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기와 발음의 원리
현행 한글 맞춤법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규정되어 있다.
이는 모든 말은 음운 환경에 따라 발음하기 쉽게 변하는 습성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특징을 반영한 규정
1.3 글자의 운용
(1)이어쓰기( 連書, 니쓰기)
‘ㅇ’을 순음(ㅁ, ㅂ, ㅍ, ㅃ) 아래 연서하면 순경음(, , , )이 된다.
‘’은 고유어 표기에 쓰이고, ‘, , ’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쓰임.
세조 때부터 소멸(15세기
|
- 페이지 62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
(1) 정의:
(2) 예
① 신라(Shilla) → Silla
<5모둠: 어법>
(1) 정의:
(2) 예
① 내일은 비가 예상됩니다. → 내일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6모둠: 표준 발음>
(1) 정의:
(2) 예
① 볶음밥[뽀끔밥] → [보끔밥] Ⅰ. 교재 및 단원명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맞춤법>은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적절한 개정이라 할 것이다.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글맞춤법> 표기 규정에 맞게 한글을 정서하여야 할 것이며, 더불어 국어순화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여야 할 것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4.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학회 창립 30주념 기념 특집에서는 ‘현대국어 음운론의 허와 실’(강창석), ‘통시음운론의 연구사와 국어음운사 연구 30년’(박창원), ‘국어 어휘론 연구사’(조항범),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이승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에서 나타난 언어오용
2.2.1. 연철 표기와 축약 현상
2.2.2. 맞춤법 파괴
2.2.3. 문장 부호와 기호 사용 현상
2.2.4. 은어와 외래어 남용 현상
2.2.5. 비 존대어와 부정적 의미 사용 현상
3. 통신언어의 지도방안
3.1. 통신언어와 국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Ⅰ. 서론
Ⅱ. 본론
1. 어문 규정
가. 한글 맞춤법의 기본원리
나. 한글 맞춤법의 실체
다. 띄어쓰기
라. 외래어 및 로마자 표기법
마. 문장 부호
2. 올바른 문장 쓰기
가. 문장 오류의 유형
Ⅲ.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20.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5
이익섭,『한국어문』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3 Ⅰ. 머리말
Ⅱ. 본문
1. 훈민정음의 기원설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 상형의 원리
2) 가획(加劃)의 원리
3. 훈민정음의 초․중․종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에는 한글 맞춤법 이외에 표준어 규정·문장부호법·로마자 표기법·외래어 표기법 등 한글을 바로 쓰기 위한 많은 규정들이 있다. 국어를 힘이 있는 언어로 키우기 위해서는 우리말 및 우리글이 현재 갖추고 있는 힘, 그 저력, 그 장점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 맞춤법에서는 형태소 원형 표기 원칙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꽃\'이라는 단어가 \'꽃가루[ Ⅰ.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의의
1. 모국어
2. 연령
3. 노출
4. 선천적 발음 능력
5. 정체성과 언어 자아
6. 우수한 발음에 대한 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