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점
2. 학설
(1)설립등기시 또는 설립자 사망시로 보는 견해(물권적 귀속설)
(2)등기 완료시로 보는 견해(채권적 귀속설)
(3)절충설
3. 판례의 태도(이른바 상대적 귀속설)
4. 검토
5. 채권이 출연된 경우의 문제
6. 참고문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기를 필요로 한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취지는 그 후의 판례에서도 계속 이어져, 즉 유언으로 재단법인을 설립하는 경우에, 제3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출연재산이 부동산인 Ⅰ. 민법의 규정과 쟁점
Ⅱ. 학설과 판례
Ⅲ.개정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단법인의 설립에 있어서 출연재산의 귀속시기 - 곽윤직
1. 문제제기
2. 학설의 대립
3. 학설과 판례의 검토
II. 법인의 불법행위능력 - 곽윤직
1. 법인의 불법행위능력 인정 여부에 대한 학설의 대립
2. 불법행위의 요건
3. 법인의 불법행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단법인의 설립에 있어서 출연재산의 귀속시기
【판결요지】
재단법인의 설립함에 있어서 출연재산은 그 법인이 성립된 때로부터 법인에 귀속된다는 민법 제48조의 규정은 출연자와 법인과의 관계를 상대적으로 결정하는 기준에 불과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출연재산이 채권인 경우
(1) 문제제기
지명채권의 경우 지명채권양도계약에 의하여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기 때문에 제48조가 규정하는 시기에 재단법인에게 귀속한다는 것에 학설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지시채권이나 무기명채권은 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