈다, 그리고 논어집주상설을 완성하였다, 57세 되던 해에는 맹자집주상설을 완성하였다, 이어서 그는 대학장구상설을 완성하고 8월에는 윤경조의 서간에 답하여 신성에 대한 개호문제를 논하였다, 7월에 중용장구상설과 주역본의상설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59세 되던 해 서집전상설을 완서
그는 예학에도 조예가 깊어 사례의속집의를 편집하였다 42세 되던 해에 동약을 만들기 위해 주자의 여씨향약, 퇴계의 예안향약, 율곡의 서원향약, 해주향약, 사창계약속 등의 항목에 자신의 견해를 보충하여 동중신약을 실정에 맞도록 만들었다, 여기에서 그는 화민성속을 꾀하고 이상적인 지역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는 우공서법해와 사도설을 완성하였고, 그는 경전 가운데 성을 논한 글을 모두 모아 제가의 주설을 취하여 자신의 의견을 첨가하여 성학집고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그는 44세(1889)되던 해 3월에 풍림정사를 건립하여 정당을 여택당이라 명하고 사랑을 소학이라 칭하였다, 이때를 전후하여 이곳에 모인 문인들은 무려 400여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가 풍림정사를 세우고 많은 후학을 양성하게 된 것은 그의 교육자로서의 인품을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이 때에 소당 김재환을 비롯한 지사와 문인들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그가 51세 되던 해 을미사변과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1896)이 일어나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항일전쟁이 전개되엇다, 그는 이때에 시무론을 지었는데 그 내용은 토역과 복수, 개화로 요약된다, 이 시무론은 연보에 간략히 소개되고 있고 <호산집>목록에도 기제되어 있으나 <호산집> 33권에는 본문이 누락되어 있다, 일본인의 탄압으로 인한 것 같다, 박문호는 홍종남이 명륜당을 중수하고 동재와 서제의 명칭을 지어 달라 청함으로 동재는 구인재라고 하고 서재는 유의재라 하였다, 박문호는 심본성설을 저술하였다, 그가 52세 되던 광무원년에는 고종황제가 즉위식을 거행하고 국호를 대한이라 하였다, 그는 이미 사례집의를 편찬하였으나 공조례에 상고할 만한 서적이 없음을 염려하여 삼례로서 속집의를 편찬하였다,
그리고 그는 53세 (1898)되던 해에 주자의 저서 가운데 인물성을 논한 글을 모아서 편찬한 고정인물상고라는 역저를 완성하였다, 그가 54세(1899)되던 해에 경, 사, 시, 부등을 읽고 서 두었던 글을 모아서 손질하여 고사유고를 탈고하였다, 8월에는 어당문집을 교정하였으며, 10월에는 어당선생문인록을 정리하고, 논학경주이고와 제왕가사친복제론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55세 되던 해에 그는 어당선생문집을 인행하기 시작하여 익년 봄에 일을 끝냈다, 그리고 논어집주상설을 완성하였다, 57세 되던 해에는 맹자집주상설을 완성하였다, 이어서 그는 대학장구상설을 완성하고 8월에는 윤경조의 서간에 답하여 신성에 대한 개호문제를 논하였다, 7월에 중용장구상설과 주역본의상설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59세 되던 해 서집전상설을 완서
추천자료
[교육학개론]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프뢰벨의 교육사상(교육학)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교육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교육적 인간상의 의미
듀이(J. Dewey)의 교육사상과 특징에 관한 고찰 - -듀이 교육사상의 특징과 이론 중심으로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주는 실천적 의미 연구
플라톤의 교육사상과 고대그리스 수학교육의 쟁점
[교육학]루소의 계몽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고찰
J.Dewey의 교육사상이 초등교육에 미친 시사점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론
몬테소리의 유아교육사상과 교육과정
계몽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사상
[연암 박지원 (燕巖 朴趾源)]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교육사상과 특성, 박지원의 교육사상의 ...
[존 듀이 (John Dewey)] 존듀이(존 듀이)의 생애, 존듀이(존 듀이) 교육사상의 원리와 시사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