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휘부 내의 단어형성부에서 기존의 단어에 의한 유추나, 생산적인 유추로서의 규칙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 파생어 전체가 어휘삽입의 단계에 도입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파생접미사의 공시적인 결합 과정(신어를 만드는 과정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미사의 유형
1. 명사 파생 접미사(xsn)
2. 동사 파생 접미사(xsv)
3. 형용사 파생 접미사(xsm)
4. 부사 파생 접미사(xsa)
Ⅲ. 국어 품사 파생접미사
Ⅳ. 국어 품사 존칭접미사
Ⅴ. 국어 품사 구적접미사
Ⅵ. 국어 품사 영접미사
참고문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 접미사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장이, -꾼, -지기, -工’ 등은 육체노동을 하는 직업이나 낮은 보수의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주로 사용되는 반면. ‘-家, -士, -師’ 등은 정신노동을 하는 고학력의 전문직에 많이 나타난다.
‘-장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 접미사로도 다루었으나, 이러한 형태소들이 파생 접미사로 쓰이는 것은 명사나 불완전 어근에 붙을 때이다. 부사에 결합된 나-, 되-, 하-는 명사에 결합된 경우와 달리 그 어휘적 의미가 뚜렷하여 접사로 보기 힘들기 때문에 합성어로 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진단학보 58
김창섭(1985), 시각형용사의 어휘론, 관악어문연구, 서울대 국문과
고영근(1989), 국어 형태론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지홍(1961), 국문법의 품사분류론, 한글 제128호
서학수(2002), 영어 형용사의 한정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또한 접사는 형태소인데, ‘ㅂ’이나 ‘ㅎ’은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으므로 형태소가 아니다.
파생접사는 새로운 단어를 파생시키는 접사로 파생접두사와 파생접미사로 나뉜다. 파생접두사는 맨손, 맨주먹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접미사라고 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롭-\'은 \'-답1-\'과는 달리 모음으로 끝나는 어기에만 결합되는데, 현대국어에서는 이들이 별개의 형태소(접미사)인 것처럼 보이지만, 중세국어에서는 한 형태소의 이형태들(-?/?-)이었다.
\'-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 론
1. 국어 형태론 연구 역사
전통문법시대
- 형태론과 통사론이 명시적으로 구분되지 못함
구조주의시대
- 문법론의 연구대상을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누어 제시
- 통사론, 의미론, 음운론이 기본적인 연구 대상 (형태론에 대한 고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11.2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동사 접미사
1. 파생동사 접미사의 기능: 문법적 전환과 의미적 변환
2. 파생동사 접미사의 다의성
Ⅳ. 독일어의 -er-파생명사
1. 기본 모델
2. 인지론적인 확장
3. 형태론적인 확장
4. 의미론적인 확장
Ⅴ. 독일어와 독일어를 지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접미사가 올 수 있거나 중첩하여 단어로 쓰일 수 있다. 자립형식이 아닌 형태이면서 항상 자립어인 형태에 합성되어 나타나는 語根도 있는데 이 경우 접두사와 구분이 잘 안되는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의미론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살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