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법, 무엇이 문제인가(1997), 이현복 외 3인, 태학사.
♣ 새로 고친 한글 맞춤법 강의(2003), 이희승, 안병희, 신구문화사.
♣ 표준 국어 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 목 차 *
1. 序論
2. 本論
(1) 한글 자모 규정에 관한 문제
(2)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 훈몽자회의 한자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 서론
2. 본론
1) 훈몽자회의 범례
2) 한글맞춤법
3)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은 ‘ㄲ, ㄸ, ㅃ, ㅆ, ㅉ’을 된소리 즉, 경음을 표시하는 문자로 규정하고 있다.
5) 결론
지금까지 <훈민정음>해례본과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와 그 차이점들을 살펴보았다. 말보다는 변화의 속도가 느릴지라도 문자 또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모 명칭으로 인정된 것은 1930년 2월 조선 총독부 학무국에서 만들어낸 <언문철자법>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할 당시에 대체로 이에 준하여 자음의 이름을 붙인 것이 지금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
제1장 총 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제2장 자 모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모의 이름과 순서
【남】제 4항 :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 (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이 전문가나, 학자들만이 보는 것이 아닌 만큼 좀 더 쉽게 바꿀 필요가 있는데, 이는 통합 가능한 복잡한 조항들을 하나로 합침으로써 이해를 도울 수 있다.
3. 현행 한글 맞춤법의 각 규정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안
①제 2장 자모에 관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은 다음 세 가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표준어를 맞춤법의 규정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
둘째, 발음에 충실하게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
셋째, 발음대로 적는 것이 어법에 맞지 않을 경우 발음과 거리가 있더라도 어법에 맞도록 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4.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ㅕ’가 [ㅓ]로 발음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실제 구개음 ‘ㅈ, ㅉ, ㅊ’ 다음에 오는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백봉자. (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191-207.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자모의 수
<북> 40자
<남> 24자
자모의 이름
<북> ㄱ(기윽) ㄴ(니은) ㄷ(디 제1장 한글 맞춤법 1
1.1. 총칙
1.2. 자모의 차례와 이름
1.3. 모음 ‘ㅖ,ㅢ’의 표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