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의 단모음인 ‘ㅐ’, ‘ㅔ’는 15세기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음이 밝혀진 바 있다.
2) 비교방법
비교 방법은 언어 간의 친족 관계를 밝히고, 친족 관계가 확인된 언어들의 조어(祖語, 조상 언어)를 추정하며, 각 언어들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3,400원
- 등록일 2022.03.16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음하며, 어법에 맞게표현하여 적절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표준어 아닌 사투리를 쓰거나, 잘못된 발음을 하거나, 어법에 어긋난 표현을 하거나, 의미상 어울리지 않는 표현을 하게 되면 그것은 바른 말이라 할 수 없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ㅸ\'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각각‘ㅅ’과‘ㅇ’으로 살아남았다.
예) 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무수(무우), 부석(부엌), 나숭개 (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저으니), 낫았다(나았다), 새비(새우), 누베(누 에), 추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형성과정
2. 국어사의 시대구분
Ⅲ. 결 론
참고문헌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파일>
1. 고대국어.hwp
2. 근대국어.pdf
3. 중세국어.hwp
4. 현대국어.hwp
5. 고대국어 2.hwp
6. 근대국어 2.pdf
7. 중세국어 2.hwp
8. 현대국어 2.hwp
9. 국어사 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9,100원
- 등록일 2020.03.10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격과 역사
2장 학교문법의 내용체계
3장 언어와 국어
4장 음운론
5장 형태론
6장 어휘론
7장 문장론
8장 의미론
9장 화용론
10장 중세국어문법
11장 국어사
12장 국어어문규정
13장 바른 국어생활
14장 국어사랑
|
- 페이지 7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5
이익섭,『한국어문』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3 Ⅰ. 머리말
Ⅱ. 본문
1. 훈민정음의 기원설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 상형의 원리
2) 가획(加劃)의 원리
3. 훈민정음의 초․중․종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ㅸ\'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각각 ‘ㅅ’과 ‘ㅇ’으로 살아남았다.
예) 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무수(무우), 부석(부엌), 나숭개(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저으니), 낫았다(나았다)
새비(새우), 누베(누에), 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음절 말에서 자음은 하나만 실현된다, 표기상으로 음절 말(종성)에 자음이 두 개 쓰이지만 발음에 있어서는 이들 겹받침 중 하나는 탈락한다.
겹받침은 뒤에 모음이 오면 모두 실현되나 자음이 휴지가 뒤따르면 음절말 위치에 2개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음법>에서는 ‘성조’가 아닌 ‘음장’만 인정)
3. 이중모음체계
상향적 이중모음
하향적 이중모음
±전설적 (/j/+단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
±후설적 (단모음+/w/)
ㅘ ㅙ ㅝ ㅞ
ㅢ
※ ‘ㅔ/ㅐ/ㅟ/ㅞ’는 중세국어에선 이중모음다가, 근대국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한국대학교, 2003, pp. 1~356.
(11) 박창원, “중세국어의 음절말 자음체계”, 국어학 13, 국어학회, 1987, pp. 58~93.
(7) 서태룡,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pp. 112~158.
(10) 이숭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