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찬기파랑가
(달, 냇가, 자갈돌, 잣가지의 의미에 대해)
◆ 본 문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積惡尸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兮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찬기파랑가>는 삼국유사 소재 사뇌가 중에 유일하게 사뇌가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 노래로 그 배경설화가 없는 것이 특이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랑의 기파를 찬미한 노래, 불전의 기파, 특정 인물인 표훈대덕,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냇가 조약돌에서
郞也持以如賜烏隱 기파랑이 지니시던
心未際叱逐內良齋 ‘마음의 끝’을 쫓으려 하네
阿耶柏史叱枝次高好 아, 잣가지 드높아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서리를 모를 그대 모습이여
2)여러 학자들의 해석
양주동
김완진
홍기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찬기파랑가」의 창작에 대한 직접적인 설화적 배경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고 「안민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잠시 언급되어 있다.
3. 원문 및 풀이
咽鳴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찬기파랑가 작품
咽鳴爾處米 열치매
露曉邪隱月羅理 나타난 달이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흰 구름 쫓아 떠가는 것 아니냐?
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란 시냇물에
耆郞矣 史是史藪邪 기랑의 모습이 있어라!
逸烏川理叱적惡希 이로 냇가 조약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