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초분절음소의 사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완진(1977), 중세국어성조의 연구. 국어학총서 4. 국어학회, 탑출판사. Ⅰ. 서론
Ⅱ. 본론
(1) 전라도 방언의 형성
(2) 전라도 방언 예문
(3) 강원도 방언의 특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여 매년 한글날에 주고 있지만, 우리나라 신문은 제정당시 그 사실을 문화면에 단신으로 취급하고 말았고, 그 뒤로는 아예 취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훈민정음에서는 당시의 후기 중세국어의 특징을 음운적, 문법적으로 자세히 살펴보도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대어
고대국어
계시-
중세국어
근대국어
주무시-, 들-, 도라가-
현대국어
운명하-, 진노하-
뒈지-, 씨부렁대-, 처먹-
진행중
지껄이-
(72) 객체대우 어간의 시기별 분포 양상
겸양어
하대어
고대국어
모시-, 바치-
중세국어
뵙-, 올리-
꾸짖-, 칭찬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2002년, 태학사, p. 1-342쪽.
(10) 이숭녕. ‘국어학연구’, 1972. 형설출판사. p. 1-215.
(11) ‘중세국어의 음절말 자음체계’라는 제목의 논문은 필자가 ‘박창원’인데, 이 논문은 ‘국어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기보다는 기존에 연구되어진 선행연구자들의 학설을 이해하고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도록 하겠다. - 중략 - - 목 차 - Ⅰ. 들어가며 Ⅱ. 한글 창제 이후 표기법의 변천 1. 중세국어(中世國語) 표기법(表記法) 1)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2) 15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09.03.2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2002년, 태학사, p. 1-342쪽.
(10) 이숭녕. ‘국어학연구’, 1972. 형설출판사. p. 1-215.
(11) ‘중세국어의 음절말 자음체계’라는 제목의 논문은 필자가 ‘박창원’인데, 이 논문은 ‘국어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여,\" 「동아문화」 11.
김정우. 1984. \"국어 음운론의 경계 문제에 관한 연구,\" 「국어연구」 59.
김주필. 1988. \"중세국어 음절말 치음의 음성적 실현과 표기,\" 「국어학」 17.
김차균. 1974. \"국어와 영어의 자음동화에 대하여,\" 「경상대 논문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거성’과 ‘상성’은 ‘고조’로 실현되고 평성은 ‘저조’로 실현된다. 그리고 장음(長音)이 있기는 하나 시차적 기능은 없다. 예. 쇄:지(송아지), 해:미(반찬), 왜:지(<오 Ⅰ. 강원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Ⅱ. 함경도 방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는 음성뿐만 아니라 이중모음 ‘ㅟ’의 음가를 구명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러시아 문자의 음가를 고려하면 이 문자는 한국어 []를 전사한 것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나, 현대국어에는 []가 쉽사리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 중세국어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고 허사는 음차표기하는 일반 원칙에 어긋나는 예외이다. ‘如’는 문법 형태소임에도 특이하게 훈차표기한 것이다. 근래에 발굴된 중세국어의 문헌에 ‘같다’의 의미를 가지는 용언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如’의 ‘다’와 관련이 있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